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영화에서 이동 방향이 중요한 이유.jpg (반지의 제왕)
게시물ID : humordata_194297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우가가
추천 : 11
조회수 : 1582회
댓글수 : 5개
등록시간 : 2022/03/08 10:12:57
옵션
  • 펌글

02.webp.jpg

 

03.webp.jpg

 

04.webp.jpg

 

05.webp.jpg

 

06.webp.jpg

 

07.webp.jpg

 

08.webp.jpg

 

09.webp.jpg

 

10.webp.jpg

 

11.webp.jpg

 

12.webp.jpg

 

13.webp.jpg

 

14.webp.jpg

 

15.webp.jpg

 

인간의 기본적인 신체적 경향성이든

 

그로 인해 확보된 사회적인 경향성이든

 

 

기본적으로 관객은 좌-우 이동을 더 편하게 느끼고


우-좌 이동은 부자연스럽거나 불안하게 느끼게 된다.

 

 

많은 영화의 수평 이동은 이 원칙에 기반하여 짜여진다.


 


16.webp.jpg

 

17.webp.jpg

 

18.webp.jpg

 

19.webp.jpg

 


그로 인해 가장 기본적인 장치,


인물의 선과 악을 대비하는 것조차도 방향을 이용하면 더더욱 효과적이다.

 

 

 

 

20.webp.jpg

 


반지의 제왕 시리즈는 그런 가장 기본적인 영화 원칙을 잘 보여준다.

 

 

 

21.webp.jpg

 

22.webp.jpg



대규모 전쟁신에서도 그런 공식을 지키고


 

 

23.webp.jpg

 

24.webp.jpg

 

25.webp.jpg

 

 

주인공의 여정도 그런 법칙에 의거하여 방향을 정해


관객의 편안한 이입을 도와준다.

 

 

 


26.webp.jpg

 

27.webp.jpg

 

28.webp.jpg



헬름 협곡에서도 좌-우 대립의 법칙은 굳건하게 지켜지며

 


간달프의 등장은 수직적인 등장으로 그 원칙을 파괴하는 듯 보이나


간달프의 진격 방향 역시 본래의 원칙에 충실하다.


 


 

29.webp.jpg

 

30.webp.jpg

 

31.webp.jpg

 

32.webp.jpg

 


전쟁신과 프로도의 전진이 교차편집으로 어지럽게 등장하지만


그럼에도 방향과 인물 배치의 통일성으로 인해


관객은 쉽게 그 상황에 몰입하게 된다.


 


 


 

33.webp.jpg

 

34.webp.jpg

 

35.webp.jpg

 

36.webp.jpg

 


마지막조차도 그런 편안한 움직임을 보여준다.


 


악역의 움직임, 인물에게 큰 위기가 닥쳤을 때, 인물의 감정이 격렬한 등등의 경우에는


반대의 방향을 사용하는 것을 보여준다.


관객이 불안해야하는 공포영화 또한 우-좌 이동을 잘 활용한다.

  


예를들어 급류에 인물이 휩쓸려가는 장면은 우-좌 이동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1917, 반지의 제왕 등등)


 


 

 

00.png

 

 


좌-->우 를 자연스럽게 보는 이유에 대한 본문 초기의 설명은 

이동진 평론가의 개인적인 견해로 봐야 할 듯 합니다

 

동양 3국의 경우붓글씨를 상-->하 / 우-->좌 로 써 왔기에

동양화를 보는 시선의 방향은 우상-->좌하 를 자연스럽게 보거든요

(현재 일본 만화 읽는 방향 생각하시면..)

이건 살아온 익숙함에서 오는 것이라 인체의 특징에서 찾아질 건 아닐 것 같습니다



출처 http://huv.kr/pds1135842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6195622?view_best=1
영상 https://youtu.be/N7LzSZoODvY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