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책&공연소개-페르시아와 신라 영웅들의 대 서사시, ‘Silla:바실라’
게시물ID : history_25020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잠룡815
추천 : 1
조회수 : 601회
댓글수 : 2개
등록시간 : 2016/01/18 09:21:44
이란의 수도 테헤란이 대한민국 실질적인 수도 강남의 한복판에 테헤란 로로 존재하고

이란의 수도 테레란에는 서울로 가 존재하는 현실에서 재밌는 책과 공연이라고 생각합니다.



쿠쉬나메

 :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 공주의 천 년 사랑

이희수,다르유시 아크바르자데 공저 | 청아출판사

쿠쉬나메

바실라

 : 쿠쉬나메에서 찾아낸 페르시아 왕자와 신라 공주의 천 년 사랑

정명섭 저/이희수 자문 | 청아출판사

바실라



‘바실라’란 말은 페르시아 구전 대서사시인 [쿠쉬나메]에 등장하는 지명. 
[쿠쉬나메]는 사산조 페르시아 멸망 후 왕자 ‘아비틴’과 그의 아들 ‘페이둔’의 이야기를 그린 페르시아의 구전 대서사시입니다.


 [쿠쉬나메]에는 페르시아인들을 아랍에서 해방하는 구세주 ‘페이둔’의 어머니로 신라의 공주 ‘프라랑’이 등장하는데, 

‘바실라’는 프라랑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재구성했죠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2191044111&code=960201

[이기환의 흔적의 역사]페르시아 왕자, 신라공주와 혼인했었다

|문화·체육에디터 [email protected]
페르시아 왕자 아비틴과 신라공주 프라랑의 혼인을 묘사한 <쿠쉬나메>의 내용. |이희수 교수 제공

페르시아 왕자 아비틴과 신라공주 프라랑의 혼인을 묘사한 <쿠쉬나메>의 내용. |이희수 교수 제공



14세기 세밀화.  신라를 섬으로 표시했다. 페르시아의 왕자와 신라 공주, 그리고 궁녀들이 묘사돼있다. <쿠쉬나메>는 신라인과 신라여인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들이며, 신라에서는 용연향이 풍긴다고 묘사했다.|이희수교수 제공

14세기 세밀화. 신라를 섬으로 표시했다. 페르시아의 왕자와 신라 공주, 그리고 궁녀들이 묘사돼있다. <쿠쉬나메>는 신라인과 신라여인을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들이며, 신라에서는 용연향이 풍긴다고 묘사했다.|이희수교수 제공


.........................

 


■쿠쉬나메, 파천황의 자료

자료를 입수한 이희수 교수는 깜짝 놀랐다. ‘페르시아와 신라가 혈맹관계’ 였음을 알리는 방대한 내용이 담겨 있었다.

한마디로 요약하면 멸망한 사산조 페르시아의 왕족이 신라의 공주와 혼인, 왕자를 생산하고, 그 왕자가 이라크로 귀국해서 폭정자를 물리친다는 것이다.

현재 이 교수를 비롯한 국내학계와 다르유시 교수를 비롯한 이란 학계가 ‘쿠쉬나메’ 해독 및 번역작업을 벌이고 있다. 총 243쪽에 달하는 필사본 원본은 현재 영국도서관에 소장돼 있다.

쿠쉬나메는 총 1만129 쿠플레(대구·對句)가 넘는 방대한 양을 자랑한다. 이란내에서도 가장 중요한 구전 서사시이다. 그 가운데 신라를 중점적으로 다루는 구절은 1만219절 중에서 2011~5925절 사이를 구성한다. 역사기록으로 살펴볼 때 사산조 페르시아는 637년 카디시야 전투에서 아랍군에게 패배한 뒤 모술·니하반도·하마드한·라이·이스파한 등 주요도시들을 잇달아 잃으면서 멸망한다.

사산조 페르시아의 마지막 황제 아즈데기르드의 왕자 피루즈는 끝까지 저항했으며, 중국으로 망명한 뒤에는 이란인 잔존세력과 공동체를 이뤘다.

대서사시인 ‘쿠쉬나메’의 역사적인 배경은 바로 이 무렵(7세기 중반), 마지막 왕자 피루즈가 중국으로 망명한 뒤 사망한 시점인 것으로 보인다.

