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대한독립과결혼한만석꾼딸, 도쿄유학중3·1독립운동참가 임정첫여성의원 추모
게시물ID : history_2554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ot2
추천 : 1
조회수 : 818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6/03/02 10:48:32
옵션
  • 펌글

대한독립과결혼한만석꾼딸, 도쿄유학중3·1독립운동참가 임정첫여성의원 추모음악제가있습니다.

kim.JPG

“당신을 잊지 않았습니다”
김마리아 기념음악회


2016. 03. 03(목) 오후 7시 30분 이화여자대학교 음악관 김영의홀
주  최 : 사단법인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 이화여대 음악연구소
입장료 : 전석 10,000원
문  의 : 02-2183-1291

 

시간나시는 분들 추천드립니다.


다음은 관련 기사입니다.

다른 많은 여성운동가들도 가끔 생각해 주시길 바랍니다.


http://media.daum.net/culture/all/newsview?newsid=20160301072014705

대한 독립과 결혼한 만석꾼 딸, 그가 남긴 건 수저 한 벌

도쿄 유학 중 3·1독립운동 참가임정 첫 여성 의원, 1944년에 숨져3·1절 맞아 추모 음악회 열려중앙일보 | 배영대 | 입력 2016.03.01. 07:20

........................

3·1절을 맞아 여성 독립운동가 김마리아(1892~1944) 선생을 추모하는 음악회가 열린다. 제목부터가 ‘당신을 잊지 않았습니다’다. ‘한국의 잔다르크’라고까지 불리며 3·1 운동의 한 불씨 역할을 했던 김마리아를 재조명하는 자리다.

‘한국의 잔다르크’로 불리며 “나는 대한의 독립과 결혼했다”고 했던 김마리아. [사진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인문서원]
‘한국의 잔다르크’로 불리며 “나는 대한의 독립과 결혼했다”고 했던 김마리아. [사진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인문서원]
한말 최초의 여성 의병장인 윤희순(左),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조마리아(右). [사진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인문서원]
한말 최초의 여성 의병장인 윤희순(左),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조마리아(右). [사진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인문서원]
날아다니는 여자 장군이란 별명을 가졌던 남자현(左), 의열단을 이끈 김원봉의 아내이자 동지 박차정(右). [사진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인문서원]
날아다니는 여자 장군이란 별명을 가졌던 남자현(左), 의열단을 이끈 김원봉의 아내이자 동지 박차정(右). [사진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인문서원]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와 이화여대 음악연구소가 공동 주최해, 3일 오후 7시30분 이화여대 음악관 김영의홀에서 열린다. 김마리아를 기리는 노래 ‘님이여 어서 오소서’(이건용 작곡·홍준철 작사)가 초연될 예정이다.

황해도 장연군 소래마을의 만석꾼 집안에서 셋째 딸로 태어난 김마리아는 서울 정신여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도쿄여자학원에 유학 중 1919년 2·8독립선언에 참가했다.

2·8 독립선언서 10여 장을 미농지에 복사해 평생 한 번 입은 기모노 띠 속에 감추고 2월 15일 부산항으로 입국해 광주·대구·서울을 거쳐 황해도까지 독립선언문을 운반했다. 이렇게 3·1 독립운동에 참여한 선생은 3월 6일 체포됐다.

‘엘리트 신여성’으로 편안한 길을 마다하고 독립운동에 나선 그의 삶은 고난의 연속이다. 체포와 투옥을 거듭하면서 교육과 독립운동에 매진했다. 전국적 규모의 첫 여성독립운동 단체인 ‘대한민국애국부인회’를 조직해 활동을 계속했고, 몸이 극도로 쇠약해져 치료를 받다가 극적으로 병원을 탈출해 중국 상하이로 망명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는 김구 선생과 함께 황해도 의원으로 당선돼 활동하기도 했다. 첫 여성 의원이었다. 이어 다시 미국으로 망명했다가 공소시효가 끝난 1933년 고국으로 돌아왔으나 독립을 한 해 앞둔 44년 3월 13일 53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그의 유품은 수저 한 벌이 전부로 현재 정신여고 ‘김마리아관’에 보관돼 있다.

이송죽 김마리아선생기념사업회 실행이사는 “고문 후유증으로 일생을 고생하고 ‘나는 대한의 독립과 결혼했다’고 하면서 혼신의 힘을 바친 한국 독립운동의 대모 같은 분”이라며 “여성교육의 선구자이자 김마리아 선생의 집안을 빼고는 한국 독립운동을 얘기할 수 없을 정도인데도 제대로 조명받지 못한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추모 음악회라도 열리는 김마리아는 그나마 ‘괜찮은 처지’라고 해야 할까. 현재까지 알려진 전체 독립유공자 1만4300여 명 중 여성 독립운동가는 272명으로 전체의 3%도 안 된다.

한국여성독립운동연구소 심옥주 소장은 “국민들의 관심도 적고 연구자들의 관심도 이어지지 않아 여성 독립운동가에 대한 발굴과 조사가 제대로 안 되었다”며 “여성 독립운동가의 수가 본래 그렇게 적은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심 소장은 “그나마 지난해 영화 ‘암살’에서 독립운동가 남자현(1872~1933) 역을 맡은 배우 전지현이 전투적인 여전사의 모습을 새롭게 보여주면서 그 이후 여성 독립운동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어 다행”이라고 덧붙였다.

심 소장은 “한말 최초의 여성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 윤희순(1860~1935), 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조마리아(1862~1927), 의열단을 이끈 김원봉의 부인으로 총을 들고 전투에 참여한 박차정(1910~44) 여사 등 새롭게 조명할 여성 독립운동의 역사가 많다”며 “여성 독립운동을 재조명하는 일은 한국 어머니의 역할을 바로 세우는 일이다. 97년 국제통화기금(IMF) 사태 때 어머니들이 금 모으기에 적극 나섰던 것은 우연이 아니라 그 같은 역사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본다”고 밝혔다.


......................




출처 http://media.daum.net/culture/all/newsview?newsid=20160301072014705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