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엄마!! 나 저거 사줘!!
게시물ID : humorstory_27598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사랑이그립다
추천 : 0
조회수 : 537회
댓글수 : 1개
등록시간 : 2012/01/27 20:28:41
<한글기사>

美과학자, 해리포터의 3-D 투명망토 개발!


어떤 공간, 어떤 각도에서나 물체를 안 보이게 만드는 기술이 마침내 개발돼 영화 속의 `투명 망토'가 현실화될 날이 눈 앞에 다가왔다고  사이언 스 데일리와 BBC 뉴스가 26일 보도했다.

미국 오스틴 텍사스주립대(UTA) 연구진은 새로 개발한 `플라스몬 메타물질'로 18㎝의 원통형 물체를 둘러 싸 마이크로파 영역에서 안 보이게 하는데 성공했다고 독일 물리학회지 `뉴 저널 오브 피직스'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그러나 이 실험이 아직까지는 전자기장 스펙트럼 중 마이크로파에서만 유효하다고 밝혔다.

모든 유형의 빛은 전기장과 자기장에서 모습을 나타내며 물체의 형태가 눈에 보 이는 것은 물체를 구성하는 원자들이 이런 장(場)을 흡수하거나 전달하거나  반사하는 데 따른 것이다. 

지금까지 개발된 투명망토 기술들은 대부분 빛을 휘어 돌아나가게 만드는  성질 을 갖도록 조작한 인공물질인 `메타물질' 소재에 집중돼 왔다. 즉 핀볼기계처럼  미 리 세밀하게 고안된 구조를 이용해 빛이 물체 주위로 돌아나가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연구진이 새로 개발한 플라스몬 메타물질은 이와 달리 모든 물질에  `음주광성(陰走光性: photonegative), 즉 빛을 산란시키지 않는 성질을 갖게 한다.

그 결과 투명 망토가 물체와 만나면 서로의 빛을 상쇄해 보는 각도에 상관없이 물체가 투명하게 보이는 것이다. 

연구진은 "플라스몬 은폐기술의 장점은 기존의 형태전환 메타물질 투명망토에 비해 우월한 견고성과 넓은 조작 대역폭"이라면서 이 덕분에 플라스몬 실험은  불완 전성이 생길 수도 있는 상황에서 더 큰 견고성을 보일 수 있었고 이것이야말로 자유 공간에서 입체를 은폐할 때 특히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과학자들은 영화 `해리 포터'에 나오는 것과 같은 가시광선 영역의 투명망토는 아직 요원하지만 이 기술을 다른 메타물질 기술과 결합시키면 5년 안에 플라스몬 투 명망토가 현실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

출처 - http://www.koreaherald.com/national/Detail.jsp?newsMLId=20120127000393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