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한글의 날에 대해 이런 견해도 있더군요.
게시물ID : history_2364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하늘개구리
추천 : 1
조회수 : 1071회
댓글수 : 10개
등록시간 : 2015/10/09 17:01:59


[초동여담]한글은 '반포'되지 않았다
아시아경제|백우진

입력 14.10.07. 11:06 (수정 14.10.07. 11:06) 


한글날이 10월9일로 정해진 데에는 오역(誤譯)의 탓이 크다.
 
국어학자들은 '세종실록' 28년(1446년) 9월29일자의 "시월 훈민정음 성(是月 訓民正音 成)"을 "이달에 훈민정음이 완성됐다"고 번역했다. 그러나 이 문장에서 훈민정음은 한글이 아니라 자모를 만든 원리와 용례 등을 담은 책을 가리킨다. '훈민정음 해례본'이라고 불리는 책 말이다.(심재기ㆍ'한국 사람의 말과 글')
 
이 기록 바로 뒤에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로 시작하는 세종의 한글 창제 취지가 나오고 자모를 만든 원리와 예조판서 정인지의 서문이 이어진다. '세종실록'은 '훈민정음 해례본'이 완성됐다며 그 내용을 일부 소개한 것이다.
 
이런 번역은 '세종실록' 25년(1443년) 12월30일자에 "이달에 임금이 친히 언문 28자를 지었다"고 한 기록과 상충한다. 그러자 국어학자들은 한글이 1443년에 처음 만들어진 뒤 시험 기간을 거쳐 1446년에 반포됐다고 오해하게 됐다. 오역이 다른 왜곡으로 이어진 것이다.
 
이에 따라 1926년 한글학회의 전신인 조선어연구회는 음력 9월29일을 가갸날로 정했고 한글날은 여기에서 비롯됐다.
 
세종이 창제 후 약 3년 뒤 한글을 공식적으로 퍼뜨렸다는 주장은 두 시점 사이에 이뤄진 여러 한글 서적 편찬 작업에 비춰도 앞뒤가 맞지 않는다. '용비어천가'도 이때 편찬됐다. 왕조의 기원과 조선 건국을 찬양하는 이 서사시를 한글을 시험해보기 위해 지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북한은 1443년 한글이 창제된 시기를 양력으로 추정해 1월15일을 한글날로 정했다. 이날이 우리가 반포일로 오인해 기리는 날보다 한글날로 더 합당하다.
 
현재 한글날은 훈민정음이 선포된 날이 아니므로 한글날을 북한처럼 창제일로 옮기자고 제안하지는 않는다. '훈민정음 해례본'이 완성된 날도 기념할 가치가 충분하다. 이 책은 한글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철학과 원리에 따라 만들어졌음을 보여주는 인류의 유산이다. 다만 이날이 반포일이라는 널리 확산된 오해는 걷어냈으면 한다.
 
내가 더 강조하고자 하는 바는 한글은 초벌로 만든 다음 활용해 보면서 수정하고 다듬어 완성한 문자가 아니라는 점이다. 한글은 1443년 창제된 시점에 이미 완벽한 문자였다. 첫 자모 28자는 1446년에도 그대로 남았다. 어느 한 자모가 빠지지도 더해지지도 않았다. 이 대목에서도 우리는 세종을 우러러보고 한글을 찬탄하게 된다.

백우진 국제 선임기자 [email protected]

출처 http://m.media.daum.net/m/media/newsview/20141007110611595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