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일성이 만든 것으로 선전되는 북한의 영농방법으로서 그 원칙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된다 . 첫째는 포기농사의 원칙 , 둘째는 적기적작 · 적지적작 ( 適期適作 · 適地適作 ) 의 원칙 , 셋째는 과학적 영농방법의 실현이다 .
포기농사의 원칙은 작물의 간격을 좁게 심음으로써 생산능력을 극대화해 소출을 늘린다는 원칙으로 이의 실현을 위해 평당 포기수의 최대화를 강조하고 있다 .
적기적작 · 적지적작 ( 適期適作 · 適地適作 ) 의 원칙은 농업에서 지켜지는 일반원칙을 재차 주장한 것으로 적기적작 ( 適期適作 ) 은 계절변화와 농작물의 생육에 따르는 영농시기 보장을 , 적지적작 ( 適地適作 ) 은 토양과 기후조건에 따르는 곡물의 파종을 강조하고 있다 .
과학적 영농방법에서는 그 실현방도로서 ▲ 한랭전선의 영향을 막기 위한 벼냉상모 및 강냉이 영양단지의 이용 ▲ 종자육성 및 품종퇴화 방지 ▲ 지력높이기와 땅다루기 ▲ 과학적 시비체계의 확립 ▲ 과학적 물관리 체계의 수립 ▲ 화학적 방법에 의한 김매기 등을 강조하고 있다 .
북한은 이러한 주체농법을 ' 영농사업에서 확고히 견지해야할 영농원칙과 과학적인 영농방법을 전일적으로 체계화한 완성된 농법 ' 으로 무리하게 강조함으로써 농법 실행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대한 시정가능성을 원천적으로 봉쇄 , 농업부진과 식량난의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
1999 년 남한과 국제사회의 비료지원에도 불구하고 북한 농작물에 사용된 비료 사용량은 북측에서 스스로 설정해 놓은 적정시비량의 절반 수준에 그쳤으며 계속해서 심각한 식량난을 겪고 있다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운근 수석연구위원은 1999 년 북한의 총 곡물 생산량을 331 만 t 으로 추정했는데 쌀은 58 만 ㏊ 에서 152 만 t, 옥수수는 56 만 ㏊ 에서 104 만 t, 보리 등 맥 ( 麥 ) 류는 12 만 ㏊ 에서 31 만 t, 콩 등 두류는 12 만 ㏊ 에서 13 만 t, 감자와 고구마 등은 16 만 ㏊ 에서 24 만 9000t 을 각각 생산 한 것으로 추정했다 . 2000 년 북한이 필요로 하는 총 곡물 소요량은 630 만 t 으로 약 299 만 t 의 곡물이 부족한 것으로 추정했으며 순식용 소비만을 가정할 경우 약 174 만 t 의 곡물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