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그냥 소소한 애니용어
게시물ID : animation_2323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최용희
추천 : 1
조회수 : 3273회
댓글수 : 4개
등록시간 : 2012/05/29 13:10:18
꼭 애니 용어(用語) 라고는 할 수도 없고, 게임에 비롯해서 나오기도 하고,

아는 것도 있고 모르던 것도 있고,

잡담은 집어치우고 한번 정리해보자. 라고 해도 글쓰는 능력이 안되서 "글쎄,,," 일지도 모른다.

출처는 네이버 사전이나 위키백과나 지식인이나 본좌의 뇌에서 나왔다.

 

 

-------------- 절취선 --------------

 

 

먼저, 신드롬과 콤플렉스의 차이에 대해서.

신드롬이라고 한다면 집단적인 성향과 문화적인 성향이 강하면서 병에 가깝다라 볼 수 있고,

콤플렉스는 개인적이며 정신적 성향이 강하다. 즉, 습관이나 심리적인것을 말한다.

 

 

로리(ロリ)

보통 12살 이하인 어린이들에게 성적 미달, 성숙이 안된 아이들에게 사용한다.

여기서 새로 알게 된 사실이라면 "로리"는 러시아의 망명작가"블라디미르 나보코프"의 소설 "로리타(Lolita)"에서 비롯된 말이라고 한다.

 

롤리타 신드롬(Lolita Syndrome, 로리타 콤플렉스, 줄임말인 로리콤)

미성숙한 소녀에 대해 정서적 동경이나 성적 집착을 가지는 현상, 또는 어린이를 성적 대상으로 삼고 이를 즐기는 것, 혹은 소아에 대한 이상 성욕을 가지는 것으로 사용된다.

로리타 콤플렉스가 생겨나게 된 계기는 "로리타(또는 롤리타)"라는 소설때문이다.

로리타(Lolita)는 성적도착증(性的倒錯症) 을 다룬 소설로 "로리타 콤플렉스"라는 말이 이 소설에서 생겨났다고 한다. (소설 주인공: 롤리타)

 

시스터 콤플렉스(Sister Complex, 시스콤)

자매에 대한 강한 애착과 집착을 가는 상태.

자매에 대한 연애적 감정이나 자기 것으로 하고 싶은 독점욕이 있는 형제라는 도식으로 파악할 수 있다.

동성향이 강한 시스터 콤플렉스지만 남성측에서 보면 여동생이나 누나를 "빼앗기고 싶지 않아"라는 애착과 독점욕이다.

 

시스콘

시스콘은 대부분 여동생에 대한 애정을 가리키고, 소수는 누나에 대한 애정을 나타낸다.

누나 모에라는 용어로 대용되는 일도 있다고 한다.

알아낸 것이 있다면, 시스콘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사람 중에는 실제로 여동생이 없는 경우도 많다는 점과 여동생이 있는 경우라도 진짜 여동생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그리고 실재 여동생에 대한 시스콘도 상당히 많다고 한다.

 

브라더 콤플렉스(Brother Complex, 브라콤)

여동생이나 남동생이 친오빠나 형을 집착하며 좋아하는, 사랑하는 병적인 콤플렉스.

브라더 콤플렉스는 좋아하는 형, 오빠나 남동생이 이성친구가 생기면서 깨진다고 한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이성친구가 생겨도 포기하지 않고 오히려 견제하며 적대시한다고 한다.

 

츤데레(ツンデレ)

처음엔 투명스럽고 새침하지만 애정을 갖으면 부끄러워하는 면이 드러나는 사람.

츤데레는 새침하고 투명스러운 모습을 나타내는일본어 의태어인 츤츤(つんつん )과 부끄러워하는 것을 나타내는 의태어 데레데레(つんつん )의 합성어이다.

 

얀데레(ヤンデレ)

정신적으로 병이 들었으면서 좋아하는 대상 앞에서는 부끄러워하는 사람.

이성에 대한 강한 애정을 갖고 있으나 그것이 이뤄지지 않아 정신적인 상처를 입고 병적인 행의를 하는 사람, 정신적으로 병이 든 상태에서 상대방에게 강한 애정을 표현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츤데레에서 파생된 단어로, 병들다의 야무(病む)와 부끄러워하는 것을 나타내는 의태어 데레데레(つんつん )의 합성어이다.

