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타협은 당사자인 오스트리아인들과 헝가리인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주었던 것만큼 제국 내 다른 민족들에게도
엄청난 충격을 주었다. 충격은 크게 두 반응으로 나타났는데, 하나는 왜 헝가리만 특별대우 해줘요였고
다른 하나는 망했부렀다였다. 전자가 헝가리 왕국 처럼 별도의 지위로 구성된 보헤미아 왕국의 체코인이나
크로아티아 왕국의 크로아티아인들의 반응이었고 후자는 헝가리 왕국 영토로 공인된 슬로바키아인이나
헝가리 왕국에서 벗어나 공식적으로 동등한 위치로 올라가고자 노력했던 트란실바니아의 루마니아인들의 반응이었다.
이중제국에서 가장 부유하고 산업화된 보헤미아의 체코인들은 여건이 허락하는 한 최선을 다해 삼중제국을 만들고자
하였지만 부분적인 자치권을 획득하는 것에 머물렀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헝가리 영내에 비해 보헤미아 일대는
독일계 혹은 독일화된 체코인들이 많이 살고 있었던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체코인들은 늦어도 19세기 말에는 오
스트리아-헝가리와의 타협을 포기하고 독립국 건설로 방향을 선회한다.
크로아티아인들은 체코인들과는 다른 길을 걸었다. 헝가리는 크로아티아인들과 19세기 초와 중엽에
오스트리아의 명령으로 서로 독립운동을 진압하는 등 반목하기는 했지만 12세기부터 헝가리 왕이 크로아티아 왕을 겸하여
긴 시간 동안 사실상 한 나라였던 점과 민족 구성이 이중제국치고는 굉장히 깔끔하게 분리된 편이었던 점 때문이었다.
또한 헝가리는 크로아티아와 대립하기보다는 슬로바키아의 헝가리화와 루마니아인에 대항하여 트란실바니아를
안정적인 확보하는 것이 더 중요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는 비교적 덜 중요했다.
크로아티아는 이런 배경으로 체코인에 비해 성공적으로 광범위한 자치권을 얻었다.
크로아티아는 헝가리와의 타협으로 자치정부를 세우고 행정분야와 교육, 사법에서 광범위한 자치권을 획득하였으며
군대, 재정, 화폐 발행, 관세 등은 헝가리와 공동으로 관리할 권리를 가졌다. 여기에 헝가리와는 별개로 자치의회를
설립하고 헝가리 의회에 대표를 보낼 수 있게 되었고 오스트리아-헝가리 공동 업무를 협의하는 대표단 중 헝가리 대표에서
일부를 반드시 크로아티아인으로 채워야 한다는 규정도 얻어내었다. 크로아티아인들은 체코인에 비하여 순탄하고
성공적으로 지위를 격상시킬 수 있었다.
크로아티아인들 중 일부는 이를 불완전한 성공으로 보고 불만을 가졌는데, 이는 달마티아 때문이었다.
크로아티아인들이 95%를 차지하는 달마티아 지방은 헝가리 왕국의 영토가 아니라 오스트리아 지역이었기 때문에
크로아티아 왕국이 얻어낸 특혜를 적용 받지 못했다. 그렇기 때문에 크로아티아의 크로아티아인들은
달마티아를 크로아티아와 하나로 묶기를 원했지만 오스트리아의 완강한 반대로 성공하지 못했다.
오스트리아는 이 지역에서 1%에 미치지 못하는 독일인과 2% 언저리를 차지하는 이탈리아인의 권익만을 옹호했다.
독일어와 이탈리어만이 1918년까지 달마티아의 공식언어로 인정 받았고 이탈리아인들이 지역의회에
대표를 파견하는 것에 비하여 크로아티아인들의 권리는 보잘 것 없었다.
결국 성공적으로 보이는 타협도 불안 요소를 가지고 있었고 이중제국은 파멸로 한 걸음씩 걸어가고 있었다.
------------------------------------------------------
(유모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