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늑대
게시물ID : animal_25859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나쁜늑대
추천 : 10
조회수 : 1124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2/10/26 17:09:19
















글자크기


정의, 어원, 동일명 및 전설

개과 동물로 남쪽으로는 시마이 사막, 북쪽으로는 북극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분포.

생김새

털색은 밝은 갈색,회색,흰색,검은색,녹슨듯한 색
크기 1~1.6m. 몸무게 18~80kg
red wolf는 gray wolf 에 비해 체구가 얇고 얼굴은 갸름함. 긴 다리와 귀를 지니고 있으며 털이 짧은 편.

생태정보

짝짓기시기 1월~4월. 번식기 3월~4월. 초산연령 22개월~24개월. 임신기간(포란기간) 61~63일. 새끼수(산란수) 1~12마리
수명 14~16년

특징

먹이가 부족할 때 등 특이한 상황에서는 무리 사이 싸움이 발발하기도 한다. 싸움이 시작되면 다른 무리의 서식지 내로 들어가 상대를 해하기도 한다. 야행성이지만 날씨가 추워지면 낮에 활동을 하기도 한다. Gray wolf는 북반구의 남쪽 열대림과 건조한 사막을 제외한 모든 곳에 분포한다. Red wolf는 숲, 습지에 주로 분포한다. 남쪽으로는 시마이 사막, 북쪽으로는 북극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분포한다. 미국에서는 과거 여러 지역에 분포하였으나 현재는 미네소타 북부와 로키산맥 북쪽에 일부만 거주하고 있다. 서유럽에서는 대부분 근절되었으나 이탈리아와 노르웨이에 일부가 남아 있다. 중국에서는 남동부 일부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에 분포한다. 멸종위기 정보 gray wolf : least concern, red wolf : critically endangered.

시각, 후각, 청각 등 여러 감각을 동원해 무리간 의사소통을 한다. 길게 울부짖는 소리가 특징인데, 3~11초가량 지속되며 이를 이용해 9.6~11.2km 떨어져 있는 개체와도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위급한 일이 생겨 무리를 다시 모아야 할 때 이 같은 소리를 낸다. 영역 내 같은 장소에 주기적으로 소변, 대변 등 흔적을 남김으로써 이곳이 자신의 영역임을 표시하기도 한다. gray wolf는 보통 밝은 갈색이나 회색을 띈다. 하지만 지역에 따라 흰색, 검은색, 녹슨 듯한 색을 띄기도 한다. 배와 가슴, 다리부분은 흰색을 띈다. red wolf는 전체적으로 적갈색, 황갈색을 띤다. 등쪽은 검은 색이 많이 들어간 어두운 적갈색을 띠며 배쪽은 흰색이나 연한 황갈색, 사지와 주둥이, 귀는 황갈색을 띤다. 꼬리 끝은 검은색을 띤다. gray wolf는 몸길이 : 1.0~1.6m, 꼬리길이 : 35~79cm, red wolf는 몸길이 : 1.0~1.3m, 꼬리길이 : 66~79cm이다. gray wolf 수컷 몸무게 20~80kg, 평균 40kg, 암컷 18~55kg이며 평균 37kg이다. 다양한 아종이 존재하며 그에 따른 편차가 크다. red wolf의 몸무게는 20~40kg이다. 1~4월, 저위도 지방에서는 보통 1월에 짝짓기를 하며 위쪽으로 올라갈수록 짝짓기 시기가 늦다. gray wolf : 평균 6마리, 적게는 1마리에서 많게는 11마리까지 그 범위가 넓다. Red wolf : 보통 4~7마리, 많게는 한번에 12마리를 낳기도 한다. 수명은 red wolf는 14년 이상, gray wolf는 16년 이상 이다. 사슴, 양 등 유제류 동물들이 주 먹이이다. 그 외에도 작은 동물로는 쥐에서부터 큰 동물로는 300kg에 달하는 말코손바닥사슴까지 다양한 동물들을 먹는다. 이탈리아 지역의 늑대는 민가에 들어와 쓰레기를 뒤지거나 가축을 잡아 먹기도 한다.

무리 생활 : 2~8마리 정도가 한 무리를 이룬다. 번식 적령기의 개체들은 여름에 짝을 찾아 무리를 떠났다가 겨울에 짝과 함께 다시 돌아온다. 한마리 수컷이 무리 전체를 이끌어 가며 모든 권력을 행사한다. 자신의 권력을 확인하기 위해 자신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개체의 주둥이를 입으로 물기도 한다.

새끼를 키우는 곳 : 새끼를 키울 때는 바위틈, 속이 빈 나무 혹은 땅굴을 이용한다. 땅굴은 다른 동물들이 만들어 놓은 것을 넓혀 쓰기도 하고 자신이 직접 만들기도 한다. 굴의 길이는 평균 2~4m, 최고 16m이다.

사 냥법 : 후각이 발달하여 자신으로부터 약 2.4km 떨어져 있는 물체의 냄새를 맡을 수 있다. 먹이를 찾을 때도 후각을 이용한다. 평소 걸을 때는 8km/h로 이동하지만 천적에 쫓기거나 먹이를 쫓아 뛰어 갈 때는 70km/h의 속력을 낸다. 체력도 좋아 사냥 시 적어도 20분 이상 지속해서 먹이를 추적할 수 있다.

사전출처-네이버 지식백과


크앙?! 크앙!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