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잡아함경의 가르침. 나무아미타불
게시물ID : freeboard_191251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아미타부처님
추천 : 2
조회수 : 187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20/07/11 19:10:14
【문】 만억 불토 떨어진 먼 서방길을 어떻게 돌아가리.





【답】 꿈에도 만리를 가나니, 부처님 위신력을 의지함이랴.





【註】 『십의론(十疑論)』 제 구권에서 말하였다. 



 묻기를 “서방은 이곳에서 십만억불토 떨어져 있으니 못나고 약한 범부가 어떻게 도달할 수 있겠는가?”라고 하니, 답하기를 “이것은 범부의 육안(肉眼)을 대하여 생사의 마음[生死心]으로 헤아려 말하는 것이다. 

 

 서방이 여기에서 십만억 불토 떨어져 있지만 정토업(淨上業)을 이룬 중생에게는 임종시 그 마음이, 곧 정토에 태어나는 마음으로, 염(念)을 움직이면[動] 곧 정토에 태어난다. 

 

 그러므로 『관경(觀經)』에서 말하기를 ‘미타불국(彌陀佛國)이 이곳에서 멀지 않다 하였다. 또 업력(業力)은 블가사의(不可思議)하여 한 번 염(念)하면 곧 저곳에 태어나니 멀다고 걱정하지 말라. 또 꿈에 몸은 침상에 있으나 심의식(心意識)은 다른 모든 세계에 두루 닿아 평상시 것과 같다. 정토에 태어나는 것 역시 그와 같아 염(念)을 움직이면[動] 곧 태어나니 모름지기 의심하지 말라”고 하였다.

 

 또 『미타초(彌陀鈔)』에서 묻기를 “『관경(觀經)』에서 이르기를 ‘서방이 멀지 않다’고 하였다. 그런데 서방이 이곳에서 십만억 불토 떨어져 있으니, 이제 멀지 않다고 한 것은 무슨 말인가?”라고 하니, 다음과 같이 대답한다.

 

 “두 가지 뜻이 있으니 하나는 왕생하기에 멀지 않다는 뜻으로, 『관경(觀經)』에서 이르기를 ‘손가락 튕기는 사이에 저 국토에 태어난다’고 한 것이고, 또 하나는 서로 영접하기에 멀지 않다는 뜻으로 경(經)에서, 수명[命]이 다하려 할 때 아미타부처님께서 여러 성현 무리[聖衆]와 함께 그 앞에 나타난다고 한 것이다. 

 

 멀고 가까운 것은 상대적인 것이어서 믿고 염하면 가깝고 믿지 않으면 멀다.”



'나무아미타불' 육자명호를 늘 염불하시면,

현생에는 업장소멸이 되어 불보살님들의 가피를 받고,

내생에는 반드시 극락왕생하여 성불합니다.



모든 생명들이 코로나와 자연재해로 고통받지 않고 평온하시기를 아미타부처님께 발원합니다.







나무아미타불







#나무아미타불 #극락왕생 #성불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