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7월 7일 컴게 추천 PC
게시물ID : computer_24992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통행금지a
추천 : 12
조회수 : 2392회
댓글수 : 110개
등록시간 : 2015/07/07 18:01:45
※ 오버클럭이 필요한 견적은 200만원대 하나 빼고 싸그리 제거했습니다.
※ 그쪽이 보기도 편하고 견적글을 보시는 분들에겐 필요 없을 것 같아서요 절대 귀찮아서는 아닙니다



020 문서용.png

1. 20만원대 - 셀러론 문서용
오로지 진짜 부모님 집에 컴퓨터 하나 놔드리긴 해야겠는데... 에서 나온 컴퓨터입니다.
정말 어머님 아버님 웹서핑하는 정도는 할 수 있구요, 고스톱 정도는 돌아갈 수도 있습니다.

고스톱 이상의 게임용으로는 부적합합니다.


025 멀티미디어.png

2. 25만원대 - 펜티엄 문서용
위의 견적에서 CPU를 펜티엄으로 바꿨습니다. 메인보드도 좀더 신뢰도 있는 걸로 바꿨구요.
케이스도 미니타워 중에 좀 깔쌈하게 생긴 걸로 바꿨습니다. 뭐, 딱 그 정도에요.

역시나 고스톱 정도 할 수 있습니다. 그냥 고스톱 좀 편하게 하시라고 만드는 정도?
전에 한 번 램을 4+4 듀얼채널 해서 마영전 최하옵 돌리시는 분을 보긴 했는데 그냥 하지마세요. 절대로.


030 카베리.png

3. 30만원대 - APU 롤머신
AMD의 APU를 이용해서 짜본 롤머신입니다.
딱 롤 중옵이나 그림자 빼고 중상옵 정도 돌릴 수 있구요. 내장그래픽을 이용하기 때문에 듀얼채널로 구성했습니다.
파워는 보급형 패시브 400W를 사용했습니다. 350W로도 떡을 칠 수 있긴 한데 AMD가 살짝 못 미더워서요.

롤 사이퍼즈 던파 서든 전부 중상옵 정도로 돌아갑니다. 롤은 그림자 빼구요.


40 펜티엄.png

4. 40만원대 - 펜티엄 롤머신
펜티엄과 R7 360을 이용해서 구성했습니다. 아직까진 360에 거품이 좀 껴있네요.
전작인 R7 260X가 더 좋지 않느냐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분명 있을 겁니다.
사실 그 말이 맞아요. 360과 동성능인데 심지어는 더 싸기까지 하죠. 그냥 제가 구세대를 별로 안 좋아합니다.
거품이 대충 빠지는 시기다 싶으면 견적에도 그냥 다음 세대를 넣습니다.

롤 풀옵 충분히 돌아간다고 합니다.


50 i3.png

5. 50만원대 - 뭐야 그냥 지나가면 되는 i3잖아? 롤머신
i3에 R7 370으로 구성한 롤머신입니다. i3 가성비는 모두가 알아줄만큼 습니다
그냥 50만원대를 정 맞추고 싶을 때 맞추는 모델입니다.
역시나 R7 370 역시 전작인 R7 270x보다 성능이 떨어집니다. 위에서도 말했다시피 신제품을 좋아해서 넣었습니다.

블레이드 앤 소울 중하옵에 그림자 없애고 필드에서 40프레임 안팎으로 나옵니다. 던전에선 30프레임 정도?
롤은 충분히 풀옵 돌아가구요, GTA5도 돌리려면 돌려볼 수는 있죠. 물론, 시나리오만 깨는 게 정신건강에 좋습니다.



50 i5.png

6. 50만원대 - 안녕, 난 브로드웰 i5라고 해 롤머신
삘이 와서 한 번 브로드웰을 넣어봤습니다. 모두에게는 실험작 수준으로 평가받고 있는 아이죠.
50만원대 컴퓨터로 돌리는 게임은 대부분 VGA보단 CPU에 부하가 집중됩니다. 심지어는 블소조차 CPU 부하가 쩔어요.
그런 상황에서 i5의 네이티브 쿼드코어는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내장그래픽인 Iris Pro 6200의 성능도 한몫합니다. 듀얼채널 시 GTX750 발뒷꿈치를 잡는 정도의 성능이면 말 다 했죠.
외장그래픽이 없으니 파워도 패시브 350W로도 떡을 세 번 칩니다. 치고 남을 수도 있어요.
하지만, 어디까지나 이 i5-5675C의 경쟁 상대는 i3+외장 입니다. 얘에 외장을 넣는 순간 가성비는 나락으로 갑니다.
외장을 넣을거면 차라리 4690을 사용하는게 훨씬 나아요.


60 4460.png

7. 60만원대 - i5-4460 중저가 게이밍
네이티브 쿼드코어인 i5-4460에 R7 370을 넣은 모델입니다.
위의 두 50만원대 각각의 장점인 VGA/CPU를 합한 모습으로 솔직히 저라면 돈 좀 더 해서 이쪽 삽니다.
아직까지 파워는 패시브 500W면 충분할 것이라고 판단하여 저렇게 넣었습니다.

