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시판 즐겨찾기
편집
드래그 앤 드롭으로
즐겨찾기 아이콘 위치 수정이 가능합니다.
마약의 역사 (48) 무창봉기 전후의 아편
게시물ID : history_5147짧은주소 복사하기
작성자 : Lemonade
추천 : 1
조회수 : 1185회
댓글수 : 0개
등록시간 : 2012/07/26 23:44:21

지난 글 : 마약의 역사 (47) 아편 교역의 종말


http://todayhumor.co.kr/board/view.php?kind=&ask_time=&search_table_name=&table=history&no=5102&page=2&keyfield=&keyword=&mn=&nk=&ouscrap_keyword=&ouscrap_no=&s_no=5102&member_kind=



국은 많은 역사가들이 인정하는 것 이상으로 적극적으로 아편의 생산과 교역을 막았다. 특히 정부 차원에서 생산을 통제한다면 아편 소비를 근절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 1905년 4월 양귀비 재배를 관리하기 위한 아편 조합(opium combine)을 설립하였다. 


하지만 어떤 성(省)에서는 적극적이었는가 하면 어떤 성에서는 매우 소극적이었기 때문에 부분적인 효과만 보았다.

 

E.S.리틀은 1910년에 중국의 서부지역을 여행한 후 국경에 인접한 외딴 지역을 제외하고는 사천성 전 지역에서 양귀비 재배를 볼 수 없었다고 보고하였다. 


베이징 주재 영국 공사관의 에릭 테이크먼 사무관은 간쑤성(甘肅省, 중국 서북지구 황허강 상류에 위치한 省)에서는 양귀비를 재배하는 농가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기록함으로써 이 말을 입증했다. 


양귀비 재배를 능동적으로 포기한 지역이 계속 나타나는 가운데 후난성에서는 1911년의 무창봉기(武昌蜂起) 이후 양귀비 재배와 아편 흡연으로 47명이 처형되었다.




무창봉기


아편을 근절시키는 일은 매우 어려웠다. 돈에 눈이 먼 외국인들고 부패한 관리들 그리고 비리를 눈감아주는 정부 부처의 부패는 계속 이어졌다. 게다가 무창봉기를 일으켜 마지막 황제를 폐위시키고 중화민국을 세운 고위 관료와 정치가들은 아편 생산에 직접적으로 관계하고 있었기 때문에 불법적인 거래를 묵인해주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아편의 피해자라고 할 수 있는 수만 명의 중독자들은 아무런 대책 없이 방치되어 있었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아편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불법적인 거래를 계속하였다.

 

1917년 베이징 주재 영국 대사 존 조던 경은 아편의 생산과 소비가 대단위로 감소할 것으로 낙관하였다. 그러나 그가 영국에 이러한 보고서를 보내는 동안에 중국의 부통령은 400만 파운드의 인도산 아편을 구매하여 판매함으로써 막대한 수입을 올렸다. 이런 와중에도 아편의 생산과 소비를 통제하려는 시도들이 있었지만, 오랫동안 치밀하게 유지되어 온 거래를 뿌리뽑는 조치는 취해지지 않았다.


꼬릿말 보기
전체 추천리스트 보기
새로운 댓글이 없습니다.
새로운 댓글 확인하기
글쓰기
◀뒤로가기
PC버전
맨위로▲
공지 운영 자료창고 청소년보호