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가 막힐 따름이다. 기업의 현실은 전혀 고려를 안 해주면서 무조건 정규직 일자리를 만들라는 얘기 아닌가."
문재인 대통령까지 26일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 대한 강한 의지를 드러내면서 재계는 말 그대로 '패닉'에 빠졌다. 정규직화와 일자리 상황판 등에 대한 기업들의 불안감이 언론을 통해 전달된 뒤 "경제계 의견도 귀담아 듣겠다"는 반응을 기대했던 재계에서는 "새 정부의 방향성을 본 것 같아 답답하다"는 토로가 이어졌다. '일자리'를 제1과제로 삼고 있는 정부가 앞으로 더 강력한 고용 관련 정책들을 내놓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재계에서도 기업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자는 문재인정부의 기본 방침에는 동의한다. 문제는 방식이다.
이번 논란의 발단이 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는 세계적 추세와는 역행한다는 것이 기업들의 생각이다. 세계적인 추세인 '아웃소싱'을 마치 나쁜 일자리 양산으로 매도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이다. 20대 그룹 인사 담당 임원은 "수출로 먹고사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결과적으로는 해외 이전을 가속화시키는 엉뚱한 효과를 불러올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로 인해 발등의 불이 떨어진 한 대형 유통업체 임원은 "대형마트 출점은 엄격히 제한하면서 고용은 늘리라는 것이 앞뒤가 맞지 않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고용을 위해서는 매장 확대 등 신규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를 위한 규제 등은 유지·강화되는 상황에서 채용을 어떻게 늘리느냐는 얘기다.
문 대통령이 집무실에 마련한 '일자리 상황판'에 대해서도 "사실상 기업별 실적 경쟁을 시키려는 것 아니냐"고 염려하고 있다.
10대 그룹의 한 관계자는 "채용을 무조건 늘리라는 얘기로밖에는 들리지 않는다"며 "내부적으로 검토를 시작했지만 뾰족한 수가 없어 답답한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서는 새로운 산업의 육성과 투자 등이 선행돼야 하는데 지금은 그런 얘기는 없고 무조건 숫자만 늘리라는 것 같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중견 제조업체의 최고경영자(CEO)는 "맛있는 것은 다 먹으면서 살도 안 찔 수 있다고 설명하는 것처럼 말이 안 되는 얘기"라고 지적했다. 비정규직 근로자를 정규직으로 만들고 또 신규 고용도 늘릴 수 있는 여력이 되는 기업은 없다는 얘기다. 이 CEO는 이어 "청년 고용을 늘리면서 중장년 고용도 유지하라는 것은 기업에만 너무 많은 짐을 지우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정부와 재계와의 소통의 방식에 대한 불만도 터져나왔다. 경제단체의 한 고위 관계자는 "비정규직에 대한 정의와 기준, 또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했을 때 효과 등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양극화의 주범으로 경제단체를 지목하는 것은 부적절한 일"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와 경제계·노동계가 일자리를 늘리고 임금 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서로 상대방의 의견을 경청하고 대화 상대로 인정하는 자세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재계 관계자는 "문 대통령이 반대 의견을 환영한다면서도 경총을 비롯한 재계의 의견에 대해 '염려된다'는 평가를 내놓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