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중독성이 강한 풍각쟁이 최은진의 클래식한 트로트...ㅋㅋㅋㅋㅋㅋ
게시물ID : humordata_85364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huntkim
추천 : 1/5
조회수 : 1124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1/08/17 11:30:58

어린아이부터 아가씨, 중년의 살롱 가수 같은 고혹적인 중저음까지 가지각색 빛깔의 목소리를 가진 연극배우 최은진. <다시 찾은 아리랑>이라는 음반으로, <천변풍경 1930> 콘서트로 노래에 다가섰던 그녀는 진정으로 사랑하는 13곡의 만요를 눌러 담아 앨범 <풍각쟁이 은진>을 발매했다. 만요는 <오빠는 풍각쟁이>, <빈대떡 신사> 등으로 대표되는 일제 강점기 시절 유행한 풍자와 해학이 담긴 노래다. 소소한 내용을 가사에 담아 자유롭게 부르던 노래였기에 하나의 장르로 대접받거나 지속적인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소소한 민중의 일상생활을 엿볼 수 있는 자산으로 재평가 받고 있다. 그녀가 부른 13곡은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박향림의 <오빠는 풍각쟁이>를 필두로 작사가 조명암과 작곡가 김해송(본명 김송규)등 1930년대 대표적 음악가의 만요 작품들이다. "핸드빽하고 파라솔하고 사주마 했지요." 하며 신혼 초 남편에게 앙탈을 부리는 아내를 그린 <신접살이 풍경>, "연애냐 졸업장이냐"를 고민하는 <엉터리 대학생>, 활동사진의 외국배우에게 반한 남편에게 극장에 가지 말라고 바가지를 긁는 <활동사진 강짜> 등 그 시대의 흥미로운 생활상을 보여주는 노래들이 있는가 하면 일제 강압을 반영한 <연락선은 떠난다>와 <아리랑 낭낭>, 또 세계적인 무용가 최승희의 노래로 알려진 우아한 재즈송 <이태리의 정원>도 수록되어 있다. 그 중 초연이 옛 기억을 떠올리는 김해송 작곡의 <다방의 푸른 꿈>은 전 트랙 중 백미로 블루스 화법의 농밀한 최은진의 보컬을 만나볼 수 있다. 최은진은 만요가 가져다주는 그 시대의 소박함과 낭만, 해학을 붙잡아 우리를 타임 머신 속으로 안내한다. 이 타임머신에는 우리에게 '하찌와 TJ'로 알려진 일본인 기타리스트 하찌도 합류했다. 클라리넷과 바이올린, 아코디언을 적재적소에 배치한 하찌의 감각적인 프로듀싱은 최은진의 다채로운 보컬과 만나 향수를 자극하기도 하면서 지금 들어도 어색하지 않은 미묘한 하모니를 이루어냈다. 만요를 처음으로 접하거나 코믹송 정도로 이해하고 있는 청자들에게는 더욱 신선하게 다가올 것이다. † 최은진: 서울 출생, 1980년대부터 연극배우로 활동했다. 90년대에는 환경 보호를 주장하는 '쓰레기 퍼포먼스' 등을 혼자 기획, 실행했다. 2003년 [다시 찾은 아리랑]이라는 음반을 낸 후 '아리랑 소리꾼'으로 불리게 된다. 두산 아트 센터의 기획콘서트 <천변풍경 1930-이태리의 정원>에 강산에, 백현진, 이상은 등과 참여하여 1930년대에 유행했던 13곡의 만요를 선보이기도 했다. 자신이 운영하는 서울 안국동 문화공간 아리랑에서도 노래를 부른다. † 하찌: 본명은 가스가 하찌 히로부미(春日博文, KasugaHachi Hirofumi). 도쿄 출생. 1974년 [칼멘 마키 앤 오즈(Carmen Maki &OZ)]로 데뷔했다. 1987년 경기도 평택에서 풍물을 배운 후 한국 음악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이후 일본과 한국을 오가며 많은 음반을 프로듀싱 했다. 2006년 2인조 그룹 '하찌와 TJ'로 1집 [행복]을, 2009년에 2집 [별총총]을 발표했다. 5년째 한국에 거주하고 있다. <만든 사람들> † 노래: 최은진 † 프로듀싱 & 연주: 하찌 (하찌와 TJ) † 아코디언: 미미 Mimi, 알렉산더 쉐이킨 Alexander Sheykin † 클라리넷: 안톤 보고몰로브 Anton Bogomolov † 바이올린: 최성은 <곡 해설> (이동순/ 시인, 영남대 교수) 1. 