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용산의 한 초등학교 교장은 최근 6학년 담임교사의 등 뒤에서 학생들이 이렇게 말하는 것을 듣고 놀랐다. 그는 “교사들이 말로만 나무라는 것도 한계에 이르렀는데 큰일”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교직 경력 20여 년의 서울 S중 김모(52) 교사도 당혹스럽긴 마찬가지다. 그는 “일부 학생은 툭 건드리기만 해도 ‘지금 체벌했나요’라고 말한다”며 “덩치 큰 남학생들은 정말 다루기 힘들다”고 말했다
1일부터 서울지역 모든 초·중·고교에서 체벌 금지가 시행되면서 교사들이 학생 지도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일부 학생이 수업을 방해해도 뾰족한 통제 방법이 없자 교사들이 학생 지도를 기피하는 현상도 벌써 나타나고 있다.
서울 K중 강모(43·여) 교사는 “성찰교실에 데리고 가고, 학부모 면담을 하느니 차라리 그냥 놔두려는 교사가 많다”고 말했다. 성찰교실이란 학교마다 문제가 있는 학생들을 데려다 놓고 교사와 상담하게 하는 별도의 공간이다. 상당수 학교가 성찰교실을 설치하지 못한 데다 어느 교사에게 운영을 맡길지도 정하지 못한 상황이다.
Y초등학교 신모 교장은 “문제 학생 상담교사를 정하지 못해 일단 교장이 맡기로 했다”며 “체벌 금지 등은 학교 자율에 맡겨야 할 일인데 교육청이 일방적으로 지시했다”고 말했다. 교사들도 시교육청의 조치에 무력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서울 Y고 강모 교사는 “일부 교사의 과도한 체벌은 분명 문제가 있다”며 “하지만 교사 전체를 체벌이나 하는 존재로 취급하는 것 같아 서글프다”고 말했다.
학생들이 체벌을 받았을 때 학교 홈페이지를 통해 알릴 수 있도록 신고센터를 만든 것도 논란이 되고 있다. 한 학교 교장은 “선생님의 행태를 고자질하라는 게 말이 되느냐”고 말했다.
학부모들은 수업 분위기가 어수선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중학생 학부모 김소현(44)씨는 “선생님들이 아이들 생활지도를 소홀히 할까 봐 걱정된다”며 “일부 문제 학생 때문에 대다수 학생의 학습권이 침해될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
서울시교육청은 문제 학생을 보다 구체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만들고, 초·중·고교별로 5곳씩 총 15곳에서 상황을 관찰해 추가 대응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매뉴얼은 무슨 나라가 어떻게 될려고 이렇게 가냐... 이렇게 가다가는 70~80년대로 다시 되돌아갈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