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임진왜란때 해상전에 대해 이해가 안되는부분
게시물ID : history_2546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그네블로
추천 : 1
조회수 : 2198회
댓글수 : 41개
등록시간 : 2016/02/21 22:57:02
흔히 임진왜란을 소재로 한 드라마나 영화같은데에 보면 조선수군이
 
일본 수군을 상대로 압승을 거두는 데에는 화포 등의 중화기로 인한
 
조선수군과 일본수군간 화력차가 압도적으로 났기 때문인 것으로 묘사되곤 하는데
 
실제로 당시 해상전에서 화포의 명중률이 낮아서 포격으로 인한 타격은 적고
 
보통 적선에 배를 붙여 백병전을 벌여 타격을 입힌다고 들었습니다.
 
 
제가 오해하는걸수도 있는데, 포격이 적선에 타격을 별로 못주는 상태에서
 
어차피 백병전으로 승부를 봐야 하는 상황이라면 전투의 전개가 육상전처럼
 
백병전에 능한 왜군들한테 더 유리하지 않았을까요? 배에 별로 맞지않는 포격때문에
 
병사들이 혼비백산할리는 없을거같은데;; 포격의 공이 별로 크지 않았던게
 
사실이라면 당시 조선수군이 연전연승했던 이유가 좀 이해가되지 않네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