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FunPun한자) 양약고구
게시물ID : readers_31238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섬집아이
추천 : 1
조회수 : 551회
댓글수 : 3개
등록시간 : 2018/02/26 05:46:37
오늘의 문제: 『양약고구』

良藥苦口는 「좋은 약이 입에 쓰다」라는 뜻입니다. 이 말은 이 뒤에 붙는 「충언역이忠言逆耳(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린다)」 때문에 의미가 있습니다. 양약고구라는 말 자체가 충언역이를 비유하는 것이거든요. 그래서 '좋은 약이 입에 쓰다'라는 말을 들으면 '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린다'를 떠올리게 되고, 충고나 비판은 듣기에 좋지 않지만 그것을 받아들이면 도움이 된다는 뜻이 됩니다. '좋은 약이 입에 쓰다'라는 표현이 가장 유명하지만 '입에 쓴 약이 병에 좋다'나 ' '쓴 것이 약' 또는 '쓴 약이 더 좋다'같은 식으로 쓰기도 합니다.

『좋은 약은 입에 쓰나 병에 이롭고 충고하는 말은 귀에 거슬리나 행하는 데 이롭다(양약良藥고어구苦於口이而리어병利於病충언忠言역어이逆於耳이而리어행利於行).

탕湯 임금님무武 임금님은 악악諤諤대어(아무 거리낌 없이 바른 말을 하여) 커졌고 걸桀주紂는 네네거려(유유唯唯; 지당한 말씀이라고 그저 굽실거려) 망했다(탕무湯武이악악이창以諤諤而昌걸주桀紂이유유이망以唯唯而亡).

임금님이 다투는 신하가 없고 아비가 다투는 자식이 없고 형이 다투는 아우가 없고 선비가 다투는 벗이 없어 그 잘못을 지적하는 사람이 없음은 있지 아니하였다(군君무쟁신無爭臣부父무쟁자無爭子형兄무쟁제無爭弟사士무쟁우無爭友무기과자無其過者미지유야未之有也). 그래서 말하길(고왈故曰) 「임금님이 잃으면 신하가 얻고 아비가 잃으면 아들이 얻고 형이 잃으면 아우가 얻고 내가 잃으면 벗이 얻는다(군君실지失之신臣득지得之부父실지失之자子득지得之형兄실지失之제弟득지得之기己실지失之우友득지得之).」 그러므로(시이是以) 나라가 망하는 위험의 조짐이 없고 집안이 패륜과 어지러움의 악함이 없고 아비-아들-형-아우가 잃음이 없고 벗을 사귐에 끊김이 없다(국國무위망지조無危亡之兆가家무패란지악無悖亂之惡부자형제父子兄弟무실無失이而교우交友무절야無絶也).』

첫 문장의 번역은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두 번째 문장의 번역도 배경을 알면 이해하지 못할 바 아닙니다. 나머지 번역들은 온건한 번역에서부터 과격한 번역까지 생각할 여지가 많습니다. 우선, 군君무쟁신無爭臣무기과자無其過者미지유야未之有也. 임금님(아비, 형, 선비의 경우는 생략함)이 다투는 신하(아들, 아우, 벗의 경우도 생략함)가 없습니다(군무쟁신君無爭臣). 세상에 아무런 잘못도 없는 사람은 없습니다(무기과자無其過者미지유야未之有也). 임금이 다투는 신하가 없다는 것은 그 잘못을 나무라는 사람이 없다는 것입니다(군君무쟁신無爭臣무기과자無其過者). 그런데, 무 임금님과 탕 임금님은 신하들이 악악대서 커졌고 걸과 주는 신하들이 네네거려서 망했습니다. 그 잘못을 나무라는 사람이 없는 임금님은 결국 임금님 노릇을 할 수 없습니다(군君무쟁신無爭臣미지유야未之有也).

군君실지失之신臣득지得之국國무위망지조無危亡之兆를 온건하게 풀면 이렇습니다. 임금님이 잘못하면 신하가 챙겨줘서(잘못한 것을 알려줘서) 나라가 망하는 위험의 조짐이 없습니다. 이렇게 온건한 뜻은 아닌 것 같습니다. 임금님이 잘못하면(군君실지失之) 그 잘못의 영향을 신하가 받습니다(신臣득지得之). 그런데, 탕 임금님과 무 임금님은 원래 걸과 주의 신하였습니다. 걸과 주가 잃어 탕 임금님과 무 임금님이 얻은 것입니다(군君실지失之신臣득지得之). 따라서, 임금님(君)은 나라를 다스림에(國) 망하는 위험의 조짐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무위망지조無危亡之兆).

제齊 나라의 경공공자에게 정치를 물었다(제齊경공景公문정어공자問政於孔子). 공자가 대답하여 아뢰길(공자孔子대왈對曰)

「임금님이 임금님이고(임금님답고) 신하가 신하고 아비가 아비고 아들이 아들이어야 합니다(군군君君신신臣臣부부父父자자子子).」』

그런데, 임금님이 제대로 임금님이고 아비가 제대로 아비이고 형이 제대로 형이고 선비가 제대로 선비인 것이 쉬운 일이 아닙니다. 임금님이 되어 신하에게 부끄럽지 않은 임금님이 없고 아비가 되어 아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아비가 없고 형이 되어 아우에게 부끄럽지 않은 형이 없고 선비가 되어 벗에게 부끄럽지 않은 선비가 없습니다. 부끄러움을 모른다면, 이미 임금님이 아니고 이미 아비가 아니며 이미 형이 아니고 이미 선비가 아닙니다. 다만 그 부끄러움을 들키게 되면 스스로 그 분함을 참지 못해, 신하에게 부끄러움이 없고 아들에게 부끄러움이 없고 아우에게 부끄러움이 없고 벗에게 부끄러움이 없다며 싸우게 됩니다. 따라서, 신하도 제대로 신하이고 아들도 제대로 아들이고 아우도 제대로 아우이고 벗도 제대로 벗이기 또한 쉬운 일이 아닙니다.

