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은 답을 알고 있다--과학계의 황홀한 사기극 대체의학 을 전공한 에모토 마사루가 쓴 <물은 답을 알고 있다>가 출간됐을 때, 언론은 이 책을 거의 소개하지 않았고 학계의 반응 또한 냉담했다. 그러나 책 속에 실린 물 결정 사진들이 독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면서 지금까지 큰 화제가 되고 있다. 몇 달 전 한 대학신문의 학생기자는 내게 ‘이런 사이비 과학 책이 독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는데 왜 과학자들은 침묵만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주변의 과학자들에게 물어보니 ‘언급할 가치가 없다’는 대답이 돌아온 걸 보면, 주류 과학계의 침묵은 ‘냉담의 한 표현’인 것 같다. 인터넷서점 독자서평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에 대한 독자들의 반응은 극단적으로 두 부류로 나뉜다. 하나는 ‘엉터리 사진들과 논리적 비약으로 가득 찬 과학책’이라는 혹평이고, 다른 하나는 ‘너무도 아름답고 감동적인 에세이’라는 평이다. 이 책에 열광하는 독자들은 이 책을 과학책이 아니라 ‘물의 생명력을 깨닫게 해준 사진 에세이’ 정도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 그러나 어쩌면 그래서 더 위험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이 책의 논리구조를 따져보자면, 이 책에 등장하는 과학은 과학이 아니다. 우선 책에 등장하는 물 결정 사진들이 믿을 만한 데이터인지 의심스럽다. 저자 에모토는 샬레에 물을 떨어뜨려 영하 20도의 냉장고에 3시간쯤 넣어둔 후 결정 구조를 관찰했다. 그는 클래식음악이나 ‘사랑, 감사’라는 단어를 보여준 물은 결정 구조가 아름답고, ‘망할 놈’이란 단어나 헤비메탈 같은 음악을 들려준 물의 결정은 흉측하더라고 주장한다. 이것은 ‘비물질적인 것이 물질구조를 변화시킨다’는 주장으로, 무슨 에너지로 ‘사랑’이라는 단어가 결정 구조를 바꾼다는 것인지 기존 과학으로는 설명이 안 된다. 실험 결과에 대한 해석은 더욱 위험하다. 저자는 물 입자가 사랑과 감사를 느낄 수 있는 ‘의식’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고맙습니다’라는 단어는 감사의 주파수를 물에게 보내 아름다운 결정을 만들고, ‘망할 놈’이라는 단어는 비난의 주파수를 내보내 결정 구조를 깨뜨린다는 것이다. 물질마다 고유의 진동 주파수를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종이에 쓴 글씨가 단어의 의미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를 낸다는 주장은 실소를 자아낸다. 물이 세계 각국의 언어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 있는 ‘의식’이 있다는 과격한 주장을 하려면 꼼꼼히 그 근거를 대야 할 것이다. 어는 점 이하에서 물 입자들이 조건에 따라 다양한 결정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얘기는 고체물리학자나 화학자들의 오랜 연구 주제였으니 새로울 것도 없다. <네이처>의 물리화학 분야 편집자였던 필립 볼이 쓴 (양문·2003)에는 에모토의 주장을 포함해 물에 관한 온갖 사이비과학들의 허구성이 잘 소개돼 있으니 저자 에모토가 참고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사랑과 감사’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이 책의 메시지는 좋다. 그러나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는 근거가 조작된 것이고 해석 또한 엉터리라면, 그것은 굉장히 위험한 일이다. 만약 이 책의 내용이 사실이라면, 저자는 각 국의 신과학 지지 모임에만 참석하지 말고 연구 결과를 저명한 과학저널에 제출해 심사 받기를 권한다. 그럴 자신이 없다면, 이 책은 근래에 나온 최악의 ‘과학’ 도서가 될 것이다. 고 려대 물리학과 연구교수 정재승 출처 :
http://www.hani.co.kr/section-009100003/2003/07/009100003200307181839052.html [생활속의 신과학]''물의 결정'' 변화여부 실험해보니 [세계일보 2004-09-30 17:06] 2년째 베스트셀러 순위를 지키는 책이 있다. 일본인 에모토 마사루가 지은 ‘물은 답을 알고 있다’(나무심는사람 출판). ‘정신의식이 물질을 변화시킨다’는 메시지를 담은 이 책은 엄청난 반향을 일으켜 ‘물은 답을 알고 있다 2’ ‘물의 메시지’ ‘어린이용 물은 답을 알고 있다’의 출간으로 이어졌다. 이 책의 주장은 물의 결정이 외부 환경에 따라 때로는 아름답게, 때로는 일그러져 나타난다는 것. ‘사랑’이란 낱말을 종이에 적어 물에 보여준 후 얼렸다 녹여가며 결정을 관찰하면 아름다운 육각형 구조가 나타나고 반대로 ‘망할 놈’ ‘짜증나네, 죽여버릴 거야’를 보여준 물에선 흉한 형상이 나타난다고 한다. 저자는 모든 물질과 감정, 생각이 파동으로 이뤄지기에 이런 결과가 나온다고 풀이한다. ◇‘물은 답을 알고 있을까?’ ① 전자현미경 관찰용으로 얼린 얼음을 ② 진공상태로 관찰할 수 있는 전자현미경에 넣고 있다. ③ 전자현미경을 작동시켜 ④ 얼음 표면을 150배로 확대한 모습. ⑤ 광학현미경 관찰용으로 다시 얼음을 얼려 ⑥ 냉장실험실에서 관찰한 ⑦ 결과.
