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대통령의 밥상은 최고 권력자의 단면을 보여 주는 창이다. 김영삼(YS) 전 대통령의 '칼국수'는 군사정권시절 청와대의 호사스런 이미지를 희석시키려는 의지로 풀이됐다. 김대중(DJ) 전 대통령 집권 이후 영남 음식 일색이던 청와대 식탁에 홍어, 톳나물 등 호남 음식이 오른 점도 정권교체를 웅변했다. 그렇다면 이명박정부의 청와대 밥상에는 어떤 음식이 오를까. 출범 초기 청와대 공식만찬 단골 메뉴는 쌀가루로 면을 뽑은 국수였다. 쌀 가공식품에 대한 대통령의 관심이 청와대 식단에까지 반영된 사례다. 이 대통령이 주창해 온 '실용주의'가 식단에까지 파급된 셈이다. 그러나 비단 실용성 때문이 아니더라도 면류는 이 대통령이 즐겨 찾던 음식 중 하나다. 이 대통령은 가난한 어린시절에 대한 기억 때문에 잡곡밥 대신 쌀밥을 선호하는 점을 빼면 특별히 가리는 음식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만두, 풀빵, 빵, 떡, 케이크, 뻥튀기 등 각종 '주전부리'를 즐긴다. 빡빡한 일정 때문에 식사를 못하게 될 것 같으면 미련없이 도시락을 배달시킨다. 격식을 차려서 천천히 먹어야 하는 코스 요리보다 설렁탕, 안동국수, 삼계탕, 냉면 등 '후딱' 먹고 자리를 뜰 수 있는 음식을 선호한다. 대체로 서민적인 입맛을 지녔다는게 중론이다. 여름철 보양식으로는 개고기를 즐긴다. 특히 청와대 입성 전부터 단골이었던 '세검정 영양탕집' 음식은 경호처 직원들이 직접 방문해 포장구입한다. 누린내를 제거한 담백한 수육 맛에 반했다는 후문이다. 서울시장 때부터 즐겨 찾았던 서초동 '이남정' 음식도 청와대로 공수된다. 이 대통령은 이 집 사장이 알뜰하게 싸서 보내는 동치미 국물을 특히 좋아한다고 한다. 경호처의 검식 등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예전부터 즐겨 먹던 개고기와 설렁탕에 대한 이 대통령의 애정은 당분간 식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김선주기자
[email protected] 아저씨도 소가 무섭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