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강아지, 김뭉치, 김바회, 손삭담이, 김슈벅이, 강돌상, 노막산….’
정겨운 어감의 이 순우리말 이름들은 18세기 경남 진주의 대곡면 마진마을 재령 이씨 집안 노비와 마을 백성들의 이름이다. 이 노비들이 한글로 적은 계(契) 문서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안승준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올 4월 경남 진주시 마진마을 재령 이씨 종가 문서를 조사하다가 18, 19세기 이 마을 백성과 노비들이 한글로 쓴 ‘상계(喪契) 문서’를 다량 찾아냈다고 27일 밝혔다. 상계는 상(喪)을 치르고 제사 지내는 일을 서로 돕기 위해 만든 계다. 양반들이 한자로 적은 계 문서는 있지만 노비 등이 한글로 적은 계 문서는 처음이다.
안 책임연구원은 “노비가 주인의 명령을 받아 쓴 한글 매매계약서 등은 수십 장 남아 있지만 자신들의 일에 관해 주체적으로 쓴 문서를 확인한 것 역시 처음”이라며 “‘어린 백성’을 위해 만들었다는 훈민정음의 이상이 실현된 증거”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