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한국에서 자꾸 산불이 대형화 되는 이유
게시물ID : humordata_194685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우가가
추천 : 15
조회수 : 2807회
댓글수 : 13개
등록시간 : 2022/04/11 11:34:47
옵션
  • 펌글

대용량 이미지입니다.
확인하시려면 클릭하세요.
크기 : 1.36 MB

 

02.webp.jpg

 

03.webp.jpg

 

 

계속된 벌목으로 조선 후기부터는 일부 북한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 전역에서 대부분의 숲이 사라졌는데, 한국전쟁 이후에 나무를 심어서 새로 숲을 만들었음.


그래서 우리 강산 푸르게 푸르게 만든 건 좋은데, 문제는 숲이 새로 생긴 다음에는 제대로 관리를 안하고 많이 방치했음.


처음에는 쪼그맣던 나무들이 시간이 지나면서 제법 빽빽해지고, 가지도 떨어지고, 낙엽도 쌓이고, 그러다가 불 붙으면 전부 싹 다 타서 사라지는 거임.


숲 관리를 계속 해줘야 하는데, 사람과 장비가 들어갈 임도(산림도로)부터 없으니까 산불 예방도 잘 안되는 거고, 산불 진압도 어려운 거고.


산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정말 많지만, 전문가들은 임도만 충분히 만들어도 산불 피해 규모를 확 줄일 수 있다고 말함.

 

 

 

 

 

00-0.png

 


 

출처 http://huv.kr/pds1144014
영상 채널 최재천의아마존 '산불에대해서' https://youtu.be/tHj3EgpPpvE
임목축적 이미지 http://know.nifos.go.kr/webzine/202003/m1_4.do 혹은 https://twitter.com/nifos_news/status/1255061000673353729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