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대통령을 비판하는 이유. 외국도 재난 대처를 못하면 지지율이 떨어집니다.
게시물ID : sewol_2789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댓글학연구원
추천 : 25
조회수 : 854회
댓글수 : 9개
등록시간 : 2014/05/11 21:59:34
부시 대통령을 최대의 정치적 위기로 몰아넣은 건 아이러니하게도 테러 조직 알카에다가 아니라 허리케인 카트리나였다. 2005년 8월 말 카트리나가 미국 남부를 강타하면서 뉴올리언스 지역의 제방이 무너졌다. 이 바람에 도시 전체가 순식간에 물에 잠겼고 사망·실종자만 2541명에 달하는 대형 참사가 벌어졌다.

정부의 사전 대처 소홀과 늑장 대응을 비난하는 여론이 확산된 가운데 부시 대통령의 소극적 처신도 문제가 됐다. 부시 대통령은 사고 나흘 뒤에야 피해 지역을 둘러봤고, 피해 주민을 위로한다면서도 무법 지대가 된 뉴올리언스 도심과 이재민들이 임시 수용된 컨벤션센터 등엔 찾아가지 않았다. 부시 대통령의 지지율이 40%로 떨어지면서 공고해 보였던 공화당은 정권 재창출에 실패한다. 이 충격으로 '카트리나 모멘트(Katrina Moment)'란 용어가 생겼을 정도다.

오바마 대통령의 재선을 이끈 계기는 허리케인 샌디였다. 대통령 선거(11월 6일)를 보름 앞둔 2012년 10월 허리케인 샌디가 발생했다. 샌디는 초특급 허리케인으로 바뀌면서 미국 동부로 접근해왔다. 재선 운동에 한창이던 오바마 대통령은 10월 27일 선거 운동을 중단하고 백악관으로 복귀해 재난 대응을 지휘했다. 피해 지역을 신속히 국가재난지역으로 선포하고 현장을 찾아 구조·복구 작업을 지시하면서 국민을 지키는 강력한 리더의 이미지를 선보였다.

반면 연방재난관리청(FEMA)의 예산 삭감을 주장했던 공화당 롬니 후보는 난처한 상황에 빠졌다. 이런 '샌디 효과'에 힘입어 초박빙의 승부였던 대선은 오바마의 승리로 끝났다.

2011년 동일본 지진은 결국 일본의 정권 교체로 이어졌다. 지진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이어지면서 일본 역사상 최악의 복합재앙을 일으켰다. 사고 초기 일본 국민들은 놀라울 정도의 절제력을 발휘하면서 정부의 사고 수습에 협조했다. 하지만 이후 정부가 사고 지역에 긴급 구호 물자를 지원하는 타이밍이 늦어 피난소에서 사망자가 속출했고, 부실한 원전 관리를 관료들이 은폐했다는 지적 등이 제기되면서 민주당 정권은 코너에 몰리게 됐다. 결국 간 나오토(菅直人) 총리는 사고 발생 5달 만에 실각했다.

출처 : [김정하의 여론읽기] 현장 달려간 오바마, 나흘 뒤에 간 부시 .. 표심 갈랐다 - 중앙일보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40501003103465



미 언론들은 오바마 대통령이 이처럼 적극적으로 대응한 것은 지난 2005년 뉴올린즈 지역을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 재난 당시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한 경험을 감안했기 때문이라고 전하고 있다. 부시 전 대통령은 카트리나 초기 대응에 소극적으로 대처했다는 비난 속에 지지율이 급락했었다.

출처 : 오바마 "부시 전철"염두..허리케인 적극 대처 - 연합뉴스
http://media.daum.net/foreign/others/newsview?newsid=20110829012611462



2012년 10월 29일 뉴욕, 뉴저지 등 미국 동북부 일대에 초대형 허리케인 샌디가 동반한 시속 120㎞가 넘는 강풍이 몰아닥쳤다. 100여 명의 사망자와 수십억 달러의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지만 허리케인 규모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작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연방정부와 주정부의 조기 대처로 피해를 줄일 수 있었기 때문이다.