정말 물은 답을 알고 있을까. ‘Weekend’는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춘천분소의 도움으로 실험을 실시했다. 앞서 에모토 마사루가 운영하는 홈페이지(www.hado.net) 영문판에서 물의 결정 사진을 얻는 다음의 ‘절차’를 얻어냈다. ① 0.5㎖의 물을 50개의 샬레(실험용 유리 그릇)에 넣은 후 ② 영하 25도로 3시간 동안 얼리고 ③ 영하 5도를 유지하는 실험실에서 100∼200배 배율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실험은 3중 필터로 걸러낸 순수한 물과 증류수를 수십개의 샬레에 담아 에모토 마사루의 실험과 동일한 온도·시간으로 얼려 결정을 관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처음 관찰에 사용된 건 최고 30만배까지 확대가 가능한 저진공주사현미경. 10배에서 500배까지 배율을 조정하며 관찰했지만 별다른 결정 대신 꽁꽁 언 얼음의 불규칙한 표면 구조만 확인됐다. “얼음 가운데 부분이 녹기 시작하면서 2∼3분간 결정이 나타난다는데 다른 현미경을 사용해봐야겠습니다.”(기초과학지원연구원 손경덕 연구원) ‘2억원짜리’라는 저진공주사현미경은 진공상태로 실험대상을 관찰하기 때문에 얼음이 녹지 않아 결정이 안 생길지도 모른다는 설명이다. 실험은 냉장실험실에 설치된 광학현미경으로 다시 진행됐다. 샬레 속 얼음이 천천히 녹기 시작했다. 배율을 조정하며 결정을 찾았지만 역시 실패했다. “책 내용대로라면 특별한 사랑의 마음을 담아 얼리지 않아서 결정이 안 생길지도 모르겠네요. 하지만 글쎄….”(손 연구원) 에모토 마사루는 IHM이란 회사를 설립, 돈을 받고 고객의 주문에 따라 얼음 결정 사진을 찍어주고 있다. 국내 모 종교단체도 ‘기도가 담긴 물’을 보내 아름다운 결정 사진을 얻었다고 신도들에게 홍보하고 있다. IHM에 국제전화로 “결정 생성 실험 과정을 볼 수 있느냐”고 문의하자 “결정 사진을 찍는 모습만 보여줄 수 있다”는 답을 들었다. 에모토 마사루의 주장은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과학컬럼니스트인 정재승 한국과학기술원 교수는 과학의 기본 요건조차 갖추지 못한 ‘황홀한 사기극’이라고 비판했다. ‘나무심는사람’의 김철호 주간은 정 교수야말로 과학적 근거 없이 책의 내용을 부정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에 대해 정 교수는 “틀렸다는 것을 입증하라고 말할 게 아니라 맞다는 걸 입증해야 올바른 과학”이라고 재반박했다. 춘천=글·사진 박성준기자 2차출처 :
http://blog.naver.com/maaalgn?Redirect=Log&logNo=100013945352 흠 사이비과학 이였던건가보네요 =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