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아반떼 md 피쉬테일 원인
게시물ID : car_2823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살라고먹지
추천 : 22
조회수 : 13651회
댓글수 : 9개
등록시간 : 2013/06/22 08:32:28

일단 주관적인 글입니다..

토션빔이 뭡니까?? 그냥 위 양끝 잡고 앞뒤로 흔든다고 생각해 보세요.. 가운데 뒤틀림(torsion)이 발생합니다..

가운뎃것을 토션빔이라고 합니다..

세위진 막대기 사이로 가로바가 커플드(coupled) 즉 연결되어있지요..

양 막대기를 트레일링암이라고 합니다..

 

그럼 어떨 때 양쪽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일까요?? 울퉁불퉁한 곳 지나갈때?? 정답..

고속방지턱.. 비스듬이 지나갈 때.. 정답..

또 뭐가 있을까요??

고속으로 직진시.. 땡..

바로.. 과격한 코너링이나.. 정답..

급 차선 변경시.. 한쪽으로 무게가 쏠릴시.. 정답..

기타등등..

 

 

 

 

 

문제?의 아방이 토션빔입니다.. (넷상에서 퍼왔습니다..)

2번.. 댐퍼(쇼바) 위치 봐주세요.. 코일 등.. 안쪽에 있습니다.. (자방 네모선장님 참조했습니다..)

 

 

 

 

 

 

스즈끼, 닛산, 혼다, 도요타, 폭스 등의 토션빔 댐퍼 위치들을 보면.. 바깥쪽에 위치합니다..

제가 알기로.. 현기제외한 토션빔은 다 바깥 쪽에 있습니다.. 안쪽을 본적이 없습니다..

(몇년 전에 언급했었던.. 글..)

 

 

 

신형 카렌스는 댐퍼 위치늘 드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옮겼더군요^^ (네모선장님 이미지참조..)

좋은? 아방이 토션빔 그대로 적용하지 왜? 변경했을 까요?? ㅋㅋ..  

 

 

 

위는 아방이 토션빔.. 아래는 크루즈 토션빔..

 

특이한 것은.. 3번에 뚫려있죠.. 2번 높이차..

3번으로 인해서.. 차체에 마운트될.. 부싱보호와 충격완화합니다.. 찌그떡 소릴 방지.. 유연하다고나 할까요??

아방이에는 1, 2, 3번 기능?이 없습니다.. ㅋㅋ..

토션빔이라고 해서 다 같은 토션빔이 아니죠^^

 

 

크루즈.. 좌로 급격히 회전시.. 모습임.. 뒷 리어 오른쪽 타이가 원심력, 무게이동, 횡력 등으로 들립니다.. 차체는 숙여지고..

타이어 캠버각 변화? 보이시나요??

횡력에 최대한 저항해서...트레일링암 끝 위쪽이 휘어지도록..

 

(극단적으로 표현하자면..) 좌 코너링시 아방이는 경우는.. 반대로 뒤가..  /--/ 이렇게 됨.. 

 

급차선 변경시, 코너링시에.. 안정적이죠.. 크루즈가..

 

 

 

 

 

 

=============================================================================================

그럼 문제?의 아방이로 넘어와서.. 

 

토션빔은 뒤틀릴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뒤틀림을 매우 유연?하게 받아 들이면서도.. 그 불안한 뒤틀림을 

최대한 빠르게 복원해야죠..

 

옛날 태엽시계 생각 나시나요?? 밥 줄 때 감는 도구.. "ㅜ" 도구를 써서 돌렸죠..

특히 위가 반달 모양처럼..  아래로 구부려 졌지요..

바로 아방이 양옆 트레일링암 처럼 말이죠..

 

오른 쪽 끝이.. 아방이 트레일링 암 형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왼쪽은 폭스바겐..

 

한마디로 타이어로부터 시작된 힘으로..

 

1. 뒤틀림이 너무 쉽게 용인된 구조라는 거죠.. 가장 작은 힘으로.. 쉽게 뒤틀린다는거..

긴.. 끝단면에 타이어가 물러있다는 거..

 

2. 또.. 더더구나.. 댐퍼가 안쪽에 있어서.. 더 가중시킨다고 생각합니다.. 

(그림상 1번 한쪽만 잡고 흔들어 보세여.. 2번까지 영향..

차가.. 1번 2번 번갈아 좌우 요동칠 때.. 동시에 거기에 맞춰.. 좌우로 핸들링한다고 생각해 보시길..

그 때 댐퍼가 제어해줘야하는데.. 안쪽이라 불리.. 극단적으로 생각해서요..) 

 

3. 또.. 아방이 실내 공간확보 위해.. 엔진과 구동축을 앞으로 쭉 빼니.. 

전륜구동차가.. 오버행이 넘 짧져.. (전장대비 긴 휠베이스와 일맥상통..)
앞으로 무게가 거의 실리고.. 
 

전륜구동차는 엔진을 최대한 차 중심으로.. 즉 운전자 쪽으로 당겨줘야 실은 좋은 차입니다.. 
혼다 어코드나 sm5처럼 오버행이 길수록 전륜구동차는 안정적인 것임.. 후륜구동은 반대..

 

4. 허접한 토션빔..

(극단적으로 표현하자면..) 좌 코너링시 아방이 리어 타이어는.. .  /--/ 이렇게 됨.. 

 

결국..

아반떼는.. 고속 코너링이랑.. 급차선 변경시.. 피쉬테일 현상이 쉽게 발생한다고 생각합니다..

 

 

 

위는 2가닥 아방이.. 아래는 3가닥 벨로스터..

왜?? 같은 폼을 쓴 벨로스터엔.. 아방이 가운데 토션빔을 안쓸까여?? ㅋㅋ.. 

그대로 쓰고..  댐퍼 스프링 강성만 변경하지?? ㅋㅋ..

 

너무 쉽게 용인?된 뒤틀림(롤링, 코너링 때..)을 억제하기 위해서.. 토션빔 가운데에.. 스태빌라이져바가.. 딱..

또 감쇄력 큰 댐퍼등을 적용했겠지요..

근데.. 근본 해결책은 절대루 아니라고 봅니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