얀데레의 성격 유형으로는 살의나 소유욕, 이중인격, 우울증, 편집증, 과대망상증 등이 있다.

 

쿨데레(クーデレ)

대상에게 관심을 전혀 두지 않는 것처럼 행동하며, 매우 냉정하고 말수가 적다. 하지만 대상이 알게 모르게 배려해주는 등의 태도로서 그 본심을 표현한다.

츤데레가 심한 감정의 변화를 보이는데 비해 쿨데레는 차갑고 과묵하고 태도로서 표현을 하기 때문에 쿨데레는 츤데레의 상위개념의 위치에 있다.

 

도짓코(ドジっ娘)

과도하게 얼빠진 소녀, 실수가 매력인 여성을 가리킨다.

뭘 해도 서투르지만 성실한 타입인 경우가 많아서, 누군가의 도움이 되고 싶은 마음이 헛돌아 실패를 반복한다. 하지만 그것이 생각지 않게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도 있다.

나쁜뜻없이 사랑스러운, 미워할 수 없는 사람이란 뜻으로 쓴다.

도짓자, 도짓녀라고 부르기도 한다.

 

헤타레(ヘタレ)

너무 우유부단해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거나, 정신적이나 육체적으로 약하거나, 개인적으로 몹시 서투른 사람.

대개 할 줄 아는 것이 없으며, 성격과 태도가 소심하고, 허둥지둥하는 행동에 눈치도 없어서 어쩌다 주변 사람들에게 호의를 받아도 눈치를 채지 못한다. 노력을 멀리하고, 느긋하며 의욕이 없고 매사에 대강 수동적으로 넘어가려는 캐릭터들을 말한다. 노력을 해도 주위의 무시와 외면으로 인해 전혀 보답을 받지 못하거나 지나치게 운이 없어서 기껏 벌린 일도 수포로 돌아가고 만다.

겉으로 보기에는 평범하지만 나사가 몇 개 빠져 있다고 볼 수 있다.

 

텐넨보케(天然ボケ)

특정 상식 등이 일부 결여되어 비상식적인 행동을 아무렇지 않게 행하는 사람.

텐넨(입담으로 사람을 웃기는)과 보케(멍청)을 합한 용어로서 멍청한 행동을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사람을 뜻한다.

 

보쿠온(ボク女) 또는 보쿳코(僕っ娘)

보이시(boyish)한 여성, 크게 1인칭으로 보쿠(僕)를 쓰는 여성.

말투가 남자같은 소녀를 말하지만 꼭 그러하다고 할 수는 없다.

외모가 쇼타와 비슷한 경우가 많고 마음속은 겉과 달리 여성스러운 경우가 많다.

 

쇼타로 콤플렉스 (쇼타콤: ショタコン, 쇼타콘)

어린 남성에게 호감 도는 애정을 느끼는 사람.

예쁜 외모의 어린 남성이나 만화캐릭터를 좋아하는 것.

90년대 초반 일본 애니메이션 <철인 28호>의 카네다 쇼타로라는 캐릭터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천연

야한것을 전혀 모르는 사람, 또는 바보.

천연보케라고도 한다. (천연바보 천연멍청이)

 

스나오슐(素直シュール )

부끄럼 없이 적극적으로 주인공에게 애정을 표현하나 그 행동이 일반적으로 보는 애정행각과는 다름.

주인공에 대한 행동이나 태도는 전혀 변화하지 않는다.

 

플러그(フラグ)

주인공의 어떤 행동이 여성 캐릭터의 호감이나 호의를 불러 일으킬만한 행동.

주인공과 사이가 좋아질려는 복선이나 계기라는 의미에 가깝다.

 

사망 플러그 (死亡フラグ)

주인공이 위험한 지경에 왔을 때 쓰는 말.

"사망 플러그가 섰다!"라고 하는데 주요 캐릭터들이 어이 없이 죽으면 안되기 때문에 "예고"를 해 두어야 하는데 이를 두고 흔히 말하는 말이다.

개그 캐릭터가 갑자기 진지해져서는 안된다는 점이 있다.

운에 의해서 피해가는 경우도 있으나 절대 피해가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