옵션 |
|
https://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humordata&no=2035230
https://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freeboard&no=2041477
위사건의 본질로 돌아가 다시 설명드리면...
8세 아이가 남의 집 마당에 들어가서 개물림 사고를 당한 상황입니다.
여기서 제가 집주인의 과실을 중심으로 내용을 정리하면
8세아이가 마당에 들어올 수 있도록 시건장치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점을 먼저 들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지만
내집에 무슨짓을 하든 무슨 상관이냐? 라고 말하는 분들이 많은데...
사회 통념상 집안에서 위험한 물건이나 상황을 초래한 경우 그로인해 생긴 사고는 집주인에게 책임이 있는겁니다.
그래서 공사현장 같은곳에 팬스를 치고 내부로 외부인이 들어오지 못하게 통제하는 이유가 바로 그거죠.
8세아이가 재주가 좋아서 2~3m담장을 뛰어 넘거나 잠겨져있는 문을 불법적으로 개방해서 들어오지 않은이상
집주인이 관리에 소홀했다는 점을 부정하기는 매우 어려울겁니다.
이건 역으로 개의 목줄끈이 풀렸을 경우를 생각해도 마찬가지구요.
(본문을 보면 아이가 그냥 문을 열고 들어간걸로 추정됩니다.)
물론 개주인 입장에서는 억울한 면이 있는걸 부정하는건 아닙니다.
특히나 돌을 던진부분에서 8세아이의 과실을 주장하는것도 정당하다고 생각하구요.
하지만 아이가 마당에 들어온게 사건의 시작이라면
가장 최초는 개주인이 시건장치나 담장의 보수를 허술하게 한게 먼저인거죠.
물론 개주인이 많은 노력을 한 사실은 인정합니다.
어떻게 보면 그냥 사소한 실수 같은 걸텐데
그런 사소한 실수가 만든 결과가 억울한 생각이 들더라도 감수해야 하는겁니다.
혹시나 사고 장소가 미국이면 상황이 다를수 있는데
그 이유를 조금 설명하면
미국은 과거 프론티어(개척문화) 정신이 깃들게 된게
땅덩이가 넓어 위험한 상황에서 공권력의 도움보다 내 소유의 총이나 반려견들의 도움이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있어
사유지에 대한 인식이 우리나라와는 엄청난 차이를 보입니다.
근데 그런 인식을 한국에 대입해서
내 공간안에 함부러 들어온 외부인을 공격하는건 정당한 행위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을 제대로된 애견인이라 부를 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경찰도 함부러 총을 쏘지 못하는 대한민국에서 말이죠)
-------------------------------------------
간단하게 설명하면 이렇습니다.
1. 개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사람을 물면 안된다.
2. 1에서 개가 사람을 물수있는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개주인은 철저하게 관리해야한다.(훈련이나 2~3중 안전장치 등)
3. 1,2의 경우가 미흡해 개물림 사고가 난 경우 개주인은 피해자에게 합당한 피해 보상을 하고 피해자의 현명한 조치를 기다린다.
쓰다보니 로봇의 3원칙같은 느낌인데
이게 무조건적으로 지켜져야한다는 말이 아니죠.
다시말하지만
그냥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위 게시물에서 논란이 되었던것처럼
개의 살처분의 결정권을 개주인 또는 피해자 둘 중 하나에게 주어야 한다면
저는 개주인보다는 피해자가 그나마 옳은 결정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거구요
(실질적으로는 지자체장이나 보건소 같은곳에서 결정할 일이겠지만...)
-----------------------------------------------
https://www.chosun.com/entertainments/entertain_photo/2022/08/09/TMRZWPN7WNEGWWS6IC6LKM6QLI/
저는 강형욱이 한 예능을 챙겨본건 아니지만 즐겨본 사람 입장에서 항상드는 의문이...
강형욱에게 개물림으로 의뢰를 한 개주인의 대부분이 본인이나 본인의 가족을 공격하기 때문이었더라는 거죠.
저는 여기서도 이상한 내로남불을 느낍니다.
본인의 경우에는 괴로워서 TV예능이나 훈련소같은곳에 돈들여 의뢰를 하면서
남의 경우에는 애써 외면하며 궤변에 가까운 정당성을 주장할까?
개를 키우고 개를 사랑한다고 애견인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개를 키우고 사랑하는 방식이 올바라야 진정한 애견인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100% 완벽할 수는 없겠지만... 그걸 개선하려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