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정보] 주경장노출 연사촬영법입니다.
게시물ID : deca_2676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낮게차분하게
추천 : 5
조회수 : 1634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4/01/21 19:10:29
intro.jpg


* 들어가기에 앞서, 사진에 취미를 들인지 아직 1년반도 안된 초보입니다.
  틀린 용어도 있을 수 있고, 잘못된 정보도 있을 수 있음을 먼저 알려드리며
  이제 갓 장노출에 입문하신 분이나, 아직 경험이 없으신 분들이 보시면 될만한 글입니다...


* 들어가요~

개인적으로 장노출을 참 좋아하는 편입니다. 
짧은 셔터속도로 담아낸 순간의 풍경도 좋아하지만, 주경장노출은 뭐랄까... 
몽환적인 느낌이 있다고나 할까요

booksung-20130620-2.jpg



주경에 장노출을 이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예가 폭포수의 흐름을 담아내는 것이겠죠. 
유명한 이끼계곡의 계곡사진은
거의 99%가 장노출사진일 겁니다. 짧은 셔터속도로 담아내는 것도 좋지만, 
장노출의 그 부드러운 물결의 흐름은 보는이도 참 편안하게 해주는 것 같더군요. 

booksung-20130620-3.jpg



장노출은 셔터속도 얼마이상일때 장노출이라고 하느냐....는 질문에는 
딱히 정의를 내리지 못하겠네요.
전 그냥 삼각대 안세우고 못찍으면 그 시간대가 장노출이라고 생각합니다..
손각대가 워낙에 좋으신 분들은 1/4초까지 손으로 담아내시기도 하더군요, 
저같은 경우는 손각대 최장시간이 1/6초
였던걸로 기억합니다.

주경에 장노출은 좀 낯설수도 있지만, 야경 스냅이 아닌 일반 야경(?)은 다 장노출이죠..ㅋ
삼각대를 세워 찍잖아요 ㅋ 더불어 별궤적은 장노출  + 연사가 되겠네요.

IMG_7849-1.jpg



장노출을 위해서는 필수로 있어야하는 장비가 삼각대이며, 선택적으로 있어야하는건 
ND필터와 인터벌 릴리즈일겁니다.
위의 사진을 담으려면 ND필터와 인터벌 릴리즈도 필수가 되겠네요.
제가 사용하는 ND필터는 ND400, ND1000, ND2000가변필터입니다. 
그라데이션 필터로도 장노출을 담기도 해봤지만
사용하기가 참 어렵더군요. 고수님들이라면 쉽게 가능하실 듯...
인터벌릴리즈는 시큐라인의 Twin1 ISR입니다. 구형인지 신형인지는 모르겠네요. 
원래 캐논 60D를 사용할 때 구매했던 것인데, 캐논 70D에도 호환이 되더군요. 돈 굳었죠..ㅋ

IMG_9832.jpg



장노출 촬영은 생각보다 상당히 쉽습니다. 
삼각대 위에 바디세팅하고 초점 잡은후, 초점 수동 전환... 그리고, 세팅에서
연사로 세팅한 후, 셔터락업만 하시면 됩니다. 물론 한 컷만 담으시는 분은 락업도 하실 필요가 없죠...


stackedImage1.jpg


고수님들이나 장노출에 대해 깊이 연구하시는 분들은 장노출 시간을 계산하고, 
그 계산된 값에 맞춰 셔터속도를 결정한 후에 장노출 연사를 담으시는데... 
전 그냥 두어 장 찍어보면서 한 스탑 어둡데 나온다싶은 세팅으로 그냥 찍습니다.
계산... 귀찮습니다. 그게 저는 제일 편하더군요.


stackedImage-1.jpg


장노출을 한 장만 담을 때와 수십~수백장의 장노출을 담을때는 그날의 날씨를 보면서 판단을 해야합니다.
구름이 잔뜩 끼인 날에 장노출을 담을 때에는, 한장의 긴~~~~~~ 장노출을 담는 것이 좋고, 
구름이 그리 많지 않을때에는 연사로 장노출을 담는것이 좋습니다. 

stackedImage-5.jpg



주경장노출 연사에서 무엇보다 빠트리면 안되는 것이, 인터벌 타임입니다. 
꼭... 그래야한다는 룰은 없습니다만 제 경험상 인터벌타임이 없이 장노출을 찍게 되면, 
구름의 궤적이 툭툭 끊어지는 맛이 없고 약간은 밋밋하게 이어지는 느낌이 듭니다.
저같은 경우, 구름의 흐름이 빠르다 싶으면 2~5초의 인터벌타임을 주고 촬영을 하고, 
구름의 흐름이 느리거나 차분하다 싶으면 10~15초의 인터벌 타임을 줍니다. 


StarStaX_IMG_6207-IMG_6266_lighten.jpg


그리고, 장노출은 일출때나 일몰때처럼 구름의 색이 바뀌는 시기에 담는 것이 화려합니다. 
맑은 날의 구름을 담는것도 멋지지만 그럴때에는 구름이 흰색의 명암으로 겹쳐서 나타나게 되므로 
조금은 밋밋한 느낌도 들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런 장노출은 비인기류이며, 혹 공모전에 내어보겠다고 하시는 분은 
아예 시도를 안하시는게 좋습니다.ㅎ
지극히 개인의 만족도를 위해서 찍게되는게 주경 장노출이더군요... ^^
출사지에서 누군가를 기다리며 한참을 있어야 할 때, 해봄직한 시도입니다.... 
전 메니아라서 그냥 찍어대네요 ㅋ

StarStaX_IMG_6795-IMG_6907.jpg


참.. 마지막으로 장노출 촬영후 합성은 별궤적 합성 프로그램인 startrails나 starstax로 하시면됩니다.
요령은 똑같습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