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눈물을 마시는 새의 해외 반응이 뜨거운 이유 추측
게시물ID : humordata_199941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우가가
추천 : 18
조회수 : 3357회
댓글수 : 16개
등록시간 : 2023/09/21 00:28:33
옵션
  • 펌글

01.jpg

 

02.jpg

 

 

 


펭귄 랜덤하우스, 하퍼 콜린스등, 유명한 출판사를 통해 출간 예정

-독특한 판타지라 내부 반응이 상당히 좋음

-작품성은 듄과 비교될 정도

-24년 그래픽 노블과 함께 북미,영국에 출판 예정.

-독일에서도 최대 출판사인 펭귄랜덤하우스에서 출간 예정

-여기서도 반응이 매우 좋아서 23년 연말까지 빠르게 출간 계획


-총 13개국에서 출간 예정이고 각국 최대 출판사들과 계약.


 

 

 

03.jpg

 

 


우리나라 출판물로는 판권 역대 최고액 받음




 

 

 

 

 

 

04.jpg

 

05.jpg

 

 



사모는 륜이 니른 '아버지'라는 단어에 약간 놀랐다.

  

  [아버지라고?]

  

  륜은 낭패한 얼굴이 되었다.

  

  [저, 아버지라는 것은…]

  

  [아니, 그 니름이 무슨 뜻인지는 알아. 불신자들의 미신이지.]  

 

 [미신이라고요?]

  

  사모는 난처한 듯이 웃었다. 논쟁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륜은 물러날 기미가 없었다.

  

  [그래. 미신이지. 아버지라는 것은 없어.]

  

  사모의 냉정한 대답은 륜을 괴롭게 만들었다. 사모는 앞으로 한 발 다 가와 륜을 똑바로 바라보며 닐렀다.

  

  [륜. 나도 그렇고 너도 그렇지만, 우리는 그 남자가 준 것만으로 이루 어진 것이 아냐. '아버지'라는 그 우스운 단어를 꼭 사용하고 싶다면, 너는 어머님이 드신 동물들과 마신 물까지도 모두 아버지라고 불러야해. 니름도 안 되는 일이잖아?]



-본작의 주연인 나가 남매의 대화


 

 

 

 

06.jpg

 

 


인간의 혼인 제도가 나가들의 난혼보다 고등 한 방식이라 믿는 것은 실소를 금할 수 없는 자기중심적인 태도다. 때론 우리를 불쾌하게 만들곤 하는 논리적 탐구는 아쉽게도 우리의 혼인 제도가 나가의 난혼보다 별로 우월할 것이 없음을 증명해준다.

 

사람들은 동물보다 훨씬 성장이 느리다. 따라서 사람의 여자들은 성장이 빠른 동물들의 암컷에 비해 육아에 많은 시간과 자원을 투자해야 한다. 이것이 여자와 미숙한 자손 양자에게 위험한 투자임 은 자명하다. 혼인 제도는 수컷에게 이 위험을 분담하게 하는 제도다. 

 

즉 먹이를 구해오고 적대적 환경에 맞서 투쟁하는 등의 역 할을 남자가 담당함으로써 보다 안전한 재생산을 꾀하려는 제도가 우리의 혼인 제도다. 이것은 이를 테면 암컷 어미-새끼의 기본적 인 가족 구조에 수컷이 편입된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나가들의 경우는 수컷이 담당할 역할을 사회적 체계가 대신하고 있다. 심장적출법에 의해 나가 여자들은 자손을 충분히 보 호할 만큼 강력해졌으며 그들의 땅 한계선 이남에서 나가에게 불리한 거의 모든 요소를 일소했다. 

그 시점에서 나가 남자들은 자 신의 역할이 축소되는 것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더 이상 가족 의 기본 구조인 암컷 어미-새끼의 관계에 수컷이 끼여들 자리가 남지 않게 된 것이다. 역할이 감소되면 권력도 감소되는 것이 당 연하다. 그래서 나가의 사회는 여성이 지배한다...

 

 


그러니, 이 때려죽이고 싶도록 사랑스러운 손자 녀석아. 네게 있는지조차 의심스러운 그 '남성미'를 그렇게 표현하고 싶다면, 우 리 사회가 아직 남자들에게 '남성미에 대한 찬사와 존경'이라는 웃기는 대가를 지불하고서라도 남자들에게 수컷 역할을 맡겨야 할 만큼 원시적이라는 사실에 고마워하도록 해라! 

 

 


- 독설가로 유명했 던 우슬라 사르마크 부인이 혈기방장한 손자에게 들려준 애정 어린 충고 中.





 

 


 

 

07.jpg

 

08.jpg

 

 



작품에는 네 종족(인간, 도깨비, 나가, 레콘)이 등장하는데 네 종족 모두 결혼 풍습등의 문화적인 차이가 극과 극임


나가라는 종족은 서두에서도 봤겠지만, 모계사회를 넘어 결혼, 아버지라는 단어조차 없는 종족이며,

레콘이라는 전투종족은 일부다처제에 길가다가 맘에 드는 여자를 만나 부인으로 삼고 싶다면, 그 여자가 결혼했더라도 그 남편에게 싸움을 걸어 뺏어오는 종족



젠더 이슈는 커녕, 페미니즘이라는 단어조차 생소한 20년전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요새 메이저한 작품에 할당제처럼 들어가는 기계적인 젠더, 인종(남주->여주, 백인->흑인) 바꿔치기에 비해 훨씬 세련되게 녹아들고 있으며, 작품 내적으로도 각 종족들의 사회문화가 이렇게 달라졌는지 등의 설정이 치밀하게 구성되어 있어 읽을 때 전혀 어색함이 없음



독창적인 세계관을 만들어내는 것이 어려운 판타지 문학에서, 완전히 다른 종족들의 사회 문화를 표현해낸 작품이라는 점이 크게 먹히는듯

 

 

 

 

 

09.png

 

 


스타워즈 어벤져스 해리포터 반지의 제왕 등에 참여한 세계적인 컨셉 아티스트 이안 맥케이그의 눈마새 평가 



물론 본인이 참여한 작품임만큼 립서비스를 한 부분도 있겠지만, 그걸 감안하고서라도 굉장히 호평

 

 

 

 

 

 

 

 

00-0.png

 


 

 

출처 http://humoruniv.com/pds1257221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