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일제가 현상금 300억원을 내건 '약산 김원봉'은 누구인가?
게시물ID : bestofbest_21618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cckk
추천 : 369
조회수 : 41364회
댓글수 : 67개
베오베 등록시간 : 2015/08/10 14:03:54
원본글 작성시간 : 2015/08/09 07:43:14
옵션
  • 펌글
  • 본인삭제금지
김원봉,박차정 두부부이야기는 훗날 대한민국이나 통일대한민국에선
국가누란의 위기시 바람직한 부부상으로서 많은 이야기거리가 드라마나 영화의
소재로 사용되길 바랍니다...ㅜ
 

http://media.daum.net/culture/book/newsview?newsid=20150807115104564

영화 <암살>의 배후인물 '약산 김원봉'은 누구인가?

[임기상의 역사산책 117] 일제가 현상금 300억원을 내건 독립투쟁 지도자

... 남에서는 월북한 '빨갱이'라고 비난하고, 북에서는 지도자 김일성 수상에게 반기를 든 '반동'이었으니. 이렇게 해서 약산은 해방 후 70년 동안 역사 속에서 잊혀졌다.
영화 <암살>에 나오는 약산 김원봉 (사진=영화 '암살' 스틸컷)
영화 <암살>에 나오는 약산 김원봉 (사진=영화 '암살' 스틸컷)

◇'의열단'을 결성한 김원봉 "일제의 주구를 처단하라"

군복 차림의 약산 김원봉. 해방될 때까지 총과 폭탄을 놓지 않았다. (KBS 다큐영상 캡처)
군복 차림의 약산 김원봉. 해방될 때까지 총과 폭탄을 놓지 않았다. (KBS 다큐영상 캡처)...

...

의열단은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만들었던 '마땅히 죽여야 할 대상' 이른바 '7가살'(七可殺)을 정했다.

1. 조선총독 이하 고관
2. 군부의 수뇌
3. 대만총독
4. 매국노
5. 친일파 거두
6. 왜적의 밀정
7. 반민족 토호열신(악덕 지방유지)

의열단은 '7가살'과 함께 5곳의 '파괴 대상'도 선정했다.

1. 조선총독부
2. 동양척식주식회사
3. 매일신보사
4. 각 경찰서
5. 기타 왜적의 중요 기관

의열단이 태동한 곳이다. 김원봉 등은 1919년 11월 중국 길림성 파호문 밖 반씨 집이었던 이곳에서 의열단을 창설했다. (사진=사진작가 고 권태균 제공)
의열단이 태동한 곳이다. 김원봉 등은 1919년 11월 중국 길림성 파호문 밖 반씨 집이었던 이곳에서 의열단을 창설했다. (사진=사진작가 고 권태균 제공)
의열단의 창립단원 대부분이 나라를 잃은 후 망명한 독립운동가들이 간도에 세운 '신흥무관학교' 출신이었다. 이들은 이 학교에서 사격과 폭탄 제조, 투척 방법 등을 배웠다. 단원들이 늘어나자 김원봉은 이렇게 선언했다.

"조선총독 죽이기를 5~6명에 이르면 후계자가 되려는 자가 없을 것이고, 도쿄에 폭탄을 터뜨려 매년 2회 놀라게 하면 그들 스스로 조선을 포기하게 될 것이다."

일제강점기의 부산경찰서 전경. 이곳에서 의열단의 첫번째 폭탄이 터진다.
일제강점기의 부산경찰서 전경. 이곳에서 의열단의 첫번째 폭탄이 터진다.

...


의열단원들이 남긴 사진. 이들 모두 살아서 해방을 보지 못했다.
의열단원들이 남긴 사진. 이들 모두 살아서 해방을 보지 못했다.


....충격을 받은 일제는 김구에게는 60만원의 현상금을, 김원봉에게는 100만원을 걸었다. 
현재 기준으로 보면 약 200억~300억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1939년 10월 10일 설립 1주년을 맞은 조선의용대가 중국 계림(桂林)에서 기념 사진을 찍었다.
1939년 10월 10일 설립 1주년을 맞은 조선의용대가 중국 계림(桂林)에서 기념 사진을 찍었다

조선의용대가 후퇴하면서 또는 적지에 잠입해 쓴 선전구호. (사진=사진작가 고 권태균 제공)
조선의용대가 후퇴하면서 또는 적지에 잠입해 쓴 선전구호. (사진=사진작가 고 권태균 제공)

◇쓸쓸하게 귀국한 후 친일경찰에 시달리다 월북의 길을 택하다

해방된 후 조국에 돌아와 대중집회에서 연설하는 김원봉. 그가 남긴 마지막 사진이다.
해방된 후 조국에 돌아와 대중집회에서 연설하는 김원봉. 그가 남긴 마지막 사진이다.

....그를 기다린 것은 친일경찰들의 폭행이었다. 경찰과 극우 청년단체들은 공공연하게 협박하고 암암리에 위협을 가했다.

김원봉이 구속된 것은 1947년 3월 22일이다. 전국노동조합평의회의 총파업 배후인물로 몰린 것이다. 중부경찰서에 구금된 김원봉은 일제하 최악의 친일경찰이었던 노덕술에게 구타와 고문을 당했다. 김원봉은 풀려나자마자 전 의열단원 유석현 집에 가서 꼬박 사흘간 울었다고 한다.

김원봉은 일제 군경이 엄청난 현상금을 걸고 붙잡으려고 했던 항일투사이다. 그런 그가 해방된 조국에서 일제 고등계 형사 출신의 경찰에게 붙잡혀 철장에 갇히고 온갖 수모와 구타를 당했으니 3일간 울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http://www.idom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86704

[취재노트]"밀양 신랑 김원봉이오"


"밀양 신랑 김원봉이오."

현재 흥행 가도를 달리는 영화 <암살> 속 김원봉(1898~1958) 선생이 신분을 확인하는 상해 임시정부 요인들에게 자신을 알리는 말이다. "밀양 신랑." 뜬금없는 '신랑'이라는 말에 관객은 고개를 갸웃하지만 이는 김원봉을 깊이 아는 사람에게는 남다른 수사이기도 하다.

김원봉 선생이 부인 박차정(1910~1944) 의사와 함께한 전사(戰士)적 동지로서의 삶과 로맨스는 전설이자 소설감이기 때문이다.

모든 게 척박한 중국에서 부부는 조국 독립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를 개설해 항일군사를 양성한다. 조선민족혁명당과 조선민족전선연맹, 조선의용대를 결성해 중국항전 참가와 일제타도 조국해방 임무도 수행한다. 

박차정은 22명으로 구성된 조선의용대 부녀복무단 단장을 맡아 활동 중 1939년 곤륜산 전투에서 부상을 당한다. 이 부상 후유증으로 박차정은 해방을 1년 앞두고 눈을 감는다. 김원봉은 해방 후 아내의 피묻은 적삼과 유골을 자신의 고향인 밀양 부북면 감천리 뒷산에 묻고 통곡한다.

한데 이 두 항일 열사를 기리는 일에 부산과 밀양은 차이가 난다. 박차정 의사 동상이 지난 2001년 금정구 만남의 광장에 세워지고 지난 2005년에는 부산시 지원으로 생가도 복원됐다.

 뒤이어 기념관 건립 논의도 이뤄졌으나 밀양에 있는 묘는 '무덤'이라는 표현이 맞다 싶을 정도로 쓸쓸하게 남아 있다...(생략)..


출처 http://media.daum.net/culture/book/newsview?newsid=20150807115104564

http://www.idom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486704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