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자쪼가리로 뭔 계산을 한다 그래?
게시물ID : science_2431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전자기크리
추천 : 17
조회수 : 1672회
댓글수 : 21개
등록시간 : 2013/09/17 23:04:20
단언컨대 21세기는디지털의 시대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시대에 역행하는 아날로그를 좋아하는사람들도 있죠. 태엽감는 기계식 시계라던지, 그보다 편한 아날로그식 자판이 새겨진 전자식 쿼츠시계라던지, 음악듣는 사람들은 진공관 오디오 앰프를 사용하기도 하죠.
 
 
 
 
 
2013-09-17 21.17.32.jpg
싸구려 기계식 시계입니다.하루에 한번씩은 태엽을 감아줘야 되고 시간도 맞춰주어야 합니다. 꽤 귀찮아요.
 
하지만 이러한 소소한 귀찮음이 아날로그의 매력이라고 하는사람도 있습니다. 단순하고 멋있기도 하고요.
기계식 시계는 배터리를 안쓰고도 시계가 움직인다니 멋지잖아요? 물론 계산기도 배터리를 안쓰는 계산기도 있습니다. 아날로그 계산기라고 할수 있는 계산척입니다.
 
영어로는 Slide Rule 라고 하고, 우리나라에서는 계산척, 계산자라고 불렸습니다. 
2013-09-17 18.57.40.jpg
짜잔~~
그냥 자쪼가리입니다. --;; "자쪼가리로 뭔 계산을 해?" 제가 처음 계산자를 봤을떄 내뱉은 말이었습니다.
 
일단 뭔가 특별한 무언가가 있을거 같으니 좀 더 살펴봅시다. 
 2013-09-17 18.58.00.jpg
왼쪽에는 KABCD 등등등의 알아먹을 수 없는 알파벳이 있고,
 
2013-09-17 18.58.12.jpg
뒷면에는 간단한 매뉴얼이 있습니다.
 
2013-09-17 19.55.58.jpg
오오 60년대 마데 인 우사의 위엄. 일본 우사시(市)에서 만들어서 마데 인 우사라고 붙였나? 
재질은 전부 금속제로 되어있어요. 일부러 Pickett의 제품을 산 것은 이베이에서 싸기도 하지만, 일단 프라스틱 자쪼가리 보다는 금속으로 된게 좀 더 내구성이 좋을거라고 생각했거든요...
image_ac354348-f59e-41e8-a3d3-4c217c6269aa.png
근데....60년대 만들어진 알루미늄 자쪼가리 휘어져서 덜렁거리고 유격 생겨있는거 보면 그런생각 안들껄...?
아무래도 연세가 좀 있으시다 보니 유격이 좀 있고 흔들거립니다. 이거보다 나이 좀 덜먹은것도 본적은 있었는데 플라스틱이라도 그건 상태 좋았는데..
 
 
아무튼
2013-09-17 19.52.34.jpg
2013-09-17 19.55.00.jpg
가운데는 이렇게 움직이기도 해요.
 
 2013-09-17 19.54.16.jpg
너무 움직이면 이렇게 빠지기도 합니다. 네. 자쪼가리 맞아요... 
 
 
 
사용해보기 전에 간단히 원리를 보고 넘어가도록 하자구요.
기본적으로는 로그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로그가 뭐냐고요? 국정원이나 검찰에서 조사하는거? 라고 말하면  수학시간에 무시칸놈이라는 소리 듣기 딱 좋습니다.
로그란 17세기영국에서 시작되어 20년에 한번씩 세계를은 아니고, 20년에 걸쳐서 손으로 계산해오신 계산의 달인 로그 김병만 선생의도 아니고 17세기 영국의 수학자인 존 네이피어가 발명하고, 20년 이상의 시간동안손으로 계산하여 로그표를 만들었다고 하는군요. 나중에는 밑이 10인 상용로그를 사용하게 되었고, 현재는 밑이 e인 자연로그를 많이 사용하죠.
상용로그표를 사용해서 로그값을 구하는것을 자로 옮겨놓은거라고 할 수 있는데, 나머지는 위키백과나 교과서 로그부분을 보면 어느정도 더 이해를 도울 거 같습니다. 
 
john.jpg
 17세기 스코틀랜드 수학자 존네이피어--이미지 출저 위키피디아
20년동안 계산만 했다니 ㄷㄷ 하네요. 하지만 그렇게 발명된 로그표는 천문학을 발전시키고, 나아가서 항해술의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항해술로 영국은 영국요리를 만들게 되죠기초과학을 무시하면 X되는거야..
 
그나저나 나름 계산기라니 계산을 해봅시다.
가장 쉬운 곱셈부터
 2013-09-17 19.49.53.jpg
 곱셈에서 사용할것은 딱 두개의 알파벳입니다. A랑 B에요.
 
