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얼마의 세금을 내고계십니까?(혹, 얼마를 내게 될것 같습니까?)
게시물ID : sisa_11227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토끼아빠
추천 : 2
조회수 : 388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1/08/18 23:02:06
무상급식을 비롯 최근 화두가 되고있는 복지에 대한 이야기들을 보자하면,
빠지지 않고 나오는 것이 예산 문제로 보입니다.
사실 예산 문제만 아니라면 보편복지가 고용,생산,소비,경제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효과가 있다는 것은 별도로 논의하지 않아도 될꺼라고 생각합니다.
문제는 그 비용을 어디서 충당할 것이냐는 것이지요,

"4대강 삽질만 안해도 .!.!. ", "보도블럭만 안뜯어도!!!"

같은 다른 예산을 전용한다는 의견은 일단 뒤로하고 
단순히 세금 증액으로 충당한다고 가정할때,
여러분은 얼마의 세금 정도면 감당 가능할만 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저의 경우 직장인의 한사람으로써 아직 취업전인 학생분들에게 말씀을 드리자면,
일반적인 직장인들이 생각처럼 세금을 많이 내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여러분의 실수령액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등 공제되는 항목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데,
보통 세후/세전수령액으로 나누어 생각하기 때문에 합쳐서 세금이 많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작년 연봉,인센티브 등등을 포함에 4천정도를 받았고 소득세와 소득세할 주민세로 
200정도를 냈다가, 소득공제로 170정도를 돌려받은 것으로 기억합니다. 
가족병원비가 많이 있었어서 실질 세금은 50만원을 채 안냈습니다.
소득공제를 좀 덜 받는 편일 경우 주변에서는 보통 100~150 정도를 납부하더군요.
(국민연금/건강보험료는 합해서 300정도? 나갔던거 같습니다)

막말로 왠만한 복지정책 다 해주는 대신 소득세를 두배로 거둔다고 하면
제가 내는 금액은 연 200~300 정도 수준이 될겁니다. 
월로는 현재보다 15~20 정도 더 세금을 내게 될 것 같습니다.

물론 월 몇천원 증가하는 분들도 있을테고, 월 몇백을 더내야 하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세금폭탄이라고 할만큼 많나요?
일단 아이 어린이집 등록비만 39만원이 드는 저는 저정도는 괜찮다고 생각합니다만, 
다른분들은 얼마 정도까지는 괜찮다고 생각하시나요?

(선택적 복지냐 보편적 복지냐의 문제는 대상선별의 어려움이나 소득세 인상의 조세저항 등을 고려하여
이글에서는 잠시 논외로 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