고향 조명암 작사, 김해송 작곡, 이난영 노래 / 오케 31053, 1941년 아름다운 추억과 사연을 간직한 고향이 지금은 어떤 연유로 완전히 붕괴되고 옛 모습을 전혀 찾을 길 없다는 상실의 아픔을 담아낸 노래. 식민지적 배경을 은근히 암시하고 있다. 2. 오빠는 풍각쟁이 박영호 작사, 김송규 작곡, 박향림 노래 / 콜럼비아 40837, 1938년 여동생의 시각에서 바라본 오빠에 대한 사랑을 담고 있다. 식민지 시대의 식생활 문화와 가족애, 삶의 풍속이 코믹하고도 흥미롭게 반영한 만요 스타일의 노래. 3. 신접살이 풍경 고마부 작사, 유일 작곡, 미스리갈 노래 / 리갈 C-429, 1938년 1930년대의 신혼부부는 어떤 삶을 살았을까? 우리는 이 노래를 통해 그 답을 들을 수 있다. 삶의 원형은 항상 불변이 지만 스타일은 이처럼 많은 변화를 거쳐 온 것이다. 4. 님 전 상서 조명암 작사, 박시춘 작곡, 이난영 노래 / 오케 12164, 1938년 1930년대식 러브레터의 모델이 가사 전체를 통해 실감나게 나타나고 있다. 이미 남성의 마음은 변심해서 떠나간 상태이고, 홀로 남은 여성의 서글픈 애원이 쓸쓸하게 느껴진다. 5. 화류춘몽 조명암 작사, 김해송 작곡, 이화자 노래 / 오케 20024, 1940년 이른바 노류장화(路柳墻花), 즉 아무나 쉽게 꺾을 수 있는 길가의 버들과 담 밑의 꽃이라는 말로 불리는 기생의 처연하고도 고통스러운 삶을 다룬 애달픈 노래. 6. 다방의 푸른 꿈 조명암 작사, 김해송 작곡, 이난영 노래 / 오케 12282, 1939년 김해송이 아내 이난영을 위해 만든 블루스 선율의 작품이다. 그녀는 검은 드레스를 입고 무대에 등장해 약간 엉기는 듯한 콧소리의 성음과 애조 띤 창법으로 관객을 뜨겁게 매료시켰다. 7. 엉터리 대학생 김다인 작사, 김송규 작곡, 김장미 노래 / 콜럼비아 40848, 1939년 주권 상실의 식민지를 배경으로, 대중문화 매체를 통해 청년기 세대의 분발과 각성을 촉구하는 가요 작품. 나태와 방종에 빠진 식민지 청년에 대한 비판과 풍자를 담고 있다. 8. 연락선은 떠난다 박영호 작사, 김송규 작곡, 장세정 노래 / 오케 1959, 1937년 얼마나 많은 이 땅의 사람들이 일제의 강압으로 정처 없이 떠나갔던 것인가? 지원병, 징용, 정신대란 이름으로 떠나간 사람들. 이 노래는 당시의 아픈 사연을 절절히 담고 있다. 9. 아리랑 낭낭 처녀림 작사, 김교성 작곡, 백난아 노래 / 태평레코드 3014, 1940년 나라의 주권을 제국주의자들에게 빼앗기고 갖은 약탈과 시련에 고통 받고 있던 일제 말 이런 가요곡이 발표되었다는 사실은 진정 하나의 사건이었다 할 것이다. 전통 민요 ‘아리랑’ 가락에 의탁하여 한국인들이 지닌 삶의 여유와 낙천성을 잘 담아낸 노래다. 10. 구십춘광 이가실 작사, 이운정 작곡, 옥잠화 노래 / 콜럼비아 40897, 1942년 구십춘광(九十春光)이란 '봄의 석 달 동안'이란 뜻이다. 흐르는 강물에 배를 띄우고 한창 무르익은 고토의 봄을 즐기는 소녀의 감성이 실감나게 담겨 있다. 11. 아리랑 그리운 나라 (원제: 가벼운 인조견을) 을파소 작사, 정진규 작곡, 유선원 노래 / 콜럼비아 40790, 1937년 권번에 소속된 기생의 눈으로 바라본 1930년대 한강 주변의 맑고 깨끗한 봄 풍경이 눈물겹게 그려진 신민요. 가사에서 '그리운 나라로'란 대목의 은유와 상징성이 돋보인다. 12. 활동사진 강짜 김다인 작사, 김송규 작곡, 김해송ㆍ남일연 노래 / 콜럼비아 40824, 1938년 1930년대의 인기 무성 영화에 대한 서민들의 관심과 애착이 반영되어 있다. 영화 배우들의 사진을 본다고 질투심을 표현하는 남편에게 하소연하는 아내의 화법으로 전개되는 만요풍의 가요곡이다. 게리 쿠퍼, 그레타 가르보 등의 할리우드 배우들 이름과 <춘희>, <모로코> 등의 영화 제목까지 노래 가사에 등장하고 있는 점이 자못 흥미롭다. 13. 이태리의 정원 이하윤 작사, 에르윈 작곡, 최승희 노래 / 콜럼비아 40704, 1936년 전설적인 무용가 최승희(崔承喜)가 가수로도 활동한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태리풍의 멋진 정원에서 사랑하는 님을 기다리는 내용의 이 곡은 재즈 송으로 표시되어 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