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묵의 나선이론 [ 沈默 - 裸線理論, the spiral of silence theory ]
여론형성의 사회심리학적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독일의 여성 커뮤니케이션학자 엘리자베스 노엘레-노이만(Noelle-Neumann, 1974)이 제시한 이론으로 침묵의 나선이론 또는 와선이론이라고도 한다. 매스 커뮤니케이션효과에 관한 소위 강효과이론(the powerful effects theories)의 하나로, 이 학설에 의하면, 인간들은 자신의 의견이 사회적으로 우세하고 지배적인 여론과 일치되면 그것을 적극적으로 표현하며 그렇지 않으면 침묵을 지키는 성향이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매스 미디어는 지배적인 여론을 형성하고 전파시키는 데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것이 곧 이론의 요지이다. 노엘레-노이만은 이와 같은 이론을 내세우면서 매스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관한 논의는 다시 초기의 탄환이론과 같은 강효과이론으로 돌아가야 한다고까지 주장했다. 그러나 이 이론은 아직 실증적으로 충분히 입증되지 않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매스 미디어가 사회적인 여론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이 부족하다. 따라서 이 이론은 아직은 하나의 학설에 불과할 뿐이다. 노엘레-노이만에 의하면 여론의 개념은 크게 두가지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하나는 ‘양식있고 책임있는 시민의 판단’이란 의미로서 이성적 토론에 근거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이보다 오랜 전통을 지닌 것으로 ‘따라야 할 압력’이라는 의미이다.
노엘레-노이만이 생각하는 여론은 후자의 경우이다. 이는 1744년에 여론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장 자크 루소의 개념이자, 그 이전에 로크와 흄이 생각했던 개념이기도 하다. 노엘레-노이만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으로부터 고립되지 않기 위해 끊임없이 외적 환경을 관찰하고 여론은 제재와 벌칙의 성격을 지닌 사회적 통제로 작용한다고 말한다.
이런 여론개념에 근거한 후, 노엘레-노이만은 사회적 환경에 대한 개인의 관찰을 통해 여론형성의 과정을 분석했다. 그녀에 의하면 인간은 이성적 존재가 아니라 원자화된 고립된 존재이며, 외부의 상황과 사회적 환경에 민감하다. 인간 자신과 마찬가지로 인간의 이성도 홀로 남겨졌을 때 극도의 소심함과 신중함을 나타낸다. 따라서 인간은 확신과 자신감을 추구하며, 그러한 확신과 자신감은 자신과 동조하는 사람의 숫자에 비례한다. 고립되지 않는다는 것은 자기 스스로의 판단보다 더 중요하다. 그녀에 의하면 사회적 합의에 따른다는 것은 인간사회에서 공통된 삶의 조건이다.
이처럼 인간은 자기 자신이 고립될까 하는 영속적인 두려움 속에 살고 있기 때문에 ‘의사통계적 감각’을 사용하여 어느 의견이 상승세 또는 하향세를 타고 있는가를 알기 위해 주변의 환경을 주의깊게 관찰하게 된다. 만약에 자신의 의견이 지배적이거나 상승세에 있다면 자유롭게 자신의 의견을 공개적으로 표현하고, 열세 내지는 하향세에 있다면 고립의 두려움을 느끼고 자신의 의견을 숨긴채 침묵에 빠져들게 된다. 전자의 경우는 자신감을 갖고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반면에 후자의 의견은 실제의 숫자보다도 더욱 약해진다. 이것은 다시 다른 사람들을 적극적으로 표현하게 하거나 침묵하게 함으로써 소용돌이의 과정이 일어나게 된다.
이처럼 침묵의 나선(소용돌이) 속에 여론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매스 미디어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개인에 의한 환경의 평가라는 측면에서 여론은 두가지 원천을 갖고 있다. 하나는 매스 미디어의 내용이며 다른 하나는 환경에 대한 개인의 직접관찰이다. 노엘레-노이만에 의하면, 사람들은 개인적 영역 밖의 문제에 대해서 사실을 알기 위해 또는 의견의 기후를 알기 위해 거의 전적으로 매스 미디어에 의존한다. 오늘날 매스 미디어는 일반 대중의 지배적인 공공 정보원이다. 그것은 어디에나 존재하여(편재성) 대중의 눈과 귀로 작용한다. 또한 오늘날의 매스 미디어는 어느 사회에서든지 독점적으로 단일한 목소리를 내고 있고(협화성), 또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유사한 메시지를 반복하고 있다(누적성). 이러한 특성으로 인하여 오늘날의 매스 미디어는 그 어느 때보다도 강력하다.
