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고려왕조가 조선왕조보다 나은 이유 몇가지.
게시물ID : history_1940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라무네
추천 : 4/24
조회수 : 3393회
댓글수 : 42개
등록시간 : 2015/01/21 01:12:25
1. 고려시대에는 조선시대에 비해 필화사건이 훨씬 적었다.
> 필화사건이라는 요소를 궁극적으로 살펴보면 결국에는 특정 사안에 대해 하나의 틀로서 말하고 생각할 수 있는 자유를 억압하는걸 말하는거지요. 똑같이 사람들 잡아죽이고 재물 뺏아오는 짓거리라도 그냥 본인의 욕망에 충실해서 하는게 차라리 낫지 거기다 정치적인 명분을 끌어들여 이러한 자유를 억압하며 하는건 천지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필화사건이 반복될 수록 점점 언로가 막히고 합리주의가 아닌 원리주의가 판을 치게 되며 사회는 효율성에서 점점 멀어져 간다는걸 현대사회에서도 쉽게 목격할 수 있지요. 참고로 조선시대의 필화나 사화는 역사서에 남겨진 굵직한 사건들 뿐 아니라 조그마한 지역에서 누가 금서를 소지하고 있었다는 이유만으로 불문곡직하고 잡아가는 등 자잘한 사건들이 엄청나게 많았습니다. 일례로 연암 박지원이 출사를 포기하게 된 이유도 친하게 지냈던 친우가 바로 이 죄명으로 유명을 달리한 것이라고 하지요. 

2. 조선초기의 전성기는 사실상 고려의 유산 덕이 팔할 이상은 아니었을까.
> 무함마드 깐수 사건으로 유명한 정수일 교수는 고려말의 하이브리드 문화에 대해 한민족 문화의 정수라고 극찬합니다. 한민족을 본격 육식동물로 탈바꿈 시켜준 위대한 문화적인 퓨전은 회화나 건축 음악 문학 뿐 아니라 법률 같은 사회적인 문물까지 포괄하지요. 비록 그 연원이 몽골의 침략이라는 불행한 외침의 사건에서 나왔다 하더라도 적어도 문화사적 관점에는 외침이라는 요소는 별개로 보아야하지 않나 싶습니다. 또한 고려말 이런 문화적인 충격과는 별개로 애초에 고려라는 국가의 모델자체가 외부수용의 측면에서 중세국가라는 것을 감아나면 꽤나 보수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다고 보여집니다. 불교의 영향일까요. 이러한 고려의 사회적 코드와 고려말의 문화적 대변혁의 유산이 바로 조선초기의 조선의 리즈시절을 불러온 진주인공이 아닌가 싶습니다. 태종,황희,맹사성,장영실... 모두 고려말에서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인물들이었지요. 그리고 세월이 지나고 성리학을 바탕으로 조선만의 체계가 자리를 잡으면서 조선초의 전성기를 다시 재현할 동력은 사라지고 마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3. 유교라는 이름의 노예도덕, 전 국가의 내무반화.
> 사극을 보고 역사를 배우는 잘못된 습속에서 나온 오해 중에서도 가장 커다란 오해 중의 하나가 "정도전은 최초의 근대인"이라는 하나의 프로파간다입니다. 삼봉집에서 나오는 확증된 그의 사상을 따라가면 결국에 정도전은 요순이라는 이상으로 복고하고자 하는 주리학을 바탕으로 한 유교원리주의자일 뿐, 근대성과는 매우 거리가 멀다는걸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례로 "사대부와 천인의 차이는 서로 다른 기를 타고 났다는 것이고 이를 배분하는 하늘의 이치에 따름"이라는 주장이 뚜렷하게 명시되어 있습니다. 자꾸 눈에 헛게 보여 갖다붙이고 왜곡하려 하면 더욱 진실과 멀어질 따름이지요. 여하튼 이런 정도전의 믿음은 조선시대 500년을 관통하며 사회를 선도하고 (하늘의 이치에 따라) 백성들을 계도할 자격을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사대부 계층의 당위적인 도덕의 강제화로 구현됩니다. 그리고 이 도덕의 강제화는 조선을 좀 먹는 원천적인 독소조항이 된다는거지요. 흔히들 철학사에서 프리드리히 니체의 사상을 모더니즘의 디딤돌로 보고 있는데, 그가 "신은 죽었다" 선언한 것은 직접적으로 교회라는 종교 자체를 가리킨다기 보다는 좀 더 정확하게는 강제적인 도덕의 근원으로서의 교회를 지시하고 있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 도덕의 근원으로서의 역할은 동양의 유교 역시 마찬가지 입니다. 그리고 이 유교는 서양의 기독교보다 더욱더 완고하게 저항하다가 (적어도 한국에서는) 단절되는 운명을 가지게 되는 것이고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