샌디가 상륙하기 전에 주정부는 위험지역 시민들을 소개시키는 등 사전 조치를 취했다. 뉴욕, 뉴저지 주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이재민 구호작업 등 허리케인 사후대처와 피해복구를 위해 주정부군을 투입했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도 뉴욕과 뉴저지에 긴급재난지역 선포를 선언하고 가능한 모든 지원을 약속했다. 공화당원인 크리스 크리스티 뉴저지 주지사는 오바마 대통령과 함께 재난 극복을 위한 현장 리더십을 발휘했다. 주정부와 연방정부 간 협력과 신속한 의사결정이 피해를 줄이는 한편 사후복구 속도를 빠르게 하는 데 일조했다.

'카트리나 대참사' 때 문제의 심각성을 제대로 간파하지 못한 조지 부시 정부는 허리케인이 몰려오기에 앞서 소개령을 내리지 못했다. 피해 이후에도 늑장대응으로 노약자와 서민들이 대거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후 미국 정부는 재난관리 대처 시스템을 전면 재편했다. 포스트 카트리나법을 제정해 재난관리청의 통제권을 강화하는 한편 재난 사전경고태세를 강화하고 비상사태 선포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의 초기 대응 시스템을 대대적으로 정비했다.

출처 - [토요 FOCUS] '카트리나 교훈' 잊지않은 미국 - 매일경제
http://media.daum.net/economic/others/newsview?newsid=20140509155505520



2005년 8월 말 미국 남부를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의 영웅은 합동 태스크포스(JTF) 사령관을 맡은 러셀 아너레이 당시 제1군사령관(64·중장)이었다. 그는 사전 대처 소홀과 늑장 대응으로 비난을 한 몸에 받던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구원 투수' 역할을 톡톡히 했다.

2000∼2002년 주한미군 제2사단장으로 복무해 한국과도 인연이 깊은 아너레이 예비역 중장은 지난달 30일 동아일보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대형 재난사고는 첫 일주일이 중요한데 세월호 침몰 사고는 리더십 혼란으로 이 시간을 허비했다"고 따끔하게 지적했다.

―당시 부시 대통령은 부실 대응 비난을 받고 지지율이 곤두박질쳤는데….

"지도자는 사전 준비와 사후 대응 능력을 모두 갖춰야 한다. 부시 대통령은 카트리나가 초대형 허리케인이 될 것이라고 미리 보고를 받았지만 사전준비가 부족했다. 피해 예상 지역 주민들을 미리 대피시키지 못한 것이 최대 실수였다. 반면 사후 대응은 비교적 잘 이뤄졌다."

―대형 재난사고 때 국가 리더의 역할은 무엇이라고 보는가.

"모든 재난 사고의 최종 책임자는 대통령이다. 카트리나 사태를 지휘하면서 능력 있는 리더는 '먼저 보고, 먼저 이해하고, 먼저 행동해야 한다'는 3대 원칙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무능한 리더는 대형 사고가 닥쳤을 때 비난이 두려워 행동해야 할 때 하지 못한다."

출처 : [단독]"재난땐 지휘체계 명확히.. 리더는 비난 두려워 미적대선 안돼" - 동아일보
http://media.daum.net/society/affair/newsview?newsid=20140502030525304



대통령과 세월호 사건이 무슨 상관인가??

미국의 사례를 보면 허리케인 대처를 부시는 잘하지 못했고, 오바마는 잘했습니다.

그래서 부시는 지지율이 떨어졌고, 오바마는 올랐습니다.

이게 정상이죠..

지휘체계가 제대로 되어 있고 빠르게 대응하고 책임 있는 자세를 보이는 등 정부가 잘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죠.

이번 사고에는 그런 것들이 제대로 되지 못했고, 이는 분명 대통령의 책임입니다.


선장, 청해진해운.. (혹은 안전보다 돈이 우선인 풍조..) 이런 쪽만 보는 건 사건의 본질 전체를 보지 못하는 겁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