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원피스 나미편...
게시물ID : animation_30991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개념민영화
추천 : 1
조회수 : 1224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3/01/11 00:17:25

우연히 다시 보게 되었는데...일본 애니메이션에선 저런거 자주 나오는거 같다.


여주인공에겐 뭔가 엄청난 재능이 있어서 그 분야에선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독보적 존재지만 정작 본인은 그것보다 좋아하는게 있고,


남자주인공은 여자주인공의 재능 얘기를 듣고 여주를 포기해야 하나 고민하는 그런 장면.


물론 어려운것 따위 관심없는 루피는 나미가 싫어한다는 이유로 측량실을 산산조각 내버리지만...


다른 애니 주인공들은 다들 심각하게 고민한다. 잘하는걸 하게 해주는게 그 사람을 위한게 아닐까...이런거.


근데 보다보니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아론이나 다른 애니에서 남주에게 여주의 재능을 썩히는게 아깝지 않느냐고 하는 등장인물들....


다 자본주의의 착취를 캐릭터화 해놓은 듯한 모습같다는 생각.


특히 다른 애니 등장인물들은 형식상으로 나마 여주를 위한다는 명목이라도 있었지만,


그 명목조차 자신의 욕망을 위해서라며 포장조차 하지 않는 아론을 보자 명확하게 인식이 되는 느낌이었다.


특히, 밥도 주고, 좋아하는 옷도 사줄 거니까 그 여자는 여기서 나를 위해 해도를 그려야 한다 라는 대사를 봤을땐 섬짓하기까지 했다.


그야말로 노동자들의 밥줄을 움켜쥐고 너의 생존을 보장해 줄테니 니가 하고 싶은것보단 니가 잘 할 수 있는 걸 해서 시스템에 공헌해라


라고 말하는 자본주의의 모습이 그대로 보여져서 였다.


물론 세상엔 좋아하는것과 잘하는것이 같은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이런 사람들조차 나중엔 자신이 하는 일에 회의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만화가 좋아서 만화를 그리던 사람이 계속되는 마감에 쫓기고 대중성에 밀려서 자신이 원하는 만화를 그리지 못할때,


음악가 역시 마찬가지.


이런 상황역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의 순수성을 지키지 못하고 자본주의 시스템에 종속되어 일하는 사회구조탓에 일어난 것이 아닐까.


물론 살아가기 위해 뭔가 일을 해야 하고,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에는 동감한다.


하지만, 유사 이래 가장 적은 시간을 노동하고 가장 많은 시간의 여가를 갖는다는 산업화의 신화가


아프리카 부시맨들의 생활을 관찰한 결과 깨어지는 것을 볼 때, 그들의 행복감을 문명사회인이 따라가지 못한다는 것을 볼 때,


자본주의 시스템에 의해 우리의 재능이 착취당하고 있다는 느낌을 저버릴 수 없다는 사실이 씁쓸하다.


(이 글을 시게에 올려야 하나, 애게에 올려야 하나 고민했지만....역시 발단이 애니였던 만큼 애게에 올리는게 맞다고 보았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