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김정일 사망] 합참 데프콘 3단계 격상
게시물ID : humordata_943615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라쿤찡
추천 : 2
조회수 : 1304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1/12/19 14:39:11
http://www.boannews.com/media/view.asp?idx=29165&kind=1





데프콘(대북 전투준비태세)

데프콘(Defcon)은 'Defense Readiness Condition'의 영문 약자로 대북 전투준비태세를 뜻한다.

북한의 군사활동을 감시하는 대북 정보감시태세인 `워치콘'(Watch Condition) 상태의 분석결과에 따라 '정규전'에 대비해 전군에 내려지는 전투준비태세이다. 1∼5단계로 나눠져 있고 숫자가 낮을수록 전쟁 발발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데프콘의 발령권한은 한미연합사령관에게 있으며 우리나라는 평상시 `4'인 상태가 유지된다. `3'으로 올라가면서부터 한국군이 갖고 있던 작전권이 한미연합사측으로 넘어가게 되며 전후방 부대의 움직임이 달라진다. '데프콘 3'이 되면 전군의 휴가, 외출이 금지되며 `데프콘 2'가 되면 탄약이 개인에게 지급되고 부대 편제인원이 100%로 충원되며 `데프콘 1'이 되면 동원령이 선포되고 전시로 돌입하게 된다.

데프콘 5 : 전쟁 위험이 없는 상태이다.

데프콘 4 : 전쟁 가능성이 상존하는 경우로, 53년 정전이래 우리나라는 이 상태이다.

데프콘 3 : 전 군의 휴가외출이 금지된다.

데프콘 2 : 휴가-외박 장병들의 전원복귀로 부대 편제인원이 100% 충원되고 장병들에게 실탄이 지급된다.

데프콘 1 : 동원령이 선포되는 전시상황


■ 발령 사례

'데프콘 3'는 76년 8월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으로 전 군에 처음 발령 됐으며, 83년 아웅산사태 때도 '데프콘 3'이 발령됐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