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
|
광주 아파트 붕괴 사고로 본 우리나라 건설업의 문제-1 http://todayhumor.com/?humordata_1937392
연달아 한번 작성해 봅니다.
★3. 구조도면 이해의 부재
과정이 어찌됐건 이제 도면이 현장으로 제출이 됐습니다.
실제 골조공사가 진행될 때 까지의 도면 흐름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겠습니다.
구조설계사(최초설계) → 건축설계사(도면작성) → 발주처(조합) → 건설사, 감리단 → Shop 업체, 골조시공업체
이 과정에서 구조분야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업무에 임하는 단계는 최초 구조설계 단계 외에는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건설사에 구조 담당 부서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1군 건설사 몇개에 불과하며 그렇다 하더라도 소수의 인원으로 수많은 현장을 담당하기에 그 역할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감리단에 대해서는 추후에 기술하도록 하겠습니다. )
이러한 흐름이다 보니 당연히 구조도면에 대한 재검토나 오류 사항을 발견하기가 어려우며 마지막 단계에서 Shop 도면이라 하여 실제 공사를 할 수 있도록 철골의 형상이나 철근의 배근상세 등의 정보를 포함한 도면이 작성, 제출 되는데 이 과정에서 구조분야의 전문가 그 누구도 검토를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여기서 하나 강조하여야 할 것은 구조도면은 실제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도록 설계한 자료를 담은 도면이지 시공 과정에서의 변화 내용은 반영이 안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광주 아파트 붕괴 사고 도면을 검토해 봐야겠지만 일반적으로 아파트로 사용하는 것은 문제 없을 것이나, 그 과정에서 시공을 어떤 방식으로 하느냐에 대한 내용은 빠져있을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구조분야에 대한 인식이 낮아 콘크리트가 점점 양생되며 강도가 상향하는 것이나 굳지 않은 콘크리트 타설을 할때의 추가 하중 등 그 과정에서의 검토 중요성을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전한 공사를 위해서는 시공 단계의 구조검토도 필수적입니다.
위의 내용을 정리하면 도면 작성부터 제출까지, 또한 시공이 되는 과정에서 구조 전문가의 검토 및 자문이 필요하나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사실 이 업무를 감리단에서 수행하여야 하나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아 감리단에서의 구조감리 수행 및 역량 향상의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글쓰는 실력이 좋지 못하여 제가 쓴글을 다시 읽어봤지만 썩 잘 읽히지 않는 것 같습니다.
이번 글을 여기서 마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