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세계에서 오직 한국에서만 자생하는 나무 - 황칠
게시물ID : humordata_194964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오호유우
추천 : 16
조회수 : 4355회
댓글수 : 23개
등록시간 : 2022/05/07 20:24:54

 

 

 

 

 

11.jpg

 

 

 

 

황칠나무는 세계에서 오직 한반도 남부와 제주도에서만 자생하는 나무인데 


그 진액을 칠하면 색깔이 황금보다 더 좋다하여 


중국 황실도 한국의 황칠을 가져다 많이 사용했다 하며 


황칠은 먹으면 건강에도 아주 좋다 하네요.  

    

 

 


황칠나무

 

11.png

 

 

 

 


11.jpg

 

 

 

 

 

 

11.png

황칠나무에서 황칠이 나오는 모습


 

 



아래는 현대의 황칠 공예품들입니다. 

 

 

 

11.jpg

마한 금동관 복제품 

 

 

 

 

11.jpg

 

 

 

 

11.jpg

 

https://cafe.daum.net/Dendropanax/Kph9/9?q=%C8%B2%C4%A5%20%B1%B8%BF%B5%B1%B9&re=1

 

 

 

 

11.jpg

 

 

 

 

----------------------------------------------------------

 

 


2007. 02. 08.

한국일보

 



황칠은 황칠나무 줄기에 상처를 내서 뽑아낸 수액을 정제한 것으로, 니스나 래커처럼 투명하면서도 한번 칠하면 수백년 이상 은은한 금빛을 잃지 않는 천연 도료다. 

그 빛깔이 몹시 아름다울 뿐 아니라 나무나 쇠에 칠하면 좀과 녹이 슬지 않고 열에도 강해 '옻칠 천년, 황칠 만년'으로 통한다. 

그러나 '아름드리 나무에서 겨우 한 잔 넘칠 정도'(다산 정약용의 시 '황칠'에서) 밖에 나오지 않는 귀한 것이라, 궁중 물품에나 쓰였다. 

삼국시대에는 철제 투구나 갑옷, 화살촉 등에 발랐고, 고려 시대 왕의 용포나 용상 등에도 쓰였다고 전한다. 

황칠은 중국이 탐낸 물품이기도 했다. 

중국의 북송시대 문헌인 <책부원구>은 당 태종이 백제에 사신을 보내 의전용 갑옷에 입힐 금칠을 요청했다고 적고 있다. 

베이징의 자금성 내부를 치장한 금빛도 한국산 황칠로 알려져 있다.

오랜 세월 맥이 끊겼던 황칠은 90년대 초 전남 해남의 해안가에서 황칠나무가 자생하는 것이 발견되면서 최근 다시 각광을 받고 있다.


https://entertain.v.daum.net/v/20070208212109138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