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뿌리깊은 나무에대한 단상, 성리학.
게시물ID : freeboard_557364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달마루
추천 : 0
조회수 : 373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1/12/07 10:19:30
드라마가 다소 성리학 vs 신진학문 내지는 한글의 구도로 가면서
세종을 성리학에 반대하는 인물로 그리고 사람들도 그렇게 인식하는데요...
아닙니다. 
세종 스스로가 한글을 창제하고 나서, 삼강행실도 즉 성리학적 도덕 교과서를 한글로 제작한포하지요,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것 이겠습니까? 성리학적 도덕 질서를 백성들도 한글과 그림을 통해 쉽게 알 수있도록 한 것입니다.성리학이 구태의연한 현실과는 전혀 멀고 보수층의 고리타분한 사상이며 이것은 조선의 근대화를 가로막고 사회를 병들게 했다는 것은일제시대 이후 섣부른 민족주의의 산물일 뿐 입니다. 

서구의 근대에 대한 컴플렉스 때문에, 한국내의 '자생적인' 근대 코드를 찾기위해 세종과 이후의 실학자 들을 '성리학에 반대하는'사람들도 몰고 간 것이지요. 일예를 정약용, 박지원 등의 실학자들은 성리학 체제에 반대하는 근대적 천재들 이라고 하지만 글쎄요. 정약용도 육경에대해 세계최초로 모두 주석을 달았을 정도로 성리학에 조예가 깊었던 인물이고, 그 스스로도 조선시대 병든것은 '성리학적 원칙이 지켜지지 않아서' 이지 '성리학이 구려서' 라고 한적은 없습니다.

또한 성리학이 완벽하게 국가 이데올로기로 자리잡은 것은 퇴계가 주자대전을 모두 읽고 연구 하고 나서 18세기에 와서야 입니다. 그 이전에는 과도기적 과정이지요, 이런 상황에서 주자학vs반 주자학 상황까지 몰고 가는것은 다소 과장이 아닐까 합니다.

크게는 우주의 원리부터 작게는 인간의 심성, 일상생활의 규칙까지 정치 경제 문화 음악 문학 온갖 분야의 총망라 된 것이 성리학 입니다. 성리학도 세종이 조예가 있엇던 분야중 하나일 뿐이며, 뿌리깊은 나무가 분명 중세인으로써 가장 뛰어나다 할 수 있는 세종의 업적과 치적을 돋보이게 하고, 맞는 드라마 이기는 하지만, 세종이 성리학에 반대한다는 관점은 극적 전개를 위한 사실과는 사뭇 다른 과장이 아닌가 합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