‘쿠쉬나메’에서 ‘쿠쉬’는 실존인물이라기 보다는 구전상의 영웅이다. 7세기말 아랍의 침공을 받아 멸망한 사산조 페르시아 말기의 중국 왕으로 묘사된다. ‘나메’는 ‘서(書)’이다. 말하자면 ‘쿠쉬나메’는 ‘쿠쉬서(書)’인 것이다.

■신라로 망명한 페르시아 왕족

<쿠쉬나메>에서 신라관련 내용을 알려온 다르유시 아크바르자데 교수(오른쪽)과 이희수 교수(한양대).      |이희수 교수 제공

<쿠쉬나메>에서 신라관련 내용을 알려온 다르유시 아크바르자데 교수(오른쪽)과 이희수 교수(한양대). |이희수 교수 제공

다음은 이희수 교수가 지금까지 번역한 ‘쿠쉬나메’의 내용이다. 이희수 교수는 한국·이란 학자들이 한창 번역 중인 내용을 조심스럽게 필자에게 전했다.

7세기 중반, 사산조 페르시아의 멸망 이후 중국에 망명한 이란인들의 공동체를 지휘하던 인물 가운데 아비틴(Abtin)이 있었다. 그런데 아비틴은 중국 내의 정치적인 대혼란기에 이란 공동체가 도륙을 당하게 되자 망명을 결심한다. 아비틴이 이끄는 이란 공동체는 마친(Machin·중국의 주변국)왕의 주선으로 신라로 망명한다. 마친왕은 “신라 왕 타이후르(Tayhur)를 추천한다”면서 “신라는 낙원이나 다름없으며, 침략이 불가능한 안전한 나라”라며 신라를 망명지로 추천한 것이다.

신라왕 타이후르는 아비틴 일행이 신라에 도착하자 극진하게 영접한다. 우선 두 아들이 인솔하는 대군대를 항구로 보내 아비틴 일행을 환대한다. 망명단은 타이후르의 성(城)으로 향한다. 음악이 흐르고 성대한 축제가 열린다. <쿠쉬나메>의 저자는 타이후르의 성과 골목, 길가, 정원, 도시의 주변 모습, 신라의 아름다운 음악과 연주자들, 정원의 새들, 왕의 환대 등을 자세하게 묘사한다.

타이후르는 이비틴과 함께 황금왕좌에 앉아 연회를 베풀며 긴밀한 대화를 나눈다. 아비틴이 ‘중국으로의 송환’을 걱정하자 타이후르는 “신라는 중국의 속국이 아닌 독립국”이라며 “당신 일행을 도울 것”이라고 다짐한다. 그 증표로 진귀한 선물을 건네준다. 아비틴과 타이후르는 이란의 스포츠인 폴로(격구)를 즐긴다. 원래는 ‘신라 대 이란’으로 팀을 나눠 경기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아비틴은 국가간 경기가 과열양상으로 치닫을 것을 우려한 나머지 양국 선수들을 섞어 경기를 치른다. 타이후르는 “이란인들의 폴로실력이 대단하다”고 격찬한다.

■신라의 해상봉쇄에 나선 중국

이란 남성들이 이란 유적을 답사하던 한국여성에게 ‘양금이’하면서 다가와 사진을 함께 찍고 있다. 필자 일행이 2008년 2월 이란답사 중 겪은 흥미로운 광경이다.

이란 남성들이 이란 유적을 답사하던 한국여성에게 ‘양금이’하면서 다가와 사진을 함께 찍고 있다. 필자 일행이 2008년 2월 이란답사 중 겪은 흥미로운 광경이다.

중국의 쿠쉬(왕)는 이란인들이 신라로 망명했다는 소식에 분노한다. 신라왕과 아비틴은 협박하는 장문의 편지를 보낸다. 타이후르는 모욕감이 치를 떨며 아비틴에게 “가장 강경한 어조로 답장을 보내라”고 요청한다. 중국 왕은 대대적인 침공에 나선다. 하지만 신라-이란 연합군은 곧 중국 침공군을 대파하고 대륙으로 쫓아낸다. 허겁지겁 도망간 중국왕의 아버지는 아들에게 “다시는 신라를 공격하지 말라”고 신신당부한다.

