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장실에서 볼일을 볼때 가끔 머리를 흔들어 줘라
귀신이 머리카락 수를 센다고 합니다. 머리카락을 전부다 세면 죽게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가끔씩 머리를 흔들어 줘야한다는 금기가 있는데
우리나라의 전통 화장실의 특성상(금기 첫번째편 3번 참조)
머리의 혈액순환이 급격히 저하되기 때문에 한번씩 풀어 주라는 것입니다.
2. 고수레
물놀이, 산놀이 등 밖으로 나가서 밥을 먹을때 먹기 전에 자리 밖으로 음식을 던지는 것을
고수레라고 하는데요. 이때 달라붙은 잡귀를 물러가게 한다고 하죠
아주 흔한 예로 소풍을 갔을때 평소 때보다 체하는 경우가 많을 것입니다.
특히 등산이나 운동후 허기가 지기 때문에 바로 식사를 하는 등 음식을 섭취하는데
그때 배가 고프다고 허겁지겁 먹게되면 탈이 날 확률이 높아지죠
그래서 한숨 쉬어가라는 의미로 고수레를 하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3. 밤에 손발톱을 깎지 말아라.
身體髮膚 受之父母(신체발부 수지부모) 하니 不敢毁傷 孝之始也(불감훼상 효지시야)라고 했습니다.
뜻인 즉슨 사람의 신체와 터럭과 살갗은 부모에게서 받은 것이니, 이것을 손상시키지 않는 것이 효의 시작이다 로
이러한 유교 사상에 의해 댕기머리와 상투가 있는 것이며 손발톱은 낮에 깎고 바른곳에 묻으라고 하죠
뭐 이러한 유교사상에 입각한 것도 있고, 예전엔 호롱불을 사용했기 때문에 밤에 깎게되면
찾기가 매우 힘들겠죠? 뾰족한 부분에 찔릴 수도 있으니 금기시 했던거 같습니다.
4. 빨간색으로 이름을 쓰지 말라
죽은 사람의 이름을 빨간 색으로 쓴다죠? 그래서 불의의 사고를 당하게 된다고해서
빨간색으로 이름을 쓰지말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한기지,,
예전에 빨간색으로 이름을 쓸 수 있는 사람은 한명 밖에 없었습니다.
바로 왕의 이름을 쓸때 빨간색으로 쓰는데
왕이 아닌 다른사람이 빨간색으로 사용을 하면 반역이 되는 것이죠
그래서 결국엔 죽게된다 화를 입게 된다는 의미 입니다.
5. 모서리 부분을 피하라
모서리 부분에 앉게되면(사각 밥상의) 복이 달아난다고 합니다.
뭐 우리 한민족이 모서리를 싫어 하는 성질로 설명할 수 도 있겠습니다.
특히 잘 알고 계시듯 한옥과 한복에서 모서리를 찾아보기가 힘들죠
그런데도 식탁은 다 사각형이란 사실,,
바로 '상석'이라는 권의주의의 산물이 아닐까 싶습니다.
모서리에 앉는 다는 것은 그 권의를 침해한다는 의미가 될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모서리 부분에 있으면 다칠 확률이 높겠죠?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