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일제시대 건축왕,정세권-왕십리 토지 전쟁(일제의 서울 개발에 저항한)
게시물ID : history_2494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잠룡815
추천 : 4
조회수 : 2164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6/01/15 09:46:21
역게에선 아무도 안다룬사안으로 확인해보고 

어제는 깡패 10만명을 거느리고 같은 조선인들에게 악독하게 가했던 
일본국회의원까지 된 민족반역자 박춘금관련 기사를 올려봤는데

오늘은 조선물산장려회 운동과 조선어학회등에 큰 도움을 주신 일반인들은 잘 모르는 

세권님에 대해 올려봅니다. 

요즘 한창 프레시안에서 연재중인데 시간날때 한번쯤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이분은 서울북촌일대를 일본인 집단거주지로 할려는 일제시도에 맞서

엄청난 한옥들을 값싸게 대량으로 지어서 수많은 조선인들에게 

분양해서 쪽수로 조선인들이 북촌일대를 장악하게 만들어서

결과적으로 일본민간인들의 진출을 억제하는데 꽤 큰 역활을 하신분입니다.

그리고 

조선물산장려회 재정을 절대적으로 후원하면서 조선물산장려회의 황금기를 열었고, 

(본인의 건물 1층에는 조선물산장려회 물건을 판매하는 상점을 개설했고, 
별도 조직을 설립해 조선물산장려회 기관지를 만들고 홍보하셨죠)

조선어학회 재정을 지원하면서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고문을 당하며

(조선어학회 건물을 본인 자비로 건설해 기증하고 지속해서 후원하셨습니다.
 조선어학회는 말이 어학회지 어학회가 아니었죠
 1940년대 일제 폭압 속에서 우리 말과 글을 지키기 위해, 해외가 아닌 국내에서 목숨을 걸고 한 독립운동 단체랑 다름없어 관계자들에 대한 일제의 고문과 폭행은 장난아니었습니다. )

즉 조선물산장려회 운동과 조선어학회를 금전적으로 지원하다 끌려가서 일제에 개고생하셨던...분입니다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수난을 겪었던 '조선어학회 사건 수난 동지회' 단체 사진(1946년). 앞줄 왼쪽에서 두 번째가 정세권이다. ⓒ한글학회 제공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2314
일제의 견제 "서울이 정세권 것이란 말이냐!"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건양사, 경성 건설 40년의 역사

...........
비록 건양사가 어느 지역을 개발하였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다 하더라도,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등 신문의 분양 광고, 실생활 잡지에 나왔던 분양 광고와 건양사 회사 주소지 그리고 가족의 증언과 등본상 주소를 역추적하여 종합적으로 건양사의 개발 지역을 지도화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해당 지역 전체를 개발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경성 대부분의 지역을 책임지고 있다. 더군다나, 광고와 가족의 등본상 주소에 나와 있지 않은 개발 지역이 충분히 있다는 추정할 수 있기에,

 정세권의 개발지는 최소한 이 이상일 것이다.

▲ 그림 2, 건양사 개발지.


...............


아래 사진은 1975년 항공 사진에서 보이는 동대문 북쪽 창신동 지역이다. 창신동 651번지는 앞서 설명한 거부 조병택의 아방궁을 매입하여 개발한 지역으로, 레빗타운과 스케일은 다르나 작은 규모에서 비슷한 모양새의 주택을 대량으로 건설된 흔적은 매우 흡사하다.
  

▲ 1972년 동대문 인근 창신동 한옥 집단 지구. ⓒgis.seoul.go.kr


하지만, 더 놀라운 곳은 돈암 지구(보문동 지역)의 한옥 집단 지구이다. 일제는 보문동 일대를 당시 경성 외곽의 뉴타운 개발 지역으로 꼽고 일본인들을 이주시키려 하였으나, 실제 개발은 조선인 디벨로퍼들에 의해서 개발되었다. 개발 시기는 1937~1940년이다.(김영수, 동대문 밖 돈암지구 주거지의 형성과 변천, 서울학 연구, 2009) 

아래 모습은 시기적으로 미국의 레빗타운 건설 이전, 조선에서(포디즘을 고려했건 안 했건) 이미 레빗타운에 필적할 만한 규모의 주택 개발 단지가 건설되었음을 보여준다. 아래 사진은 1980년도의 항공 사진이니, 1940년 당시에는 온 지역이 한옥으로 덮여 있었다. 보문동 지역에 정세권의 건양사가 개발한 부분이 있는지는 현재 아는 바가 없다. 

▲ 1980년 보문동. ⓒgis.seoul.go.kr


따라서 그 규모가 다르다고는 할 수 있으나, 인구 폭증의 경성 1920~1930년대 우리나라에도 포디즘의 대량 생산에 비견되는 역할을 한 디벨로퍼, 건양사가 존재하였다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도 기념비적인 일이다. 

