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전문대 전기과인데 IT개발자로 가는 건 어떤가요?개발자분들 질문있습니다.
게시물ID : emigration_250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스발
추천 : 1
조회수 : 1572회
댓글수 : 7개
등록시간 : 2017/02/09 21:27:16
옵션
  • 본인삭제금지
미국이나 캐나다 호주 쪽 이민이 거의 개발자들이 많이 가는 거 같아서 차라리 지금부터라도

프로그래밍을 시작해볼려는데 전기과 보다 개발자로 하는게 더 좋을까요?

나이는 20 후반 진입인데 몇 개월 뒤 워홀 2~3년 몇 곳 갔다가 해외2년제 전문대 입학을 통해서 이민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전기과 전공한거 그대로 전기과로 정해서 엔지니어링으로 할지 아니면 지금부터라도

프로그래밍 독학해서 워홀 끝나고 컬리지 입합 할 때까지 좀 공부했다가 컴공과로 전향을 할지 고민중입니다.

당장 정하는 거는 아닌지라 일단 프로그래밍을 부가적으로 배워두기는 할려는데요...

뭐부터 봐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대략 개발이란게 c나 자바 ,파이썬 뭐 이런 각개의 컴퓨터용 언어를 배워서

그 중 한개의 언어를 가지고 개발을 하는 거 같던데...국내에서는 자바 기반이기 때문에 자바나 파이썬 부터 배우라는 글을 많이 봤습니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다른 언어를 더 중심적으로 사용하기때문에 이민이라면 그 나라에서 가장 많이 쓰는 언어를

배우라는데 미국이나 캐나다에서 많이 쓰는 거는 어떤 언어인가요? 일단 그 언어 책 부터 사서 볼까 하는데...독학으로

기초를 때고 나서는 깃허브인지 오픈소스에서 계속 활동하면서 경험을 쌓고 컬리지 졸업과 함께 

취직후 몇 년뒤 프리랜서 전향 구상을 생각중입니다. 물론 영어도 최대한 노력해서 아이엘츠6 될정도로 만들꺼구요...

뭐가 됐든 기승전 영어가 가장 중요한 건 알고 있습니다.

근데 나이가 한국에서는 20대인데도 후반이라 늦은 나이라고 나이제한이 걸리는 거 보면 해외는 나이제한을 안 보는지 걱정입니다.

이제 막 프로그래밍 공부에 발을 내딛는 판인데 회사에서 신입으로 돈은 적게 받지만 현장에 써먹을 수 있을 정도록 수준을 올릴려면

지금부터 공부해서 얼마정도의 시간이 걸리나요? 꾸준히 하면 1년정도 걸릴까요? 1년 정도면 깃허브 라는 곳을 들락날락 가능할련지..?

그리고 30대 넘어서도 해외는 신입으로 충분히 취업하고 그러나요? 

또 앞으로도 개발자로서 이민 수요는 꾸준히 널려있을지?

만약 제가 개발자 길을 선택 할지 안 할지 모르겠지만 선택한다는 가정하에서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