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도 보이스톡 등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를 제한하는 것을 검토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이스톡을 요금제에 관계 없이 ‘전면 개방’하겠다고 밝혀 놓고도 이를 뒤집었다는 비판과 함께, 언론의 꼼꼼한 사실 확인을 촉구하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LG유플러스 이상민 홍보담당 상무는 14일 보도자료에서 모바일 인터넷 전화와 관련해 “현재 약관의 내용은 무료통화에서 유료통화까지 다양하게 담을 예정”이라며 “통화량 증가와 매출 감소가 예상되는 만큼 새로운 요금제 등의 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상수 홍보팀장은 통화에서 “다른 통신사처럼 어느 요금제 이상을 가입해야 (모바일 인터넷 전화를)쓰게 하는 것도 방법 중 하나”라고 밝혀, 요금별 차등을 예고했다. LG유플러스는 다음주 중에 새로운 약관을 신고하고, 요금제 약관 내용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 같은 LG유플러스의 입장은 지난 주에 언론에 밝힌 입장과 달랐다. 이상민 상무는 지난 7일 기자간담회에서 “오늘부터 보이스톡 등 무료 모바일음성통화에 대한 제한을 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도 같은날 매일경제와 통화에서 “mVoIP 이용을 요금제와 통신망에 관계없이 전면 허용한다”고 말했다.
이 소식이 알려지자 언론은 모바일 인터넷 전화가 전면적으로 허용된 것으로 요금별로 차등을 두는 KT와 SK텔레콤과 ‘차별화’된 전략이라고 평가했다. <LGU+ “모든 무료인터넷 전화 전면 허용”>(한국일보), <LGU+ “카톡 공짜통화 전면 허용”>(서울신문), <LG유플러스 ‘보이스톡’ 전면허용>(머니투데이) 등 주요 일간지와 경제지 모두 LG유플러스 가입자들이 요금제에 관계없이 모바일 인터넷 전화를 이용한다고 부각해 보도했지만, LG유플러스의 입장 변화로 인해 결과적으로 ‘오보’를 하게 됐다.
당시 LG유플러스가 ‘전면 허용’ 입장을 밝힌 것은 사실이지만, 언론이 LG유플러스의 ‘전면 허용’ 의미를 확대 해석한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당시 LG유플러스 홍보팀 관계자는 미디어오늘 전화 통화에서 “요금제 등을 통한 추가 과금 방식에 대해서는 데이터 이용량 추이를 지켜본 뒤 결정할 방침”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LG유플러스 입장이 ‘언론 플레이’라는 비판과 함께 언론이 통신사의 주장을 제대로 검증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윤철한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시민권익센터 팀장은 “LG유플러스의 입장을 보면 모바일 인터넷 전화를 전면 허용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기존 통신사처럼 소비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다. LG유플러스의 해명은 말장난처럼 보인다”고 말했다.
전응휘 녹색소비자연대 상임이사는 “이통사들이 보이스톡 이슈에서 거짓말을 해도 기자들은 이를 그대로 충실히 써주고 있다”며 “통신사의 주장을 사실 확인 없이 기사를 쓰는 문제가 이런 오보를 낳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