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익씨가 한 말중에서 제대로 조사안하고 말한 내용이 있기는 하지만 불고기와 한정식은 제가 알기로는 오해가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 일단 불고기가 일본의 야키니쿠에서 온 요리다. 라는 말을 황교익씨가 했다는 것은 제가 알기로는 사실이 아닙니다. 불고기라는 말(용어)의 어원에 대한 이야기이지, 요리가 왔다는 말이 아니었어요. 이것이 중요한 것은 일단 일본은 메이지유신 이전에는 불교로 인해 고기요리가 발달을 안해서 일본정찬인 가이세키요리를 보아도 채소와 두부, 생선위주라 정통은 고기가 없습니다. 불고기라는 요리자체가 유래될 건덕지가 없거든요. 그럼 논란이 된것은 용어인데, 우리나라에서 먹는 간장이나 고추장으로 밑간을 해서 소고기나 돼지고기를 불에 굽거나 철판에 볶아먹는 요리를 통칭해서 불고기라고 일반적으로 하죠. 그런데 사실 서울식 불고기는 간장설탕 국물을 자작하게 해서 볼록철판에 저민 소고기를 반쯤 끓여먹는 요리고, 광양이나 언양식은 석쇠에 저며서 양념한 소고기를 직화로 구워먹는 양념장작구이라고 부를 수있는 별개의 요리죠. 완전히 다른 요리형태이고, 심지어 돼지불고기는 붉게 하면 제육볶음이라는 별도 명칭도 있구요. 또한 양념된 고기구이도 갈비에 한해서는 양념소갈비나 돼지갈비라고 명칭이 별개로 붙습니다. 뭉쳐서 구우면 너비아니나 떡갈비라고도 이름이 바뀌죠. 불고기로는 안부르구요. 정리하면 너무 많은 종류의 고기요리를 통칭해서 불고기로 부르는 것이 현실인데.. 이 용어가 어디에서 왔을까라는 의문점이 든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어원을 검색하면 생기는 문제가, 조선시대이전에는 한글이 아닌 한자로 기록이 되어 있으니 당시에 부르던 요리용어가 불고기인지 화육인지 소육인지 우리말로 뭐라고 불렀는지 알길이 없고 화육이나 소육은 화나 소가 동사로도 해석이 되니까 요리를 한 방식을 말하는 것으로 해석도 가능하니 답답하죠. 여기서 황교익씨가 개인적으로 해석한 것이 일본인이 우리나라의 고기구이 문화를 보고 소육(야끼니쿠)으로 부른것이 일제강점기때 일본인에게 불리우다 보니까 가게를 낼때 메뉴에 야끼니쿠로 써놓을 것이고 역으로 우리도 불고기로 부르게 되는 것이 아닌가라는 발상이죠. 물론 상상력이 많이 가미가 된 것을 팩트인 것처럼 단정지어 말하는 버릇이 있어서 지금같은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되었지만, 불고기라는 요리의 명칭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수있는 계기라는 측면에서는 나쁘게만 해석할 것은 아니다라는 저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제 생각에는 불고기라는 이름으로 너무 다른 요리들이 하나로 불리고 있어서 오히려 요리의 각각 개성이 뭍히는 느낌이 있거든요. 소고기는 부위를 백개가까이 나눠서 구워먹으면서 요리이름은 완전히 다른 요리를 불고기로 통칭해서 부르는게 외국인이 잘 모르고 우리나라 요리를 보고 단순히 불에구운고기로 불러서 그렇게 굳어진 것이 아닌가라는 상상은 한번쯤 해볼수는 있는거 아닐까요? 비슷한 예로 인도의 카레가 있죠. 많은 분들이 아시겠지만, 인도에는 카레가 없습니다.. 스리랑카에는 curry가 불리는 것이 있지만서도요. 단지 영국에서 인도식민지시절에 강황과 후추와 큐민, 올스파이스등의 다양한 재료를 합쳐서 고기나 야채와 끓인 소스요리를 전부 통칭해서 curry라고 부르고 그 요리가 전세계로 퍼진것이죠. 