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한국의 문제는 부채가 아닙니다. [출처] 팍스넷 hearts님의
게시물ID : economy_9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오마르왕자님
추천 : 6
조회수 : 630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2/07/20 16:17:04

미국, 유럽의 문제는 부채가 맞습니다.

미국, 유럽이 어려우면 우리나라 최대의 소비자가 돈을 안 쓰게 되니.. 우리나라 경기가 어려워지죠. 맞습니다.

그런데 지금 미국, 유럽이 살아나고 있습니다.

네. 뻥카란거 알고 있습니다. 고름을 짜지 않고 몰핀효과로 버티고 있죠.

그래도 어쨌든 회복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우리나란 예전처럼 좋아지지 않고 더 어려워지나요?

우리나라의 가장 큰 문제는 부채가 아닙니다.

우린 소비 국가가 아닙니다. 수출 국가입니다. 부채는 아무리 많아도 돈 많이 벌면 갚을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젠 돈 많이 벌수가 없습니다. 소비자들이 살아나도 우리 경제가 예전처럼 좋아지지 않습니다.

 

이젠 우리 상황이 10여년전과는 달라졌기 때문입니다.

 

1. 저출산 고령화 사회

 

저출산 문제로 한창 일할 젊은이보다 노인들이 많아집니다.

현 정부가 다문화 정책을 펴는 이유는 저출산 문제 때문입니다.

일하고 소비할 젊은이들이 없기 때문에 외인이 한국을 부정적으로 보는겁니다.

 

정부는 물가를 잡고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외국인 노동자들을 장려했습니다.

그런데 심각한 부작용이 생기죠. 외국인 노동자들은 한국에서 돈을 악착같이 모아서 다 본국으로 송금해 버립니다.

국부가 유출되는겁니다.

그래서 다문화 정책이 생긴겁니다.

외국인 노동자들을 한국인으로 만들자.

외국인 노동자들의 비위를 맞춰서 한국에 정을 붙이게 하자. 노동력을 확보하고 내수시장을 살리자.

하지만 다문화 정책 역시 부작용이 많죠.

 

2. 기업의 해외 공장 신설

 

기업은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저렴한 임금과 운송비 절감을 위한 해외공장 신설을 늘리고 있습니다.

예전엔 중국에 많이 지었는데 이젠 동남아시아쪽으로 이전하고 있죠.

한국의 젊은이들은 땀흘려 일하는것을 싫어합니다.

눈도 높아져서 왠만한 임금으론 차라리 놀고 말지 일 안합니다.

젊은이가 노동하지 않는 나라는 미래가 없습니다.

 

3. 중국의 제조업 추적

 

IT 나 조선쪽은 싸고 질 좋은 중국 제품의 맹렬한 추적을 받고 있습니다.

마치 10여년전 한국이 일본을 추격하던 것처럼요.

아직 프리미엄 제품들은 한국이 우세지만 중국의 추격속도는 무섭습니다.

 

 

우리가 대세상승기에 3배 이상 폭등하고 리먼사태때 가장 먼저 위기를 극복할수 있었던 것도 조선, IT 등 제조업이 강세였기 때문입니다. 지금 한국은 그 때같은 메리트가 없습니다.

 

중국이 개박살 나고 태국, 싱가포르 지수가 폭등하고 있는 이유도 세계각국의 공장들이 중국을 빠져나와 동남아시아로 이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 코스피는 홍콩차트와 똑같습니다.

해외자금이 모조리 빠져나가고 있습니다.

 

지금 같은 추세라면 앞으로 코스피는 세계 경기와 상관없이 꾸준히 하락할것입니다.

물론 변수는 있습니다.

한국 출산율이 올라가고 젊은이들이 정신차리고 열심히 일하고 대기업들이 중소기업 죽이기를 그만둔다면

코스피는 정말 5000까지 갈수도 있을겁니다.

그리고 또 다른 변수는 남북통일.

김정은 세대에서 통일하든 전쟁하든 뭔가 터질것 같네요.

 

암튼.. 앞으로 외인들의 코스피 따돌리기는 당분간 계속될것으로 보이는바..

외인의 수급이 확인될때까지 단타로만 대응하시고...

단기 대응이 힘드신분들은 차라리 태국,싱가포르 투자 비중이 높은 해외펀드로 갈아타세요

[출처] 팍스넷 hearts님의 글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