블소 중하옵 기준 던전에서도 40프레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검은사막도 중하옵으로 그림자 끄고 돌아갑니다.


70 4460.png

8. 70만원대 - i5-4460 중가형 게이밍
위의 60만원대 모델에서 그래픽카드를 R9 380으로 바꿔주었습니다.
GTX 960과 R9 380 사이에서 고민하다가 파워를 50W 더 먹더라도 성능이 좀더 높은 이쪽을 선택했습니다.
어차피 500W 파워면 380이 50W 더 먹어도 충분히 감당하니까요.
거기에 슬슬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SSD를 250G 넣었구요, 가격대를 맞추기 위해 하드는 뺐습니다. 아껴쓰세요.

블소 상옵 기준 던전 50프레임 안팎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검은사막도 중상옵 가능하며, GTA5도 상옵 가능합니다.
전 여기서부터를 진정한 게이밍PC의 시작이라고 보고있습니다.


80 4690.png

9. 80만원대 - i5-4690 중가형 게이밍
위의 70만원대 견적에서 안정성을 좀더 높였습니다. 4460 대신 클럭이 10% 더 높은 4690을 사용했습니다.
거기에 하드를 넣어 용량을 확보하였고, 파워 역시 믿음과 신뢰의 FSP로 바꿨습니다.

70만원대와 성능 자체는 크게 차이나지 않지만 덜 불안합니다.


100_0 4690.png

10. 100만원대 - i5-4690 중고가형 게이밍PC
VGA를 GTX970 슈퍼제트스트림으로 바꾸어달았습니다. 하이엔드 글카인데 가성비가 높은 이상한 카드입니다.
물론, 좋은 쪽으로 이상한 거니까 크게 상관하지 않아도 됩니다. 좋은게 좋은거죠. 3.5+0.5 빼고

블소 상옵에 그림자 빼고 던전에서도 60프레임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높은 사양입니다.
검은사막도 역시나 상옵 가능하고, GTA5도 마찬가지입니다. 떡치고 체력 남습니다.


100_1 1231.png

11. 100만원대 - 짭제온 중고가형 게이밍
4C4T의 i5 대신 4C8T의 E3-1231v3를 넣었습니다. 고사양 게임일 수록 스레드 활용도가 높아지기 때문이죠.
일단 저는 지갑 사정이 괜찮다면 i5 대신 1231v3를 추천하고 있습니다. 4690K가 가성비는 더 좋긴 하지만 오버클럭을 해야하니까요.

위와 게임에서의 프레임은 크게 차이나지 않습니다만, 게임을 하면서 딴짓을 할 때에는 좀더 좋은 성능을 발휘합니다.
배틀필드4처럼 스레드를 다 이용한다거나 하는 게임에서는 훨씬 좋은 성능을 발휘하는 경우도 있구요.


140 1231.png

12. 140만원대 - GTX980 고가형 게이밍
GTX980은 i5로도 충분히 성능을 뽑아낼 수는 있으나 이 정도 그래픽카드를 사용하는데 4C8T는 예의라고 보았습니다.
그에 따라 1231v3를 넣었고, 파워는 600W로 변경. 중급형 SSD인 MX200 500G를 넣었습니다.
처음에는 그래픽카드 역시 이엠텍의 슈퍼제트스트림을 사용할까 했으나 MSI의 트프가 고작 800원 차이길래 트프를 넣었습니다.
램도 16GB로 확장해서 쾌적함이 오래오래 유지되도록 만들었지요.

여기서부터는 배X맨 아XX이트 같은 발적화가 아닌 이상 어지간해서 최상옵으로 60프레임 고정 유지됩니다.
안되면 컴퓨터 탓을 아니고 게임이 발적화인 탓이니 게임사를 탓하세요.


180 1231.png

13. 170만원대 - GTX980ti 고가형 게이밍
GTX980을 넘어서 타이탄X 레퍼까지 위협하는 GTX980ti G1을 넣었습니다. 이쯤되면 모니터도 QHD를 사용해줘야 매너죠.
GTX980ti G1 하나가 거의 GTX980 SLI급 성능을 뽑아냅니다. AMD의 퓨리X도 4K 이상급의 모니터가 아닌 이상 질래야 질 수가 없죠.
퓨리X가 암적화 게임 QHD에서 GTX980ti 레퍼한테 발리는 거 보고 상당히 서글펐습니다 ㅠㅠ


200 4790k.png

14. 200만원대 - 이런 컴퓨터를 쓰는 사람은 견적을 볼 필요가 없을텐데 고가형 게이밍
GTX980ti는 기본이고 4790K와 Z97 보드를 이용해서 빵빵하게 오버를 하고자하는 사람들을 위한 견적입니다.
여기서 제일 중요한 것이 쿨러입니다. 제가 항상 강조하는 게 있는데, 성능이 보장되는 타워형 쿨러 중에 쟤가 제일 예쁩니다.
거짓말 같죠? 진짜에요. A-급 공랭쿨러쯤 되는데 디자인이 조그마한 차이를 커버합니다.
같은 회사의 ASSASSIN 같은거 보면 하... 성능은 어새신이 더 좋은데 하... LED 하.....






-


이번에도 역시 문제시 웁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