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39~1842년 아편전쟁 이후, 영국은 청과 난징조약을 체결하여 홍콩 할양, 광저우, 샤먼, 푸저우, 닝보, 상하이
개항, 개항장 영사설치, 영사재판권, 관세특권, 최혜국 대우 등을 얻어내었다. 영국의 움직임을 주시하고 있던
미국도 중국을 압박하여 난징조약과 유사한 내용을 포함한 왕샤조약을 체결하였다. 영국과 미국이 중국에서
앞서나가자 프랑스는 중국 시장을 영-미에게 선점 당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에 사로잡혔다.
프랑스는 당시 무역에서 블루오션 이었던 중국시장에서 이미 영국에게 많이 뒤쳐져 있는 상태인 데다가
영국이 홍콩, 개항장 등을 손에 넣고 미국도 비슷한 권리를 갖게 되자 프랑스도 시급히 중국에서 비슷한 이권을
가져야 그들에 뒤처지지 않는다는 생각을 했다.
이런 위기감에 군함 6척과 전권대사 라그르네를 파견하여 광저우 교외에서 청과 1844년, 황푸조약을
체결하였다. 프랑스는 황푸조약으로 영-미와 비슷한 권리, 광저우, 푸저우, 샤먼, 닝보, 상하이의 개항과
영사 설치, 영사재판권, 관세특권, 최혜국 대우를 얻었다.
황푸조약을 통해 프랑스와 청의 무역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기는 했으나 중국 무역은 여전히 오래 전부터
진출해 있던 영국 상인들이 장악하고 있었다. 프랑스는 중국에서 영국이 우위를 계속 점유하고 있는 이유를
영국이 중국에서 홍콩 같은 안정적인 무역기지이며 군사주둔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그러나 프랑스는 1840년대와 50년대에 영국이 획득한 홍콩과 비슷한 위상을 가지는 동아시아 거점을
가지지 못했고 이로 말미암아 동아시아에서 양국의 위상은 차이가 벌어지기 시작했다.
1862년 베트남으로부터 코친차이나를 빼앗은 프랑스는 코친차이나의 중심인 사이공이 홍콩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졌다. 그러나 코친차이나의 중심으로 부유한 도시로 성장한 사이공은 중국과의
거리가 너무 멀었기 때문에 영국의 홍콩처럼 대 중국 무역의 중심지이며 중국 진출의 교두보가 되는 것은
어려웠다. 하지만 프랑스 정계와 관료, 군부 등지에서 중국 내륙의 윈난 성에서 발원하여 코친차이나까지
흐르는 메콩 강을 이용하여 사이공이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자는 주장이 나왔다. 메콩강을 거슬러 올라가
중국 해안가에서 영국이 홍콩을 중심으로 무역하는 것처럼 중국 내륙 지방으로 프랑스 상품을 거래하자는
것이었다. 그렇게 하면 영국, 미국, 포르투갈 등 유럽인들이 몰려 레드오션이 된 중국 해안가에서
다른 유럽국가와 경쟁 하는 대신 아직 다른 유럽 국가들이 아직 진출하지 못한 중국 내륙 남부지역과
직접거래 할 수 있으며 프랑스가 그곳을 장악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에 부풀었다.
이러한 기대감에 힘입어 1866년부터 1868년까지 해군장교들을 중심으로 메콩감 탐사대를 결성하여
메콩강 하류인 코친차이나에서 출발하여 메콩강을 거슬러 올라 청의 윈난성에 이르기까지 메콩강 유역을
탐험하며 조사했다. 그러나 메콩강 탐사대가 얻은 결론은 프랑스에게 매우 실망스러웠다. 메콩강을 통해
중국 남부 내륙지역으로 강을 거슬러 수운을 통해 진출하는 것은 강의 상태로 불가능 하다는 결론이 나왔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메콩강 탐사대는 메콩강을 탐사하며 메콩강 대신 윈난성에서 발원하여 베트남 북부로
흐르는 홍하를 통해 베트남-청의 교역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리하여 메콩강 탐사대는 프랑스 식민제국에 메콩강 루트 대신 홍하 루트라는 새로운 목표를 제시하였다.
