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한국어 너무 어려워” 국어문법과 자연어처리
게시물ID : science_2429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박댓텅령하야
추천 : 10
조회수 : 1873회
댓글수 : 15개
등록시간 : 2013/09/17 16:28:53
얼마전에 우리말이 어렵다는 게시물을 보고 든 생각인데, 어디다 쓸까 고민하다가, 
그래도 과게가 가장 어울리는 것 같아서 여기다 써봅니다. 

최초의 국어문법 연구는 유길준의 조선문전 (연대미상, 1897~1902년으로 추정) 으로부터 시작해서 1909년 주시경 선생이 국어문법을 완성해 그 기틀을 닦았습니다. 일제시기에도 최현배 정렬모 등이 우리말 연구를 계속했습니다. 일제시대의 문법연구는 일본 문법, 혹은 일본어로 번역된 서양 문법 이론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일본어·서구어 문법을 바탕으로 연구된 한국어 문법은 품사분류에만 바탕을 둠으로써, 한국어의 본질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었습니다. 

우리나라 문법연구는 미국의 구조주의 언어학의 영향으로 기술문법이라고 하는 형태론 연구에 많이 치우쳐져 있습니다. 말하자면 단어·형태소·활용 등의 연구에 많이 치우쳐있고, 통사론(syntax) 연구는 많이 뒤쳐져 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서구의 통사론 연구도 20세기 후반에 들어서 급격하게 발달했는데, 그때 우리나라 문법 연구는 중·고등학교의 문법 교육이 시작되는 시기였기때문에 우리 국문학자들이 적극적으로 통사론 연구를 할 여력이 없었던 탓이 큰 것 같습니다. 

형태론과 통사론을 비유하자면, 형태론은 유기화학, 통사론은 분자생물학에 비유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형태론은 개개의 단어들이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를 살펴보는 학문이고, 통사론은 개개의 단어들이 어떻게 문장을 이루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이쯤하면 느낌이 오겠지만, 한국어의 자연어처리 엔진 개발이 더디고, 한국어를 이용한 프로그래밍 언어가 거의 없는 것은 한국어 문장이 어떻게 생성되는지에 대해 학생들이 많이 배우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말하자면, 한국어의 통사론(syntax) 연구가 미비하기 때문에, 프로그래머가 아무리 자료구조와 알고리듬을 잘 이해한다해도, 한국어를 생성하고 이해하는 자료구조와 알고리듬을 개발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우리나라의 소프트웨어 경쟁력으로 직결됩니다. 다음과 네이버가 구글과 경쟁하지 못하는 이유는 단순히 CEO들의 정책이나 정부 시책의 차이 때문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미국의 글자코드인 ASCII 코드는 1960년대에 표준화가 되었지만, 우리말은 조합형 완성형 두벌식 세벌식으로 경쟁하다가 한국 정부의 ks x 1001, ksx 1003, 마이크로소프트의 cp949, 그리고 국제 표준인 유니코드까지 아직도 복잡하게 처리되고 있습니다. 

한글이 표준화가 되지 않고 있고, 한국어 문법도 형태론 연구에 집중돼 있으므로, 우리나라 컴공·컴싸 전공자들이 아무리 훌륭해도 깔끔한 자연어 처리 엔진을 만들지 못하는 것입니다. 자연어 처리엔진이 깔끔하지 못하면, 프로그램의 용량과 복잡도가 커지고, 운용에 필요한 데이타베이스 규모또한 커지고 복잡해집니다. 그로 인해서 처리속도는 느려지고, 많은 한국어 이용자들이 이탈하고, 영어를 조금이라도 배우면 영어 프로그램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한국어 이탈은 산업경쟁력 저하로 이어지고, 종국에는 한국어는 멸종되고 말 것입니다. 그도 그럴 것이 한복이 일상 생활에서 없어진 것도, 불편하기 때문인데, 한국어 또한, 앞으로 다가올 클라우드 정보사회에서 더 불편해지면 더 불편해지지 더 편해지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주시경·김소월을 배출한 배재대가 국문과를 폐지하고, 다른 많은 학교들도 국문과를 문예창작과·문화컨텐츠 학과로 변용해 작가나 기획자를 양성시켜 취업시키는 데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그나마 스티브 잡스가 인문학 운운 해서 약간 관심을 가지지만, 그나마도 한국어 문법 연구에는 별 관심이 없는 것 같아 안타깝기 그지없습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