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부분의 이해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이 계시는것 같아 짧은 지식으로 쉽게 설명해 보겠습니다.
먼저 비트코인의 수학문제를 이해하시려면 해쉬 함수 라는 개념을 알고 넘어가셔야 하는데요,
해쉬 함수란 데이터 처리에 많이 쓰이는 함수로써, 임의의 길이의 데이터를 집어넣었을때, 고정된 길이의 데이터가 나오는 함수입니다.
실생활에 가까운 예제를 하나 들자면, 국어사전의 경우 'ㄱ', 'ㄴ', 'ㄷ' ... 의 순으로 단어들이 분류가 되어있죠?
이경우 <단어> 가 입력값
<첫 자음은 무엇인가?> 가 해쉬 함수
<ㄱ, ㄴ, ㄷ> 이 결과값 (또는 다른말로 해쉬값) 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해쉬 함수의 많은 쓰임새 중 하나가 방금 예를 든것과 같은 데이터 분류, 색인 작업입니다.
그렇다면 대체 비트코인 수학문제와 해쉬 함수가 무슨 상관이 있느냐?
하면, 비트코인 수학문제가 바로 특정 해쉬값을 가지는 입력값 때려맞추기 이기 때문입니다.
해쉬 함수의 특징중 하나가 바로 역함수가 존재하지 않는다. 라는 것인데요,
해쉬 함수의 역은 1대다 대응이기 때문에 함수로서 성립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시 국어사전의 예시를 빌리자면, '비트코인' 이라는 입력값은 해쉬함수를 거쳐 'ㅂ' 라는 결과값을 생성하지만,
우리는 'ㅂ' 만 보고서는 '비트코인' 이라는 원단어를 유추할 수가 없죠.
그렇기에, 비트코인 수학문제 라 함은 바로 임의의 수를 원하는 해쉬값이 나올때까지 대응해 보는 연산 노가다. 이고
복잡한 명령어 처리에 적합하게 설계된 CPU 보다, 단순 연산의 처리속도에 월등한 장점이 있는 GPU 가 그런 이유로 선호되는 것입니다.
그럼 남은 문제는 누가 그 수학문제를 제출하느냐? 겠죠?
뭉뚱그려 표현하자면, 비트코인 생태계가 문제를 자연생성 시킵니다.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거래정보 등이 해쉬함수의 입력값으로 사용되기 때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