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셧다운제의 문제점에 대한 반론에 어떻게 대답을 해야 할까요?
게시물ID : jisik_127442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가온가온.
추천 : 0
조회수 : 80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2/06/11 20:49:15
바로 내일 국어 수행평가가 있어서 셧다운제의 반대 의견을 준비중입니다..
그런데 토론 형식으로 진행되는거라 좀 준비하기가 까다롭네요.
일단 제가 셧다운제 반대 측인데
준비해야 될 게 너무 많네요.. 일단 입논도 준비해야되고 거기에 대한 상대방의 이의제기와 그에 대한
적절한 대답도 준비해야되고, 찬성측의 의견과 그에 대한 문제점도 미리 준비해야 되서 좀 복잡하네요.
근데 한창 조사하던 중 아무리 생각해내도 답을 찾을 수 있는 이의가 하나 있어서 이렇게
오유 여러분들께 도움을 좀 구하고자 합니다..

일단 셧다운제의 문제점으로 들 것 중에 하나가

2. 셧다운제는 국내 게임산업을 망치는 지름길이다.
땅도 넓지 않고 변변한 자원도 나지 않는 대한민국에서 외국시장으로 진출을 하거나 다른 나라에 수출 할 수 있는 산업은 기술적 산업. 즉, 게임이나 음악 등 문화 및 서비스산업 뿐이다.
그러나 위에 설명했듯이 이 셧다운제에 의해서  국내 게임에 자부심을 가지고 즐겨야 할 한국 청소년들이 모바일게임이나 외국 CD게임 등에 몰리는 현상이 일어나, 결국 한국 게임 산업의 발전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외국에서 한국의 메이플스토리나 던전앤파이터 등의 게임을 플레이하는 외국 청소년들이 셧다운제의 치명적인 단점인 “시차극복불가” 때문에 한창 게임을 즐겨야 할 오후 2~3시나 오전 11시 등에도 게임을 못하도록 되어있다.
이로 인해 그나마 적었던 외국의 청소년 한국 게임유저들도 한국 게임에서 슬슬 발걸음을 돌리고 있는 추세이다.
게임이 외국시장에 진출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필요한 요소가 국내 유저들에게 인정을 받아 유명한 게임이 되는 것인데 한국 청소년들은 외국의 게임들로 눈길을 돌리고 있는 상태니, 국내 게임의 외국시장 진출은 거의 불가능해지고, 만일 간신히 외국시장에 한국 게임이 진출한다고 해도, 외국 청소년들은 셧다운제의 시차 때문에 게임을 거의 즐길 수 없고 직장 때문에 바쁜 소수의 성인유저만 간간히 게임을 즐기거나 아예 외국에서 인기를 얻지 못할 것이다.
이로 인해 국내에서도, 외국에서도 인기를 끌 수 없게 된 한국 게임 산업은 점점 쇠퇴해 갈 것이다.


인데요. 찬성 측 애들이 예리하게
"그렇다면 모바일 게임이나 PSP게임을 만들어 외국시장에 진출을 하면 될 것 아닌가요?"라는 질문을
할 것 같은데.. 제가 생각해도 딱 그 질문이 나올 것 같은데
이 질문에 대답을 어떻게 해야 할 지 막막하네요.. ㅜㅠ
진짜 아무리 제 바보같은 머리로 쥐어짜고 생각해봐도 답이 안나오네요. 도와주세요!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