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별사진 찍는 법..
게시물ID : deca_1846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여분의행복
추천 : 15
조회수 : 2137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3/03/21 16:11:18

 우선.. 철저히 제 개인적인 경험에 의해 판단한 내용이므로,

고수분님이나 다른 기준을 갖고 계신분에게는 오리방귀끼는 소리로 들릴 수 있다는 점을

전제하에 얘기드립니다.

 

* CANON 60D / ISO320 / F7.1 / 초점 무한대-@ / 셔터속도 30초 / 고속연사 / 76장 합침

 

위의 사진은 경기도 미술관(?)에서 지난주 주말에 찍은 사진인데, 별궤적을 돌린건 지금까지 해봐야 6번정도...

고수에 비하면 아주 하찮은 경험이지만, 그래도 나름 독학+사용기를 통해 얻은 정보를 나누어 봅니다.

 

 - 여태까지의 TIP -

1. 조리개를 조일수록 별궤적은 날카롭게 나옵니다. 다만 많은 별을 담을 수는 없습니다.
2. 초점을 잡을 곳이 없으면 무한대, 초점을 잡을 수 있으면 어느 포인트에 초점을 잡으시고 찍으면 됩니다.
    너무 캄캄해서 보이지 않으면, 후레쉬를 비춘 상태에서 자동이나 수동으로 초점을 잡고, 수동으로 전환하면 됩니다.
3. 처음부터 바로 촬영을 하지 말고, 여러장을 찍어본후 밝기나 선명도, 노이즈를 확인하면서 세팅하면 됩니다.
4. 북극성을 기준으로 한시간에 15도 별은 움직입니다. 북극성에 멀면 멀수로 별의 궤적은 길게 나옵니다.
5. 주변에 지나치게 밝은 조명이 있으면 별궤적은 거의 90% 망칩니다....
6. 삼각대 다리는 가급적 펴지말고, 옆으로 최대한 벌려주고, 볼헤드등 꽉꽉 조여서 절대 흔들리지 않도록 해주어야합니다.
7. 최소 30분~ 기본 2시간정도는 찍어주는게 좋습니다. 어떤 분들은 6시간 동안 별궤적을 담으시는데, 이때에는
   세로그립 필수입니다.
8. 릴리즈를 활용하시면 더욱 좋습니다. 릴리즈가 없을때엔 연사 설정후에, 셔터 버튼에 테이프를 붙여 계속 찍을 수 있게
   해주시면 되고, 이때엔 전, 후의 흔들린 사진은 벌려주시는게 좋습니다.
9. 별궤적은 장시간 동안 촬영을 하는 관계로 늦가을~이른 봄까지 찍는게 정석입니다. 여름엔 가열됩니다....
   겨울엔 뭐.. 너무 추워서 오작동이 날 수 있어서 핫팩을 붙여놓기도 합니다.
10. 혼자 찍으면 외롭습니다.ㅋ
     여러명이서 별궤적을 찍으시면서, 카메라님이 찍는동안 컵라면에 삐루 한잔..캬~
11. 주변에 포인트를 잡을 게 없는 별궤적은 참... 심심합니다. 가급적 포인트를 잡고 찍으시는 게 좋습니다...
12. 저장은 JPG화일로 하고, startrails라는 프로그램으로 합치면 됩니다..
 
* 별관련 사진은 궤적돌리기와 점상사진이 있는데... 
 

 이게 별궤적 사진이고,

 
 

 

 

이게 점상사진입니다..라고 생각하고 찍었습니다.. -_-;;;
 
점상은 별궤적과 설정방법이 조금 다른데... 경험에 의하면
ISO800~1600 / F5.6~7.1 / 초점 무한대-@ / 셔터속도 15초~25초 / 한컷..
ISO를 높이면 별이 많이 보이기는한데 전체적으로 노이즈가 상당히 심해지고,
셔터속도가 길어지면 별이 점으로 찍히는게 아니라, 궤적으로 그려져버리기때문에 점상의 느낌이 많이 죽습니다...
 
마지막으로.. 별사진을 찍을때는 캘빈값을 3200~3700사이에 두면 푸르딩딩한 하늘과 별을 담을 수 있어서 좋습니다..

 

다시금, 얘기하지만.. 이제 겨우 6번 별 돌려본 초짜의 얘기입니다.ㅎ

더 좋은 정보나 고수분의 노하우도 좀 알려주세요^^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