따라서 ‘강력한 미디어 개념에로의 복귀’를 주장한 노엘레-노이만의 이러한 관점은 사회와 개인에 대한 인식에서 과거 1930년대의 대중사회론을 연상시킨다. 정확히 말하자면, 그녀가 의도했던 것은 오늘날의 사회가 그 당시의 사회와 동일하다는 것이 아니라, 그때의 대중사회 개념이 오늘날에 와서 진정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현대 후기산업사회가 반드시 대중사회의 성격으로 이해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노엘레-노이만의 이론에 대한 평가 역시 다양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일단 이 이론은, 1970년대 강효과 이론의 패러다임이 대두되던 시기에 등장했어. (이런 이론들이 나오면서 강효과 이론 패러다임이 대두되었다고 말하는게 더 맞으려나... 어쨌든;)
1973년 노엘레 노이만의은 <강력한 매스미디어 효과로의 복귀>라는 논문에서 "매스미디어는 대중들의 여론에 강력한 효과를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상의 제한성 때문에 과거에는 이러한 효과가 과소평가 또는 간과되었다"고 주장했지.
이 이론은 매스미디어가 여론형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는 이론이야. 이때 매스미디어의 영향력을 '침묵의 나선'효과라고 부르지.
예로, 1960년대 독일의 선거에서 침묵의 나선 효과를 살펴볼 수 있다. 그 당시 사민당과 기민당 사이의 지지율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후에 동서독의 통일을 가져온 동방정책에 대한 그들의 신념을 표출하기 위한 힘, 열정, 그리고 의지의 표현에서는 확연하게 차이가 드러나고 있었다. 동방정책의 지지자들은 공개적으로 그들의 의견을 표현했으며, 열렬하게 그들의 관점을 방어했다. 그러자 동방정책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소외감을 느끼기 시작했으며, 공공장소에서 자신의 의견을 떳떳하게 밝히기를 꺼리게 됐고, 결국 침묵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침묵의 나선'은 하나의 관점을 이끌어내며, 이에 반대되는 지배적 관점을 지지자들이 침묵하게 됨으로써 공중의 지각에서 사라지게 만든다.(이 단락은 책에 나와있는 부분을 그대로 옮긴 것임)
자, 이렇게 사람들은 자신의 의견이 소수의견이라고 느낄 때에는, 그 의견을 표출하여 고립되기 보다는 침묵하게 된다는 것이야. 그 결과, 매스미디어가 표출하는 의견이 사실은 소수의 의견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매스미디어의 의견과 다른 자신의 의견을 밝히지 않고 침묵함으로써 그들의 의견을 소수의견으로 착각하게 된다는 것이지!!!
이 책에 보면 '침묵하는 다수'라는 개념이 나와. -선거의 결과가 매스미디어의 예측에 어긋날 경우 비로소 그 존재를 인정하게 되는 '침묵하는 다수'의 개념도 바로 이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우리는 일상생활에서도 목소리만 높이는 소수의 의견이 지배적 의견으로 간주되어 침묵을 지키는 다수의 의견을 무시하는 오류를 종종 범한다.-
이렇게 사람들이 매스미디어의 의견을 다수의 의견으로 간주하는 것은 매스미디어의 세가지 특성에서 기인한다고 노이만은 말했어.
첫째, 편재성 : 누구나 매스미디어를 소유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누적성 : 매스미디어는 계속적으로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일치성 : 모든 종류의 매스미디어들이 특정 문제에 관해 공통된 견해를 표방한다.
개인적으로 오유는 파도를 탄다. 대세에 거슬리면 죽는다. 이런 이야기에 대해서 난 이 이론으로 답변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