청대 윈난성
홍하 루트의 조명 이후 프랑스 식민제국의 제 1차 목표는 베트남 북부였다. 이것이 실제로 실행에 옮겨진 것은
1871년이었다. 프랑스 상인 뒤피가 메콩감 탐사대의 구성원들에게 홍하 루트에 대한 이야기를 들은 후 홍하
루트를 직접 탐사한 것이 시작이었다. 1871년, 뒤피는 중국의 해안가에서 육로로 윈난성까지 간 후에 홍하를
따라 베트남 북부로 내려오면서 홍하 지역을 탐사하였고 1873년에는 반대로 베트남 북부에서 홍하를 거슬러
올라가 윈난성의 쿤밍에 도착하였다. 뒤피의 탐사는 홍하 루트가 실제로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중요한 사례가 되었다. 더욱이 뒤피의 이러한 탐사는 베트남의 관리들과 마찰을 일으켰고 코친차이나 총독이
베트남 북부를 공격할 구실을 만들어 주었다. 본국의 전폭적인 지지 없는 코친차이나 단독 원정은 실패로
끝이 났으나 프랑스 식민제국은 1874년, 베트남과 체결한 2차 사이공 조약에서 홍하의 자유로운 통항을
인정받았다.
홍하가 프랑스에게 열렸지만 홍하 루트를 통한 중국 내륙과의 무역은 기대와 다르게 성과가 저조했다.
홍하 루트가 기대와 달리 저조한 성과를 낸 것에는 홍하가 여러 면에서 불안정하였기 때문이었다.
홍하 하류는 베트남이 하노이를 중심으로 관리하여 비교적 안정되어 있었으나 베트남과 중국 국경지대에
이르는 홍하 중류와 상류 일대에는 중국인 유랑민을 중심으로 조직된 수적들이 출몰하였다.
이러한 수적들 뿐 아니라 수적들과 적대하던 흑기군도 프랑스의 홍하 통항을 방해하는 요인이었다.
흑기군은 태평천국과 천지회 잔당 등이 모여들어 상당히 큰 세력을 이루고 있었으며 베트남 조정과는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프랑스에 적대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이러한 이유들로 1874년에 홍하가 개방되었으나
1883년 프랑스 식민제국이 베트남 북부를 장악하기 전까지는 홍하 루트는 매우 불안정하며 위험하였다.
앞서 언급한 정치, 군사적 원인 이외에도 홍하 자체가 불안정한 것도 홍하 루트가 기대한 성과를 내지 못하게 한
이유 중 하나였다. 홍하에서 항해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다. 메콩강 보다는 수월하였지만 흘수가 깊은
배가 다니기에는 수심이 낮았으며 그나마도 청-베트남 국경인 라오까이에 이르면 선박이 항해하기에
더욱 부적합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홍하 루트에 특화된 선박이나 구식 정크선을 이용할 수밖에 없었고
이는 홍하 루트를 이용한 무역에 결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정치, 군사적 불안정성과 홍하 자체의 불안정성 이외에도 윈난성을 포함한 중국 남부 내륙지역의 경제 상황도
홍하 루트가 성공하기 어려운 이유였다. 지금도 그러하지만 중국 남부 내륙은 가난하고 낙후된 지역으로
프랑스가 수출하는 공산품이나 사치품을 소비할 인구가 매우 적었다.
1885년 베트남을 완전히 장악한 프랑스 식민제국은 홍하 루트에 대한 재조사와 실태파악에 나섰다.
재조사 끝에 홍하 루트는 선박 통행이 어려운 점, 삼각주가 있는 홍하 하류를 제외하면 홍하에 거주하는 인구가
적고 가난한 점,교역의 목적지인 윈난성이 가난하며 프랑스가 탐낼 만한 광물자원이 없는 점 등의 이유로
홍하 루트는 교역로로 부적합하며 큰 이윤을 낼 수 없을 것이라는 결론에 다다랐다.
재조사에서 나온 결론처럼 프랑스 식민제국이 이후에도 홍하 루트에 심폐소생술 하듯 청에게 홍하 유역의
멍쯔를 개방시키고 홍하에 증기선 정기편을 운영하였지만 홍하 루트는 프랑스의 홍콩이 될 수 없다는 것이
확실해졌을 뿐이었다.
홍하루트에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지만, 프랑스 식민제국은 중국 남부 내륙지역을 호시탐탐 노렸다.
특히 청일전쟁에서 청이 패하고 청이 반신불수 상태로 전락하자 프랑스 식민제국은 ‘만약 중국이 분할된다면
프랑스 식민제국은 윈난성을 중심으로 중국 남부를 프랑스의 세력권 하에 두어야한다’라는 목표를 세웠다.
홍하 루트는 실패하였으나 1895년 이후 프랑스 식민제국은 중국 남부 내륙지역에 탐사대를 파견하고 광범위한
조사를 실시했다. 이전 조사들이 피상적이고 수박 겉핥는 정도에 머물렀다면 이번 조사는 윈난성을 포함한
중국 남부 내륙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프랑스 식민제국에 제공했다.
이 조사의 결과로 홍하 루트는 보조적인 수단으로 완전히 밀려났고 인도차이나와
윈난성을 연결하는 철도 건설을 추진하기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