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단편 역사] 유고와 40인의 번적(여진족 도적)
게시물ID : history_2170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핑골핀
추천 : 10
조회수 : 647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5/06/24 17:15:29
운암현의 절충군대정 유고는 병사들 10명을 이끌고 야간 순찰을 돌고 있었습니다. 거란과의 전쟁이 이미 예전에 끝났지만 경계를 느슨히 할 수 없는 노릇이었고 게다가 양계의 국경이나 해안에는 여진족 도적 무리인 번적들이 자주 출몰하였기에 이러한 순찰은 필요한 일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그들의 순찰 관할인 천정수라는 이름의 둔영에 도착하였을 때, 갑자기 번적 40여 명이 갑자기 튀어나와 천정수 둔영으로 돌입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갑작스런 기습에 게다가 인원도 고려군보다 훨씬 많았기에 고려군 병사들은 도망하여 숨기 급급했습니다. 이 때까지는 고려군의 사망플래그였지만 지휘관인 유고는 오히려 번적들에게 혼자 달려들어 공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러한 유고의 맹활약에 번적들은 오히려 역으로 당하여 탈탈 털리고 도망치고 말았습니다. 

PS) 누구든 유고를 건드리면 X되는 거에요. 


※ 임신일. 동북로병마사(使)가 다음과 같이 건의했다. “운암현( : 지금의 강원도 통천군 임남면)의 절충군() 대정() 유고() 등 11명이 야간 순찰을 돌다가 천정() 둔영에 이르자 번적() 40여 명이 둔영을 기습해 왔습니다. 군졸들은 모두 도망쳐 숨어버렸으나 유고만이 분연히 맞서 싸워 적들을 패주시켰으니 그 전공을 참작해 관직을 수여하시기 바랍니다.” (고려사 권7 세가 7 문종 1)

※ 동북로병마사가 아뢰기를, “운암현(雲嵒縣 강원 통천군) 절충군대정(折衝軍隊正) 유고(維古) 등 11명이 밤에 순라를 돌다가 천정수(泉井戍)에 이르자 번적 40여 명이 둔(屯) 가운데 돌입하였는데 우리 군졸들이 모두 도망하며 숨자 유고가 앞장서서 공격하여 적이 드디어 무너져 달아났으니, 그 공을 참작하여 직을 제수하소서." 하였다. (고려사절요 제4권 문종 인효대왕)


출처 고려사절요

고려사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