하지만, 그의 개발이 시사하는 큰 의미는 디벨로퍼 정세권이
일제의 도시 계획에 정면으로 저항하면서 한옥 집단 지구를 개발하였다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연재는 다음 회에 한다

.....................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2510


왕십리 토지 전쟁, 불붙다
[건축왕, 경성을 만들다] 일제의 도시 개발에 저항하다
| 2016.01.14 07:55:

...................

1920년대 정세권의 도시 계획/개발에 대한 인식은 일본인의 청계천 이북 북촌 진출을 막는 것이었다. "사람 수가 힘이다. 일본인의 북진을 막아야 한다"는 그의 인식은 한옥 집단 지구 형태로 투영되어, 북촌 등지에서 볼 수 있는 작은 한옥들이 처마를 이어가며 어우러진 형태의 대형 개발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를 통해 많은 조선인이 북촌에 거주할 수 있었고, 조선인의 북촌을 그나마 지켜낼 수 있었다. 


지속해서 일본인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뉴타운/신도시 개발 전략은 193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시도된다. 일제의 신도시 개발 전략은 서구의 도시 계획 이론 중 에버에저 하워드의 전원 도시 이론(Green City)을 바탕으로 세워졌다. 

대표적인 예가 1937년의 대경성중심의 100년 계획이다. 이는 경성의 인구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수원, 인천, 금포, 개성, 의정부, 춘천, 이천, 김양장 등 경성 주변의 8개 도시를 전원 도시(신도시)로 개발한다는 계획이었다. 경성과 이들 도시는 경성의 남대문과 동대문, 광희문을 포함한 6개 문에서 시작하여 방사형 도로로 연결되고, 각 도시를 잇는 환상형 도로가 8개 도시를 서로 연결하는 것이었다. (<매일신보> 1937년 2월 10일, 국토계획의 입장에서 '위성 도시' 건설 입안) 


▲ 대경성 중심의 위성 도시 계획(좌, <매일신보> 1937년 2월 10일), 에베네져 하워드의 Garden City 개념도(우, [Garden Cities of To-morrow](1902년). ⓒ김경민



▲ 京城(現ソウル)の郊外住宅地形成の諸相. ⓒ이지은


.............


제 아무리 조선인 갑부여도 해당 지역 부동산 개발에 뛰어드는 것은 무리였다. 북쪽은 지형적 조건이 맞지 않았고, 그의 관심권에 포착된 지역은 서대문과 동대문, 혜화문(성북동 일대), 그리고 광희문 외곽 왕십리 지역이었다. 정세권은 이 지역 일대를 실제로 개발하였는데, 동대문 일대는 과거 귀족층 주거 지역과 조선의 빈민층이 혼재한 지역이었고, 성북동과 서대문 지역은 조선인과 다른 민족들이 혼재한 성격의 지역이었다. 그러나 광희문 외곽 왕십리 일대 개발은 성격과 의미가 남다르다. 정세권과 일제(동양척식주식회사)가 정면으로 부닥친 곳이기 때문이다. 


.....................


 이 당시 정세권은 조선물산장려회 운동과 조선어학회를 지원하면서 일제의 요주의 인물 리스트에 오른 상태였다. 그런 그의 행동을 가족들은 매우 불안해하며 지켜봤다.


....................



일제의 경성 도시 계획에 영향을 준 에버에져 하워드의 이론의 핵심은 전원 도시와 사회 도시 이론이다. 전원 도시는 교외 지역의 뉴타운/신도시로 이해할 수 있고, 사회 도시는 여러 뉴타운/신도시들이 연합한 일종의 대도시권으로 볼 수 있는데, 여러 뉴타운들은 철도나 고속도로 등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춘다.(Ebenezer Howard, [Garden Cities of To-morrow], 1902) 

실제로 일제의 뉴타운/개발 계획에 맞춰 남대문 외곽의 후암동 일대에 거대한 문화 주택 단지를 개발하였고, 왕십리 일대와 보문동 일대에 새로운 뉴타운 개발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 (총독부 고시 제722호, 1936) 이는 하워드의 전원 도시 계획 이론에 입각하여, 후암동, 왕십리, 보문동 일대를 뉴타운으로 개발하고 이들 지역을 교통망으로 연결하는 계획이었다. 

만약 이것이 실현되었다면, 경성권 조선인들의 소재지는 경성 사대문 안과 일부 외곽 지역에 머문 채, 일본인들에 의해 둘러싸이게 되었을 것이다. 

..................

만약 동양척식주식회사가 막강한 자금력을 앞세워, 왕십리 일대 토지를 대량 매입하였다면, 1940년대 왕십리 일대는 남대문 외곽 일본인 주거지의 연장선에서 개발되었을 것이다. 


그렇기에 정세권과 동양척식주식회사 간의 왕십리 토지 전쟁은 도시계획/개발사적인 측면에서 그 의미가 남다르다. 그는 일제의 도시 계획에 정면으로 저항했다.


▲ 남산주회도로 계획도(1937년). ⓒ국가기록원


출처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132510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