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물량, 스케일 엄청난 RTS 게임 소개 [플래닛터리 어나힐레이션]
게시물ID : gametalk_294206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사과로
추천 : 2
조회수 : 3619회
댓글수 : 11개
등록시간 : 2016/01/24 00:41:51
옵션
  • 창작글
  • 본인삭제금지
전략시뮬을 잘 하는건 아니지만...
대규모 물량전에 대한 로망은 가지고있었습니다.
영화에서도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엄청난 물량의 전투씬이 나오면 우와와.. 하며 바라봤죠...

스타는 잘 못하지만... 물량전 대규모회전이 가능한 토탈워시리즈나, 우주전의 로망 홈월드시리즈, 인구수제한이 없는 수려한 그래픽의 C&C3(C&C4는... 없는게임으로 할렵니다... 나의 C&C는 3가 마지막이야 ㅜㅜ), 그리고 고전이긴하지만 역시 대규모전이 가능한 슈프림커멘더


이번에 소개해드리는 게임은 명작 토탈 어나힐레이션은 정식으로 잇는.. 슈프림커맨더와 비슷한 플래닛터리 어나힐래이션입니다

2016-01-23_00006.jpg

(행성간 이동중인 우주전함과.. 멀리 보이는 적의 주 본거지 행성)

가장 큰 특징으론... 여느 RTS와는 다르게 사각형의 정해진 맵에서 플레이하는게 아니라 완전한 구체의 행성에서 싸운다는점이죠...

그래서 종전의 게임처럼 구석을 믿을수가없습니다. 맵에서의 사각이 완전히 사라졌죠... 전장이 어느 한곳에 교착되면 좀 시간이 걸리더라도 행성 반대쪽으로 빙 돌아가면 되니까요

게임의 규칙은 간단합니다. 기본건물을 지을 수 있는 커맨더
2016-01-18_00002.jpg

(커맨더모양은 다양하다 초반유닛으론 잡기 어려운 체력과 공격력을 가지고있지만.. 후반으로가면 종이작이 되니 보호에 주의)

상대방커맨더를 무슨수를 써서라도 제거하면 승리합니다.

2016-01-23_00003.jpg

(후반엔 이렇게 거대한 유닛도 만들 수 있다, 공중유닛이 허리에 걸치는 압도적인 크기)

기본적으로 스타를 보면 지상과 공중으로만 나뉩니다.
레드얼럿을 보면 지상, 공중에 해상까지 더해지지만(해상+해저)

행성간 전투를 지원하는 이 플래닛터리 어나힐레이션은 공중보다 윗단계인 궤도유닛이 존재합니다.
지상에서 궤도를 공격하는 방법은 매우 제한되어있고, 우주를 장악당하면 행성에 갇혀버리는꼴이되어서 매우 힘든싸움을 하게됩니다.

물론 궤도에서 지상을 공격하는방법도 제한적이긴하지만... 공격하는 입장보다 궤도로부터 공격을 당하는 입장에서는 그 스트레스를 말로 표현하기 어렵습니다... 하늘에서 빔이 떨어지면서 내 소중한 유닛을 찢어죽일때...

2016-01-23_00007.jpg
(1티어유닛들로 공격)

2016-01-23_00008.jpg
2016-01-23_00009.jpg
(위에 떠있는 전투기들이 공중유닛이다, 궤도유닛은 아주 높이 떠있다..)
2016-01-23_00010.jpg
(초반이라 물량이 모이기 전..)

2016-01-23_00011.jpg
2016-01-23_00012.jpg
(해군이 이동에 제한이 많은대신, 체력과 사거리, 공격력이 지상군에비해 월등하다)

2016-01-23_00013.jpg
(해상은 물론 해저까지 구분되어있다, 해저유닛,해상유닛,지상유닛,호버유닛,공중유닛,궤도유닛으로 구분된다)

2016-01-23_00014.jpg
(지상에서 궤도유닛을 쏘아올릴 준비중)
2016-01-23_00017.jpg
(무사히 궤도에 안착한 퀘도건설로봇, 로켓에 달려있던 모양과 일치한다, 동그란것은 궤도에 설치한 방어건물)



이것이 스케일이 큰 이유는 바로 자원시스템과 생산시스템인데, 일꾼이 없는 대신 건설로봇이 존재합니다.
자원의 종류는 두가지, 메탈(철)과 에너지(전기)입니다.
전기는 어디든 발전소만 지으면 충원할 수 있고, 메탈은 정해진 메탈 채굴 포인트에만 채굴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하면 초당 일정한 양의 자원을 자동으로 수급하는 시스템이고, 전기와 메탈은 생산할때 특정한 소모율로 동시에 필요합니다.

유닛이나 건물의 가격은 메탈로 지정되는데, 건설로봇별로 초당 들어갈 수 있는 메탈이 정해져있고, (기본건설봇은 초당10의 메탈을 활용)
유닛의 효율에따라 메탈1당 들어가는 에너지소비가 달라집니다. 효율이 좋은 고급 건설봇은 메탈1당 4의 에너지를 소비하지만 효율이 않좋은 궤도봇의 경우는 1당 20의 에너지를 소비하기도 하고, 초당 메탈사용량이 40인 봇도 있지만 초당 5인 봇도 있습니다.

그리고 동시에 메탈 또는 에너지 저장고가 있어서 자원을 축적했다가 필요할때 확 생산량을 늘려서 털어버릴수 있습니다.
생산시스템도 대기열이 가능하지만.. 그보단 자동샌산시스템을 적용시켜서... 대기열에있는 유닛을 반복생산할수도있습니다...
결곡 20개의 공장에서 뽑아져나오는 유닛들이 쌓이면 어마무시한 물량전도 가능하죠...

음....
그리고 도저히 이 행성에서 승산이 없다고 판단되면...(적이 너무 많고 방어가 견고할때)
행성째로 날려버릴수있죠... 다양한 방법으로....
(운석을 떨군다던지.. 데스스타의 행성파괴빔을 쏜다던지....행성의 내핵까지 깊은 구멍을 뚫어서 그안에 폭탄을 밀어넣어버려서 파괴시킨다던지....)

게임의 스타일을 설명한 트레일러 보고가시죠
(만약 동영상이 안나온다면 https://www.youtube.com/watch?v=FhEYvOYceNs)

지금은 스탠드얼론 확장팩인 타이탄, 하나만 사면 플래이 가능합니다...
인공지능은 노말까지는 처음하는사람도 이것저것 뽑아가며 이길수있는데.. 하드부터는 털려요,,, 지는방법이 이렇게 다양한줄은 몰랐습니다
지금은 하드정도는 실수없이하면 이길수있지만...(잘 알고있는 맵에서 실수없이해야해요 처음보는맵에선 또 털림..ㅜㅜ)

사람과의 멀티도 재미있을것같아요.. 물론 겁나서 멀티는 못해보고있습니다.....ㅎㅎㅎㅎ
굉장히 스케일이 큰... 지상전, 공중전을 하다가 우주전쟁까지 가능한 플래닛터리 어나힐레이션.. 같이해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