 2곱하기1을 계산해 봐야겠죠? 일단 B의 1을 A의 2에 맞추고 B에 해당하는 A의 눈금을 읽어주면 됩니다.
 말로하니 귀찮고 복잡한데 사진으로 보죠.
 2013-09-17 20.10.56.jpg
 A에 2에 B의 1을 맞추고 A의 눈금을 읽어보면...B의 1에는 2 B의 2에는 4 B의 3에는 6...
이일은이 이이사 이삼육 이사팔...
 
음...얼추 맞는거 같은데, 이번에는 A의 3에 B의 1을 맞추면 3단의 구구단이 되는건가?
2013-09-17 20.14.29.jpg
 그렇습니다~
3에 1을 맞추면 3의 곱셈을 할 수 있네요.
그럼 좀 난이도를 올려서 12*34를 계산해 볼 수 있겠네요?
 
B의 1을 A의 1.2나 12에 맞춰주고, B의 34나 3.4의 눈금을 읽어보면...
2013-09-17 20.21.10.jpg
어디보자..작은눈금 하나에 0.5고...두칸 좀 덜간거 같은데, 대충 410정도로 근사 할 수 있겠군요.
그럼 계산기를 꺼내서 계산해보면...12*34=408 이니깐 대충 근사값으로 나옵니다..
 
그럼 이번에는 나눗셈을 해봐야죠.
나눗셈에서는 C와 D를 사용합니다.
5.7/3을 계산한다면...
C의 3에 D의 5.7을 맞춰주고 거꾸로 C의 1을 읽어주면 된다더군요.
2013-09-17 20.33.14.jpg
5.7과 3을 맞춰주고..
2013-09-17 20.33.38.jpg
C의1에 해당하는 D의 눈금이 1.9인가..?
계산기로 계산하면...5.7/3=1.9 가 나오는군요...
 
자쪼가리로 곱셈이랑 나눗셈을 할 수 있어....ㅋㅋㅋ
아 이걸로 자쪼가리에서 계산척으로 이름을 바꿔주어야 겠네요. 
 
위키백과의 힘을 빌리자면, K는 세제곱수, S는 사인, T는 탄젠트 L은 상용로그를 계산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더군요. 직각/극좌표계 변환에도 사용했다던데 이건 좀 더 찾아보고 연습해봐야 겠지만요. 이쯤왔으면 충분히 계산기다워졌죠.
 
하지만 이렇게 계산척으로 계산을 할 수 있었다지만 60~80년대 그러니깐 20세기 때의 이야기고요, 이후로 전자 계산기가 나오면서 계산자는 쇠퇴하게 됩니다. 그리고 탁상용 계산기는 발전에 발전을 거듭해서 이런물건이 나오게 되죠.
2013-09-17 20.42.27.jpg
졸 쉽네...--ㅋ
훨씬 직관적이고, 그래프도 그려주고 결정적으로 자쪼가리는 못하는 덧셈과 뺄셈을 하게 됐습니다!!! ㅡㅡ;;;
덧셈 뺄셈이야 그냥 연습장에 끄적여도 되지만요.
 
20세기에 사용되었던 계산척은 한낮 장난감으로 볼 수도 없던것은 실제로도 그 당시에 공학분야에서 많이 사용했던 것이거든요.
Buzz_Aldrin_Apollo11_with_slide_rule.jpg
아폴로11호에서의 버즈 올드린과 계산자...
네 문제는 도구에 있는게 아니었습니다. 내 손과 머리에 있던 거지...옛날사람들은 계산자로도 우주선에 달을 보냈는데...
그 당시에는 꽤 비쌌다고 하더군요. 지금이야 이베이가면 15불에 배송비 25불 붙는 배송비가 더 비싼 물건일뿐이지만.
 
그래도 지금의 계산기에 비하면 장점도 꽤 있는데..일단 멋있습니다. 무슨 말이 더 필요한지?
2013-09-17 23.03.06.jpg
배터리가 필요 없다는것도 장점이 되겠네요. 전자계산기 따위는 빠떼리 없으면 그냥 깡통에 불과하죠...이런 이유로 야전 군대에서는 아직 쓰는곳도 있는 모양이더군요.
요즘은 자주포라 FDC안에 계산기가 있다지만...측지병도 프로그래밍 되는 계산기 가지고 다니던데요.
 
2013-09-17 22.52.46.jpg
계산척에 대한 소개를 이만 마치도록 하죠.
근데 이걸 어디다 쓰지...? 시험볼때 계산자 펴서 이거로 계산하고 있으면 미친놈 취급할텐데..-0- 장식용으로 모셔놔야 될거 같네요.
근데 장식해 뒀다가 추석동안 사촌 꼬맹이들이 와서 이걸로 칼싸움이라도 하면... 그럼 즐거운 추석 보내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참고한 자료
http://www.sliderules.info
http://en.wikipedia.org/wiki/Slide_rule
http://ko.wikipedia.org/wiki/%EC%A1%B4_%EB%84%A4%EC%9D%B4%ED%94%BC%EC%96%B4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