옛노래 중 알뜰한 당신이라는 노래가 있습니다. (에... 저는 어릴 때 부터 나이에 맞지 않게 가요무대라는 프로그램을 좋아했습니다. 옛노래를 예를들어, 원하고 원망하죠같은 명곡과 비교하는 것도 재미있고요.) 이 노래의 가사는 무심한 연인에 대한 원망입니다. 그런데, 그 연인을 알뜰하다고 부릅니다. 알뜰하다는 것은 '일이나 살림을 정성스럽고 규모 있게 하여 빈틈이 없다'는 뜻 말고도 '다른 사람을 아끼고 위하는 마음이 참되고 지극하다'는 뜻이 있습니다. 그러니까, 무심한 사람더러 나를 아껴주는 사람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이게 모순 같지만 사실은 이렇게 불러야 되는 까닭이 있습니다. 무심한 사람이라도 '울고 왔다 울고 가는 서른 사정을' 이미 보아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사정에 그도 안타까움을 느끼고 있으리라 내가 믿고 있습니다. 여기에 그 사람이 무심하다는 것만 다시 원망하면 그 사람이 화를 내어 나를 다시 보지 않을것을 내가 두려워하게 됩니다. 그러니, 그 무심한 사람이 이미 마땅히 가지고 있는 나에 대한 안타까움을 잃지 않고 그것이 커지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알뜰하다 하는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말하는 방법을 이 노래에서만 쓰는 것이 아닙니다. 새해 인사로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란 표현이 있습니다. 어른들은 이것을 바꿔 '너는 올해 돈 많이 벌었다'고 쓰기도 합니다. 일어나지 않은 일이지만 마치 이미 일어난 일인 것처럼 표현합니다. 아직 별다른 공적이 없는 살아있는 임금님을 부를 때도 성상聖上(성인과 같으신 임금님)이라 말합니다. 어제 살펴본 여몽의 말(사별삼일士別三日괄목상대刮目相待)에서도 노식을 일러 일칭양후一稱穰侯(모두 양후 위염魏冉처럼 대단한 사람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다른 사람에게 쓴소리 할 때는 미리 칭찬해둬야 하는 이유입니다. (이것을 바꿔 생각하면, 누군가 나에게 칭찬을 늘어놓기 시작하면 긴장해야 합니다.)

양약고구良藥苦口(좋은 약이 입에 쓰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요즘 양약洋藥은 겉에 두껍게 코팅을 해둬서 별로 쓰지 않습니다. 예전 양약良藥도 역한 맛을 줄이기 위해 감초甘草를 꼭 넣었습니다. (약방의 감초라는 속담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닙니다.) 감초가 들어가지 않은 약은 역해서 먹기 힘들 뿐 아니라 독해서 속을 버립니다. 코팅한 양약도 속을 보호하기 위해 소화제와 같이 처방하기도 합니다. 그럼에도, 약을 먹게 되면 속이 더부룩해져서 편하지 않습니다. 입에 쓴 것이 꼭 약만 있는 것도 아니고요. 나름대로 코팅을 진하게 하여 처방하기는 했는데, 아무래도 역한 기운을 다 잡지는 못했던 모양입니다. 역시 설탕을 바른 약을 답례로 받아 먹으니, 조금 달달하고 많이 쓰네요. 그래도, 서로에게 약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습니다. (이 부분은 다른 이에게 중요하지 않으니 이해하려 하지는 마세요. 단지, 왜 오늘 주제가 양약고구良藥苦口-좋은 약이 입에 쓰다-인가에 대한 배경일 뿐입니다.)

에... 오늘은 이렇게 양약고구良藥苦口(좋은 약이 입에 쓰다)를 한번 풀어봤습니다.

이전문제:괄목상대
자매문제: (문장 연습 오늘의 단어) 제안, 큰, 은행, 당돌, 시작

***

맛보기 문제: 『가화만사성』

규칙1. 제출한 표현은 읽는 법과 의미를 설명한다.
예) 가화만사성 - 家和萬事成(집안이 화목하고 모든 일이 이루어진다)

규칙2. 제시된 소리가 모두 들어간 표현을 만든다.
예) 가화만사성 - 加禍謾詐盛(재앙을 더해 속임수가 왕성하다)

규칙3. 일반적으로 잘 알려진 바로 그 표현은 제출할 수 없다.
예) 家和萬事成(X) 加禍謾詐盛(O)

규칙4. 제시된 소리의 순서는 바꿀 수 있다.
예) 성사만화가 - 成事滿華家(화려함을 채우는 일에 성공한 집 또는 成事滿華于家로부터 집에 화려함을 채우는 일에 성공하였다)
예) 성사만화가 - 性事漫畫家... 다들 아실 것이라 믿고 설명은 생략합니다.

규칙5. 한자로 쓸 수 있어야 한다.
예) 性事漫畫家(O) 性事畫家만(X)

규칙6. 고유명사는 다른 곳에서 인용할 수 있는 것을 쓴다. 단, 실제로 일어나지 않은 일도 허용한다.
예) 사성만가화 - 師誠謾可化(사성이 가화를 속였다)에서
師誠은 조선 말기 승려(1836년생1910년몰)의 법명이고 可化는 1870년에 진사가 된 원숙교(1828년생)의 다른 이름이다.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