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광우병에 대한 설명을 모아 봅시다.
게시물ID : sisa_2509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연작
추천 : 2
조회수 : 278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06/10/31 18:49:55
오늘 베유에 올라온 글을 보니 의외로 사람들이 광우병에 대해 잘 모르시는 것 같아서 제가 먼저 시작합니다. 추가적인 지식이나 잘못된 곳을 리플로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
1. 광우병을 유발하는 것은 프레온이라는 단백질입니다. 프레온이라는 단백질은 쉽게 생각하면 팩맨에 비유할 수 있는데, 어떤 개체 안에 들어가면 팩맨처럼 뇌세포를 먹어치우는 활동을 합니다.

2. 프레온이라는 단백질은 사람이 식인할 때, 그리고 채식동물이 육식을 할 때 생기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프레온이라는 단백질을 처음 발견한 것은 태평양 지역의 어떤 섬에 사는 식인종이 이상한 증세를 보임에 따라 그들을 연구하다가 발견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광우병은 어떤 치료약도 없으며, 걸리면 그냥 죽을 때까지 미쳐서 살다가 죽으면 됩니다.

4. 광우병은 잠복기간이 길어서 프레온이라는 단백질이 몸에 유입되도 5~30년 동안은 활동을 안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일단 활동을 시작하면 대부분 1년 내에 죽게 되며 치사율은 거의 100%에 달합니다. (사실 안 죽는 게 더 고통일 듯)

5. 야곱병 혹은 알츠하이머 병은 50세 이상이 환자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것과 달리 광우병은 10대에도 걸릴 수 있는 병입니다. (실제로 영국에서는 13세 소녀가 광우병에 걸려서 15세에 사망했다고 합니다.)

6. 프레온이라는 단백질은 생명체가 아니기 때문에 태워도 죽지 않으며, 만약 태우면 재가 되어 하늘을 날아다니다가 우리 식탁에 내려앉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광우병을 근절하는 유일한 방법은 소를 비롯한 채식동물들에게 육식을 시키지 않는 것 뿐입니다. 

7. 그러나 미국에서는 이번 티비 방영에서 알려진 것처럼 소들을 가둬서 키우며 고기나 뼈가 섞인 사료를 먹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소들이 광우병에 걸릴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알츠하이머 병(일종의 치매 비슷한 병)으로 알려진 사람들 중에 상당수가 광우병일지도 모른다는 설명도 있습니다.

8. 이런 소가 사용되는 곳은 매우 광범위하며, 심지어 독감, B형 간염 등 각종 백신에조차 광우병 인자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