“신라를 정복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대신 신라를 계속해서 포위하고 타이후르가 스스로 항복하게 해라.”

말하자면 직접 공격 대신, ‘해상봉쇄를 통한 경제제재’가 효과적인 공세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마치 요즘 서방의 이란 경제제재를 방불케 하는 대목이다. 중국왕이 이란인들의 신라망명을 주선한 마친왕을 핍박하자 신라-이란 연합군은 중국 원정길을 떠난다. 아비틴이 지휘하는 연합군은 중국의 심장부를 점령한 뒤 전리품의 반을 신라에 보낸다.

■신라 공주와 결혼하면?

원정을 성공적으로 이끈 아비틴은 다시 신라왕 타이후르의 환대를 받는다. 아비틴은 타이후르의 딸인 신라공주 프라랑(Frarang)과 혼인할 마음을 갖는다. 측근들로부터 “신라 소녀들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답고 덕까지 갖췄으며, 그 가운데 신라공주가 최고”라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었다. 아비틴은 타이후르를 만나 조심스럽게 “따님과 혼인하고 싶다”고 제안했다. 하지만 신라왕은 주저한다.

“신라법에 이방인에게 딸자식을 내주지 않아요. 내가 딸을 내준다면 귀족들이 우습게 볼 겁니다.”

아바틴은 자신이 이란의 전설적인 왕인 잠쉬드(Jamshid)의 후예임을 강조하면서 “절대 우스운 혼인은 아니다”라고 강조한다. 고민하던 타이후르는 마침내 혼인을 승락한다.

<쿠쉬나메> 인쇄물. 사시의 원 편찬자는 11세기 대학자인 이란샤 이븐 압달 하이르였다. |한양대 문화재연구소 제공

<쿠쉬나메> 인쇄물. 사시의 원 편찬자는 11세기 대학자인 이란샤 이븐 압달 하이르였다. |한양대 문화재연구소 제공

하지만 조건을 단다. 아비틴이 한번도 본 적이 없는 공주 프라랑을 10명의 처녀들 틈에 섞어 놓고는 “찾아보라”고 시험한 것이다.

아비틴은 좌절하지만, 몰래 공주의 인상착의를 가르쳐 준 측근들의 기지 덕분에 공주를 찾는다. 우여곡절 끝에 혼인이 성사됐다. 성대한 혼인식을 치른 아비틴-프라랑 커플은 아이를 임신한다.

그런데 아비틴의 꿈에 “장차 태어날 왕자가 바그다드의 자하크(아랍의 폭정자)을 물리치고 이란인의 복수를 해줄 것”이라는 계시가 나타난다. 신라왕은 낙담했지만 부부를 떠나 보낼 수밖에 없었다. 프라랑은 이란으로 가는 배에서 왕자를 생산한다. 왕자의 이름은 파리둔(Faridun)이다. 이란에 도착한 아비틴은 자하크의 맹공세에 그만 전사하고 만다. 너무 어렸던 파리둔은 아버지의 죽음을 모른채 신하들로부터 교육을 받으며 자란다.

■중국대륙을 점령한 신라

한편 신라도 6년에 걸친 중국왕 쿠쉬의 맹공에 말려 누란의 위기에 빠진다.

타이후르의 아들 가람은 이 전투를 대승으로 이끈 주역이 된다. 이 무렵 신라왕 타이후르는 이란에 있는 딸 프라랑의 편지를 받는다.

“아버지, 저의 아들, 파리둔이 자하크를 패배시키고 철끈으로 묶어 산에 가두었습니다. 그리고 그의 모든 군대를 죽였습니다.”

타이후르는 매우 기뻐하며 성대한 연회를 열었다. 타이후르는 마친에서 중국에 이르기까지 바하크의 땅으로 남아있던 곳을 차지하고, 중국의 수도 호마단(Khomadan)까지 점령한다.

타이후르는 중국과 마친에서 7년을 보냈고, 결국 병들어 신라로 돌아와 신라에서 생을 마감한다. 그리고 타이후르의 아들 가람이 왕좌를 이어 신라를 다스린다.

이상이 이희수 교수가 전한 <쿠쉬나메>, 대강의 내용이다.


.....................................

출처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2191044111&code=960201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