그중에서도 루를 볶아서 향신료와 섞어서 걸쭉하게 만든것을 일본에서 카레라고 일본식 영어로 부른 것이 국내로 들어와서 카레라고 하는 요리용어인데, 사실 인도인들이 보면 전혀 카레는 인도요리를 뜻하는 명칭이 아니어도, 일본과 한국인에게 카레라고 용어를 불리고 있잖아요. 이런 용어에 대한 논의가 인도기원의 요리를 그 기원이 역으로 왔다고 할 수는 없는 것처럼, 너무 비판적으로 갈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물론 일본,중국에서 의도를 가지고 용어를 바꾸려고 하는 것은 반대지만 국내에서 우리끼리 발상의 전환의 계기정도로는 언급할 수 있지 않을까요? 단순히 외국인이 무식해서 여러 요리를 한꺼번에 그들의 용어로 말한것을 역으로 불리게 되었다는 말인것인데요.. 참고로 일본에서는 야끼니쿠전문점에 가보면 한국요리를 팝니다. 육개장도 파는데도 있고 김, 김치등도 팔구요. 자국음식이라는 개념이 없죠. 단, 우리나라식의 불고기는 거의 못봤네요, 소금구이나 타레소스찍먹스타일이지요. 원래 외국음식의 일본화라는 것에 일본인은 굉장히 익숙하거든요. 화풍이라는 한자를 붙이면 만능이라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야끼니꾸전문점에는 화풍이라는 말이 끼어들 여지가 많지가 않습니다. 음식기원의 논란의 여지자체가 없어요.
한정식이란 용어도.. 참 논란의 여지가 있게 말한 것이 한정식에 나오는 요리를 가지고 한 말이 아니라 나오는 형식에 따른 정식이라는 용어때문이지요. 한정식이라고 하는 요릿집에 가면 일반적으로 코스요리식으로 한 요리를 차리고, 걷어가서 다시 가져와서 차리는 식으로 3~5회이상 하는것이 일반적이지요. 그런데 우리나라는 한상에 가득 차려서 한꺼번에 먹고, 숭늉이나 식혜,수정과를 먹거나 혹은 식탁 걷어간 가음 다과상과 차를 챙기는 식이지, 코스요리가 정통식은 아닙니다. 궁중요리에서 옛기록에 차례대로 나와서 한정식이다라고 말씀하시면, 따뜻하게 먹기위해 처음에 찬이 나오고 나중에 뜨거운 요리가 나오고 후식으로 나오는 형식은 일면 비슷하긴하나 나온 음식을 먹어서 비우고 가지고 나가고 다시 차려오는 방식보다는 추가의 형태라고 보는것이 맞지 않을까요? 일제강점기때 일본의 요정문화가 유입되어서 일본에서의 가이세키요리식으로 한상나오고 걷어가는 식의 코스요리형태가 서양식의 코스요리와 인식이 비슷하게 되면서 고급요리로 인식되어 한식도 한정식이라고 용어를 사용하면서 코스요리처럼 맛보는 식사가 나오고 나중에 간단한 식사차림이 나오는 형식이 굳어지는데.. 개인적으로는 먹다보면 처음부터 요리가 밥이랑 같이 나오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코스요리로는 전통한식이 그리 잘 어울리지 않아요. 한정식이라는 요리형태를 언급한 것도 불고기용어와 맞물리면서 같이 욕먹고 있는데, 전통적으로 정식이라는 말이 있었을까는 생각을 하면서 정식이라는 명칭에 대해서 잘 생각해보면 좋겠습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요새는 대중음식점에 정식이라고 된 메뉴를 시키면 한상에 정식코스용 요리가 한꺼번에 나오는 현실… 돈까스에 우동, 스시에 소바등 오히려 한상차림이 되었다는.. 그리고 황교익씨가 기생집에서 왔다는 식으로 말을 하니 듣는 입장에서는 짜증이 나고 반감이 가는것은 당연하죠. 요정이 일본에서야 고급요리집+접대장소지 우리나라에서는 일제강점기때부터 1980년대까지 기생집의 대신으로 고위급 윤락업소였으니 인식이 안좋죠. 형식만 가지고 말을 해야지 한정식의 원류가 기생집인것처럼 말하면 반감을 산것은 당연하긴 하나 용어만 가지고 논의할 가치는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